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확(安廓)
일제시기의 독립운동가·국학자. 서울 출신.1886-1947 일제시기
http://minjok.mct.go.kr/person/data/person_view.jsp ㅡㅡ> 바로가기클릭
http://minjok.mct.go.kr/?page=2&strYear=2003&strMonth=01
시대 항일기
본관 미상(未詳)
호 자산(自山)/팔대수(八大搜)
기타 인명 운문생(雲門生)
생년 1886
활동분야 교육/사상 / 학자 / 국학자
안확(安廓)에 대하여
1886(고종 23)∼1946. 국학자. 호는 자산(自山).
운문생(雲門生)이라는 필명과 팔대수(八大搜)라는 호를 일시 사용하기도 하였다.
1. 가계
우대마을(서울 사직동)의 안씨(安氏) 집안 태생으로 중인출신이다.
1895년(고종 32) 서울 수하동 소학교에 입학하여 신학문을 교육받았고,
1896년 독립협회가 만민공동회를 개최할 때 그 모임에 참여하면서 연설지도를 받기도 하였다.
2. 교육사업과 독립운동
소학교를 마친 뒤 당시에 유행하던 서구문명을 소개하는 책들을 보며 사상적 기반을 다져나갔는데, 특히 유길준(兪吉濬)의 《서유견문 西遊見聞》과 양계초(梁啓超)의 《음빙실문집 飲氷室文集》을 통하여 서구문물과 서양의 정치사상들에 대하여 인식을 넓혀갔다.
1900년대에는 서북지방의 교육활동에 참여하고, 1910년 일제의 조선병탄 이후에는 마산에 내려가서 오스트레일리아의 선교사들이 세운 창신학교(昌信學校)의 교사로 있으면서 학생들에게 독립정신을 고취시켰다.
1914년경에 신학문을 더욱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위하여 일본에 유학, 니혼대학에서 정치학을 수학하였다.
그뒤 1916년경에는 다시 마산으로 돌아와 윤상로(尹相老)·이시영(李始榮) 등 영남지역의 인사들이 중심이 되어 1915년에 결성한 독립운동 단체인 조선국권회복단(朝鮮國權恢復團)에 참가하여 마산지부장의 역할을 맡았다.
이 단체의 일원으로서 이회영(李會榮)이 주도하고 이승훈(李承薰)·오세창(吳世昌)·한용운(韓龍雲) 등 후일 3·1운동의 지도자들이 참여한 고종의 해외망명 유치계획에 관여하였고, 3·1운동 당시에는 마산지역의 만세운동을 조직, 주도하였다.
3. 연구 및 저술활동
3·1운동 이후에는 서울에 올라와 1921년 창간된 조선청년연합회의 기관지 《아성 我聲》의 편집을 맡았고, 다음해에는 신천지사(新天地社)의 편집인이 되었다.
이 시기부터 본격적인 저술활동을 시작하여 《조선문학사》와 《조선문명사―조선정치사》로 대표되는 국어와 국문학, 국사를 비롯한 다수의 국학에 대한 글과, 당시 일제의 문화통치에 말려드는 지식인들의 현실을 비판하고 새로운 지식인의 지향을 제시하는 〈자각론 自覺論〉 등의 시론(時論)들을 발표하였다.
1928년부터는 전통음악인 아악(雅樂)을 정리, 연구하고자 이왕직(李王職) 아악부(雅樂部)에 촉탁으로 근무하면서 4년 동안 아악에 대한 기본적인 정리와 연구를 이루고, 이를 토대로 국어학·국문학에 관하여도 새로운 업적을 많이 이루었다.
1930년대 들어 일본의 식민통치가 무단통치로 되면서 더 이상의 학문적 탐구가 어렵게 되자 국내를 벗어나 만주와 중국대륙, 노령의 연해주지역과 미주(하와이)를 유랑하였다.
7년 동안의 유랑을 마치고 귀국하여 어학과 고구려문학, 시조·향가·미술사 등에 관한 글을 발표하다가 1940년 이후에는 글쓰는 일을 중단한 채 정인보(鄭寅普) 등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들과 교유하며 지냈다. 광복이 되던 해에 자신의 정치이념을 실현시키고자 친우들과 정당의 결성을 꾀하였으나 끝내 자신의 뜻을 이루지 못한 채 1946년에 죽었다.
4. 민족계몽 운동
그는 당시 지식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이었던 사회진화론과 문명개화론을 적극 주장하였지만, 대부분의 애국계몽운동가들이 취한 서구문명우월주의에 빠지지 않고 오히려 우리 민족의 장처(長處)를 찾아 민족 스스로의 역량에 의한 개화와 선진문명 성취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는 〈자각론〉 등에서 서구문물에 사로잡혀 형식적인 개화에 그치는 지식인들의 동향을 비판하고 진정한 문명진보를 위하여서는 민족문화의 발전을 토대로 삼고 현실에 필요한 자유·자주·자치의 새 이념을 가지고 나아가야 한다고 주창하였는데, 이는 비슷한 시기에 나온 이광수(李光洙)의 《민족개조론 民族改造論》이 당시를 풍미한 일본 지식인들의 사회진화론적 입장에 서서 선진 서구의 문물만을 최상으로 여기고 민족문화의 전통을 완전히 부정한 것과는 성격을 달리하는 것이었다.
5. 국학연구
그는 이러한 사상을 실천하기 위하여 국학연구에 몰두하였고 초기국학계에 있어서 독보적인 업적들을 이룩하였다.
