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지방선거가 가까워져 오면서 정치판을 비롯한 우리 사회 여러 곳에서는 각종 유언비어가 쏟아지며 인신공격적인 발언이 난무하고 있다. 언어는 그 사람의 얼굴이며 그 사회의 거울이라고 말할 수 있다.
초등학교 시절에 방학을 맞아 작은아버지 집에서 여러 날 묵은 일이 있었다. 교직에 계신 작은아버지는 일상생활에서 부부간에 서로 존댓말을 사용하셨다. 그때까지 우리 집은 물론이고 동리에서도 부부의 언어생활에서 높임말을 쓰는 집이 없었다. 그래서 그 뒤로 작은아버지와 작은어머니를 더 좋아하게 되었다.
우리 아버지는 점잖고 때로는 엄해서 우리뿐만 아니라 어머니도 그 앞에서는 ‘아니오’라는 대답을 하지 못했다. 그러나 어쩌다가 부부간에 언쟁이 벌어지면 어머니도 밀리지 않았고, 아버지 입에서는 험한 말이 나오기도 했다. 그럴 때면 작은아버지 내외분이 생각나면서 나도 결혼하면 부부간에 높임말을 쓰면서 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부부 사이에 존댓말을 사용하면 존경심도 생기고 사랑이 깊어지면서 언쟁도 일어나지 않을 것 같았다.
결혼하면서 아내에게 공대하자 아내는 부담스럽게 생각했다. 특히 부모님이 계실 때는 민망스러워했으나 그런대로 한동안 잘 지키면서 살았다. 그러다가 아내와 말싸움이 벌어지면 막말을 하면서 점차 존댓말을 쓰지 않았지만, 아내는 여전히 높임말을 썼다. 우리 부부가 서로 존댓말을 사용하자는 약속을 끝까지 지키지 못하고 중간에 무너뜨린 것은 전적으로 나의 잘못이다. 가부장적인 가정에서 성장한 나의 생활 태도나 언어습관으로 인해 화가 날 때는 함부로 말하게 되면서 그만 실패하고 말았다. 그래서 언어생활도 습관이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많은 사람은 우리 사회가 각박하고 하루하루 살아가기가 힘들다고 말하기도 한다. 이것은 우리의 마음이 여유가 없고 경제적으로 어려우며, 사회적으로도 안정되어 있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 속에도 고스란히 나타나고 있다. 세심하게 살펴보면 우리 사회의 정치지도자들뿐만 아니라 구성원들 대부분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자극적이고 날카로우면서 거친 표현이 많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아이들은 어른의 거울’이라고 한다. 어른들의 언어생활이나 행동 양식이 아이들에게 그대로 대물림하여 나타난다. 그래서 우리 아이들도 순화되지 못한 언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물론 온종일 학교와 학원에서 공부에 시달리고, 시험에 대한 심한 압박감 속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 아이들은 그러한 정신적인 압박을 받을 때마다 건전한 운동이나 취미 생활을 통해서 해소하지만, 그렇지 못할 때는 욕설과 폭력적인 언어를 통해서 발산하기도 한다. 그러다 보니 매일매일 무의식적으로 거친 어휘를 사용하거나 다른 사람을 탓하고 비방하면서 저속한 언어를 스스럼없이 남용하는 아이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심지어 의미도 알지 못하는 욕설을 습관적으로 입에 달고 생활하기도 한다. 그러니 그들의 심성이 고와질 까닭이 없다. 그렇기에 학교에서는 아이들의 정서함양을 위해서 어떻게 하면 거친 언어를 순화시킬 수가 있을까 고민하고 여러 가지 대책을 세우기도 하지만 효과가 매우 작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상대방에게 서로 높임말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도 찬성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존댓말을 사용하게 되면 상대방을 배려하면서 존중하는 느낌이 들기는 하지만, 반대로 친밀감이 없어지고 거리감을 느끼기 때문에 싫다는 것이다. 그러나 가까운 사이라고 하더라도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고 어느 정도 긴장 관계를 이어가는 것이 안정된 사회를 이룩하는데 더 바람직스럽다는 생각이 든다.
사람의 말과 행동은 그 사람의 인격을 나타낸다. 우리 아이들이 바른 가치관을 갖고 건전한 언어생활을 통해 바람직한 인격을 형성하였으면 좋겠다. 그래야만 앞으로 우리가 살아갈 사회가 더 밝고 건강하게 바뀔 수 있을 것이다. 몇몇 선생님들이 수업시간이나 학교생활을 통해서 학생들에게 먼저 「높임말 사용하기」 운동을 펼치고 있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다. 여기에는 학생들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선생님들의 마음과 거친 언어생활을 순화시켜서 우리 사회를 안정되게 만들려는 의도가 깃들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운동이 널리 퍼져서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이 점차 아름답고 살기 좋은 사회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첫댓글
건설회사 생활을 오래해서 그런지 아직도 권위의식의 잔재가 남아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젊은이들에게 반말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때마다 아내는 옆구리를 찔러댑니다. 높임말을 사용해서 손해볼 것 없는데도 말입니다. 글을 읽고 반성을 했습니다. 반말을 자제하고 언어 순화에 노력하겠습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고맙습니다.
가정에서 부부사이에 남자는 여자에게 높임말을 사용하지 않아도 여자는 남자에게 높임말을 씁니다. 유교문화의 영향이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렇지만 양성평등에 따라서 똑같이 높임말을 쓰는 것이 바람직스럽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런데 언어 사용도 습관이라 고치려면 잘 되지 않습니다.
언어가 바르고 건전한 사회가 아름답고 살기 좋은 세상이라는 주제에 공감합니다.
정치하는 분들, 옳고 바른 말을 사용했으면 얼마나 좋을까싶은 생각이 들어요^^
고맙습니다. 육선생님. 언어는 그 사람이나 사회의 얼굴이라고 생각합니다. 순화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이나 사회는 부드럽고 편안하지만 거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이나 사회는 거칠고 혼란스럽거든요.
공감합니다. 지위고하 상관없이 누가 보든 말든 카메라가 찍든말든 막말을 아무 거리낌없이 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페이스북엔 여신처럼 예쁜 여학생들이 자기 이름, 사진 다 뜨는데도 그야말로 걸레를 입에 문 듯한 댓글을 쓰는데 볼 때마다 놀라워요. 언어 순화. 부디 그렇게 되면 좋겠습니다.
상대방을 존중하는 마음이 있어야 공대하게 되지요. 우리도 서로를 위하고 존중하는 풍토를 만들어 갔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고맙습니다.
요새는 듣도보도 못한 말들이 많지요. 게다가 물건에다가 공대하는 묘한 화법도 있더라구요::
언어순화가 필요합니다. 언어는 우리의 얼굴이거든요.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가 적절해야지 너무 불필요하게 공대하거나 하대해서도 안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