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성열거법 [ 屬性列擧法 , attribute listing ]
문제의 대상이나 아이디어의 다양한 속성을 목록으로 작성하여 세분된 각각의 속성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으로, 1930년대 Crawford가 제안한 창의력 증진 훈련방법이다. 속성열거 프로그램에서는 ‘대상물의 주요 속성을 열거하기’, ‘속성을 변경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열거하기’, ‘한 대상물의 속성을 다른 대상물의 속성 변경에 이용하기’ 등을 훈련시킨다.
속성열거법
속성열거법은 1930년대에 네브라스카 대학의 교수인 Robert Crawford가 고안한 기법으로, 공정한 제품과 서비스 개선 기회를 찾기 위한 아이디어 창출 기법이다. 이 기법에서는 문제 해결안이나 개선 아이디어를 찾기 위해 제품이나 서비스나 공정의 속성을 체계적으로 변화시키거나 다른 것으로 대체한다. 속성을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다음과 같다.
속성의 성질 / 의미 / 예 (Ex : 주전자)
명사적 속성 / 전체, 부분, 재료, 제조방법 / 주전자의 손잡이, 뚜껑, 김이나오는 구멍, 동체, 주둥이, 바닥
형용사적 속성 / 성질 / 주전자는 황색, 가볍다, 무겁다, 지저분하다, 크다, 작다
동사적 속성 / 기능 / 주전자는 물을 데운다, 물을 넣는다.
속성열거법의 목적은 팀 구성원들의 아이디어가 막혔을 때나 너무 한쪽으로 치우친 아이디어만 나올 때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오도록 유도하기 위해 사용한다. 문제해결이나 개선 아이디어 획득을 쉽게 하도록 하기 위해 제품이나 공정, 서비스의 성격을 변경하려 할 때 주로 이용되었다. 이를 발명에 대입하여 아이디어에 대한 문제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문제에 관련된 필수적인 속성들을 검사하여 그 속성들을 변경하는데에 사용하고 있다.
작성절차
문제를 어떻게 기술할지를 논의한다.
제품이나 공정이나 서비스의 성격 혹은 속성을 모두 나열한다.
문제에 관련된 본질적인 성격을 식별해서 기록한다.
팀 참가자들이 모든 변경이나 대체의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논의한다.
기록한 정보에 날짜를 표시한다.
* 주의사항 : 초점을 흐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세션 당 속성의 사용을 7개로 제한하도록 한다
[출처] [아이디어발상법6] 속성열거법|작성자 엘리트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