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유학 정보를 구할때 유학관계자들에게 문의 합니다. 우리 애가 아직 어려 영어가 안되는데 바로 학교에 입학 할수 있을까요? 그러면 대부분 어린 아이들은 학교에 입학만 시키면 다 따라 간다 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저는 이말에 동의 하지 않습니다.
저는 한국에서 여기 올때 1학년과 3학년 두아이 데리고 왔습니다. 큰 애는 다행이도 영어 유치원 삼년에 늘 영어 학원을 다녔습니다. 작은 애는 영어학원을 다니지 못하고 여기 왔거든요.
영어를 잘 하던 못하던 많은 아이들이 처음에 영어로 인한 스트레스가 굉장히 심하다는것 입니다. 이것을 부모들이 잘 간파하여 적절하게 대책을 세워 주지 못하면 상당 기간 아이들이 학교 생활에 어려움이 있고 심한 경우에는 애 성격이 바뀌기도 합니다. 그런데 애들은 집에 돌아와 말을 잘 안하기 때문에 부모들이 이러한 점을 잘 모를수 있다는 것 입니다. 영어가 잘 안되는 애들은 학교에서도 왕따의 경우가 많으며 물론 백인들에게는 분명히 왕따지만 한국 학생들에게 조차도 왕따를 당할수 있습니다. 왕따가 다른 것이 아니고 애들 하고 잘 못 어울리는 것을 말합니다. 영어 사용 빈도나 낮은 체육이나 그림 그리는 시간은 흥미가 있는데 그 나머지는 흥미를 잃고 답답한채 시간만 보내고 있습니다. 얼마나 애도 답답하겠습니까? 학교에서 하는 esl은 선생님도 많은 학생들을 공부시키다 보니까 대충하는 정도이지 개인 튜터처럼 자상하게 지도하지 못합니다. 그리고 여러명 섞여서 esl 하다 보면 못된 esl 선생들은 본인들도 귀찮고 열의가 없으면 대충 때우는 식으로 일관해 버립니다.
유학생 초기나 이민 초기에 영어로 인해 어려움을 겪을수 밖에 없습니다. 이럴때 학교 선생 또는 esl 선생과 정규적인 만남을 통해 학생의 상태를 정확히 점검하는 것이 좋으며 영어실력이 낮은 학생의 경우에는 학년에 구분 짓지 말고 어떻게 하면 쉽게 배우고 흥미를 가질수 있는 학습 방법과 동기 유발을 잘 찾아야 합니다. 적절하게 동네 커뮤니티 센타등을 찾아 놀이등을 통해서 백인들과 접하는 기회를 늘리고 영어 사용 빈도를 높여 주는 것도 방법이 될수 있습니다.
거주하는 지역에서 영어 학원 또는 개인 튜터를 통해 집중적인 영어 학습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한 방법이 될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학년이 높더라도 애의 실력이 낮으면 유치하더라도 레벨에 맞는 학습 방법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당장 2-3개월 못 따 간다고 학교 못 따라 가는것 아닙니다. 오히려 어린 애들은 흥미와 동기 유발만 맞으면 빠르게 배울수 있습니다.
어느날 학교에 가보니 애 혼자서만 놀고 있으며 항상 혼자 상태로 다닌다면 이것도 큰 문제입니다. 애들의 스트레스 방치 했다가 잘못된 방향으로 갈수 있습니다. 휴일을 이용해 적절한 여행과 체육 활동등을 통해 마음껏 놀수 있는 장도 만들어 주어여 합니다. 애들은 그렇게 스트레스 받으면서 적응해 나가는 것입니다. 애들도 아픈 만큼 성숙해 가는 것입니다. 적응못할때 보면 불쌍하고 측은한 마음에 속으로 많이 울지만 그럴수 밖에 없는 현실에 어떻게 하겠습니까? 이제 우리 애들도 차차 적응이 되어 안정이 되어 가면서 미안하다는 생각과 고맙다는 생각이 교차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