산약(山藥)
육기 溫 濕
오미 감(甘) 담(淡 고소한맛)
오색 백(白)>>황(黃)
형질 뿌리
귀경 폐 비
체질 태음인
효능 傷中 補虛羸 除寒熱邪氣 , 補中益氣力, 長肌肉, 强陰, 久服耳目聰明, 輕身不飢延年.


1. 산약의 氣는 溫하고 濕하다.
산약을 먹어보면 육질이 많고 따뜻한 느낌이 난다.
2. 산약의 味는 甘하고 고소하고 담담하다(淡).
산약을 먹어보면 먹을 것이 많고 단맛이 약간 나면서 고소하다. 밥같이 담담한 맛이 난다.
3. 산약 색은 위 사진처럼 백색>>황색 이다. 끓인것은 엷은 황색을 띤다.
4. 산약의 形은 긴뿌리이다.
5. 산약의 폐, 비로 귀경한다.
산약의 색을 보면 백색으로 폐에 귀경 함을 알수 있다. 노란색은 비로 귀경을 한다.
주로 폐에 귀경하게 된다.
6. 산약의 효능
산약이 온습하고 폐와 비에 기운을 보강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태음인이고 잘못먹어서 (중초를 상해서)허조한 사람에게 좋다.
폐기를 보강하므로 따뜻하고 촉촉한 기운이 숙강하게 되면서 精을 만드는데 일조를 하게 된다.
또한 중초에 비에 귀경하여 감미와 담미로 보중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소음인의 황기와 비슷한 느낌인데 황기는 피부까지 기운을 끌고가는 이동력이 있는 반면 산약은 단순히 보기만 하면서 움직임이 적다. 먹으면 배안고프고 든든한 느낌.

7. 병증
-중초가 허하여 마르거나 기운이 없어서 열이나거나 춥거나 하는 증상과 폐가말라서 조한 기침등의 증상을 치료 할 수 있다.
1) 傷中 補虛羸 除寒熱邪氣
-여기서 상중즉 중초를 상했다는 것은 못먹어서 중초를 상했다는 뜻으로 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못 먹어서 허리해지고 한열등의 사기가 생긴증상에 좋다.
즉 여기서의 열은 음이부족해서 생기는 허열로 보고 한은 기운이 부족하므로 생기는 한으로 볼 수 있다.
결국 곡기의 유입이 충분치못해서 생긴 한열의 사기를 제거한다.
2) 補中益氣力
- 산약이 중초에 기운을 감미와 담미로 보하는 작용을 하므로 중초를 보하고 기운을 나게 한다.
3) 長肌肉
- 기허해서 생기는 기육의 발육부진을 해결한다고 보면 될것 같다.
4) 强陰
-산약이 폐에 귀경을 하면서 폐기를 보충해지기 때문에 숙강작용으로 精과 水를 보충한다.
5) 久服耳目聰明, 輕身不飢延年
-오래먹어서 精과 氣가 보충이 되면 이목이 총명해지고 몸이 가벼워지고 배고프지 않게 된다.
산약은 따뜻한 우유 같은 이미지를 가진 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