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은 성리학을 이념으로 하여, 고려말의 소수의 혁명파 신진사대부들에 의해 건국되었다.
이들의 이상대로 모든 관리를 과거 시험을 거쳐 선발하고자 했다.
과거는 천민을 제외하고 누구나 볼 수 있었지만 실제로 일반 백성들이 보기는 쉽지 않았다.
여전히 문(문과)을 숭상하는 경향이 커서 과거는 주로 양반들이 관직에 진출하는 통로가 되었다.
과거에는 문과, 무과, 잡과가 있었다. 문과에는 주로 양반 자제들이 응시하였고 유교 경전에 대한 지식이나
논술 능력을 시험하였다. 시험은 첫 번째로 치르는 초시, 초시 합격자가 다시 시험을 치르는 복시.
복시로 최종 선발된 33인이 국왕의 앞에서 치르는 전시로 구성되었으며, 전체 등수에 따라 벼슬이 결정되었다.
무과에는 양반의 자제뿐만 아니라 향리, 상민의 자제들도 응시하였으며 무과는 유교 경전과 무예
서적의 내용을 묻는 시험과 무예를 보는 시험을 치렀으며, 문과와 마찬가지로 초시, 복시, 전시를
거쳐 최종 28명을 선발하여 벼슬을 주었다.
잡과는 직업적인 기술관의 등용시험이었기에 주로 중인이 응시하였고 역과, 율과, 의과, 음양과가 있었다.
과거는 3년마다 정기적으로 치러졌으나, 수시로 시행되는 특별 시험도 있었다.
과거에 합격하면 합격자를 위한 방방 의식이 근정전 뜰에서 베풀어지며 왕이 홍패와 어사화를 제일급제자
장원을 위시하여 순위대로 하사했다. 그리고 급제자의 부모를 위한 잔치를 관에서 베풀고, 급제자들은
3일 동안 거리를 누비며 축제를 벌였다. 장원한 사람들끼리의 모임을 용두회라 하여 관직을 맡고 떠날 때
보내는 전송연을 했다.
첫댓글 예전이나 요즘이나 시험은 어려워요 ^^;;
과거제에 대하여 자세히 알게 되었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