일본유학시절부터 국학에 남다른 열의를 가지고 구체적인 연구를 하여 전일본유학생학우회의 기관지인 《학지광 學之光》에 국어와 국문학, 미술 등 국학에 관계되는 글들을 발표하였다.
그의 본격적인 연구활동은 일본에서 귀국하여 《조선문법》을 출판하면서부터 시작되었는데, 1923년에 발간한 《조선문명사―조선정치사》에서 밝힌 저술계획에는 국학에 대한 그의 지향이 잘 나타나 있다.
이 저술계획은 《조선문명사》 8권, 《자산학설집》 8권, 《자산문집》 7권, 《정치론》 20권으로 구성되었는데 그 대부분이 국학과 당시 현실을 다룬 것이었다. 이 계획이 다 이루어지지는 못하였지만 그는 이 계획을 바탕으로 하여 140여편에 달하는 글을 남겼다.
그의 초기의 대표적 연구분야는 국어와 국사에 관한 것이었다. 국어학연구에 있어서 그는 한글을 우리민족의 조직적 정신의 결정이라 보고 기록용 문자인 한문에 대하여 민중들이 사용하던 말, 즉 구어(口語)를 적기 위하여 만들었다는 뜻에서 그를 언문(諺文)이라 불러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한글의 제자원리가 세종초년의 음악정리에 기초를 둔 것이라고 하는 악리기원설(樂理起源說)을 제시하면서 일인 관학자들이 악의적으로 주장한 범자(梵字)모방설이나 몽고자 모방설 등을 부정하였다.
6. 국사학연구
국사학 분야에서의 업적은 1923년에 간행된 《조선문명사》로 대표되는데 원래 이 책은 자신이 계획한 《조선문명사》 8권 중의 〈조선정치사〉에 해당되는 것으로 문명진보론의 관점에 입각하여 민족의 생활사를 대변하는 정치사의 발전과정을 정치체제의 변화라는 기준으로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의식은 시대구분에 반영되어 상고의 소분립정치시대로부터 중고의 대분립정치시대로, 그리고 다시 근고의 귀족정치시대로부터 근세의 군주독재정치시대로 발전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러한 이해의 배경에는 민족의 역사가 꾸준히 개선, 진화되는 것이라는 인식이 전제되어 있다.
또, 그는 이러한 정치체제의 변화를 지배층을 기준으로 한 것이 아니라 절대 다수인 일반민중의 정치에의 참여 정도인 자치제의 발달이라는 기준에서 추구하고 있다.
곧 자치제의 발달과 정치체제의 변화를 관련시켜서 이해하고 있다. 이러한 입장에서 가장 주목된 것은 향촌사회에서 일반민의 의사가 결정되는 촌회였다. 이러한 민중을 기준으로 한 역사발전의 이해는 당시의 애국계몽운동기에 추구된 자유민주주의의 근대적 민중관을 대변하는 것이라고 이해될 수 있다.
7. 아악연구
한편, 아악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궁중음악의 악기·악곡 등을 정리하고 외국음악과의 관계를 연구하였으며 민중음악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정리하였다.
그리고 음악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문학사상에 존재한 가시(歌詩)들을 검토하여 가시를 삼대목체(三大目體)·정읍체(井邑體)·첩성체(疊聲體)·경기체(景幾體)·장편(長篇)·시조(時調) 등으로 분류하였고, 최초의 시조연구서인 《시조시학 時調詩學》을 내기도 하였다.
이밖에 일인학자들의 민족문화말살정책에 대항하는 과정에서 단군조선의 문화에 대한 글을 비롯한 고대사에 대한 연구를 진행시켰고, 민족문화의 전통의 일부로서 미술사에 대하여서도 정리하였다.
이러한 그의 국학연구는 당시의 시대적 상황 및 지적 풍토 속에서 각별한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서, 엄밀한 학문적 기반 위에서 민족문화의 전통을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그 발전과정을 다양한 분야에 걸쳐 검토하였다는 점은 이후 국학의 발전에 중요한 밑받침이 되었다.
아울러 민중의 역사창조의 능력에 대한 신뢰와 민중 주체의 역사관은 민족문화전통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8. 주요저술
저술로는 《조선문명사》·《조선문학사》·《조선문법》·《조선무사영웅전 朝鮮武士英雄傳》·《시조시학》 등의 저서와 〈조선의 미술〉·〈조선철학사상개관〉·〈조선의 음악〉·《조선상업사소고 朝鮮商業史小考》 등 140여편의 국학관계 논문이 있다.
[참고문헌]
안자산 연구(이동영, 청구공업전문대학논문집 2, 1965)
한국 근대 역사학과 조선시대사 이해―안확의 조선문명사―(한영우, 인문과학의 새로운 방향, 心象, 1984)
안자산의 국학(최원식, 1981)
안확의 생애와 국학세계(이태진, 역사와 인간의 대응, 고병익선생회갑기념논총, 1985)
자산 안확의 국어학사상의 위치(최범준,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박은용박사회갑기념논총, 1987)
안자산의 국어연구(이기문, 주시경학보 2, 1988)
안확(이태진, 한국사시민강좌 5, 1989)
廓 확
生父胤基
號는 자산(自山)
一名은 팔대수(八大搜)
1886년丙戌陽2월28일生 서울 수하공립소학교 니혼(일본)대 정치학과졸업 독립운동가 국학자 마산창신학교 교사 조선국권회복단 마산지부장 건국훈장애족장(建國勳章愛族章:1993년) 저서(著書):조선문명사 자각론·개조론 등 8권 논문(論文) 140여편 1946년丙戌陽12월1일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