猪저
더>저 구개음화 윤촐이 도개걸윷모의 도와 같다. 돼지가 흙을 돋우기 때문이다.
두더지=돋+아지(작은 돼지라는 뜻)
둑, 담, 돌(돌은 땅에 툭 튀어나온 것)
don 돈키호테의 돈은 주인, 귀족.. 원래는 담 안에 사는 사람, 성에 사는 사람이 주인
툭, 탁, 톡 돌突,
토르tor는 ‘치솟은 바위’란 뜻으로 현대에도 지형학 용어로 쓰인다. tall과 같다. 혀로 입천장을 튕기는 소리다. 입천장이 높기 때문에 T는 자연히 돌출의 의미가 된다. 혀로 입천장을 끌끌 차보면 알게 된다. 반대로 혀를 내리깔면 L발음은 낮다low, 놓다lay는 의미가 된다. 즉 T와 L은 대칭이다.
톺아보기, 돋우다, 돛, 돛대, 돋다, 뜨다, 띄우다, 떼다,
톱, 발톱, 손톱, 톡 튀어 나오다, 툭 튀어 나오다. 갑툭튀 할 때의 툭
튀다, 뜨다, 떼다, 띄우다는 입천장을 밀어서 공중에 띄우는 동작이다.
고슴도치(가시돼지)
hedgehog가시 hedge +돼지 hog=소켓, 콧구멍, 고슴도치는 코가 돼지코를 닮아 소켓처럼 생겼다.
동물 - 돼지, 두더지, 고슴도치, 토끼(토끼가 톡톡 뛴다)
돌 - 돌, 둑, 담, dam(댐, 담) don(담 안에 사는 주인) donation(주인의 기부)
톱 - 톱, 손톱, 발톱
동사 - 돋다, 뜨다, 띄우다, 떼다, 튀다, 트다, 돋구다, 돋우다, 톺아보다, 돕다
소리 - 툭, 톡, 탁, 턱
돌출 - 돌突, 우뚝, 턱(얼굴),
30개 이상의 어휘가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언어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