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시설중 가장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중의 하나는 자동화재 탐지시설설비의 화재감지기 선로단선 입니다.
감지기의 선로 단선의 원인은 많기 때문에 뭐라 꼭집어 열거하긴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발신기 세트의 단자대에서 +,-선로가 탈착이 되어도 단선이 되고 감지기 베이스 부분의 접속이 헐거워도
단선으로 표시 되기도 합니다.
또한 인테리어 공사작업중 기존의 감지기 선로 훼손,분기,또는 증설로 인하여 단선이 되기도 합니다.
내부공사시에는 공사 완료후 반드시 화재 감지기의 작동여부를 확인,감지기 교체후에는 전압을 체크하고 그회로의
선로의 정상 유무를 확인하는것이 꼭 필요 합니다.
감지기에는 자동화재 탐지,프리액션,셧터,제연감지기등 여러종류의 감지기가 있어 종류,시설별 선로의 확인이 우선 됩니다.

▶감지기의 종류
열감지기 : 자동화재탐지 설비나 자동소화설비의 화재를 직접적으로 탐지하는 부품을 말하며,공기 평창을 이용한것
열의 축적을 이용
차동식 감지기 : 화재 감지기 주변의 급격한 온도변화가 감지시 경보 (분당 온도차이가 15°이상 상승시 작동)= 거실(사무실),방
정온식 감지기 : 일정 온도 이상 (보통 70°이상인 경우 감지) 감지시 경보 = 주방등 보일러실등 열기구 사용장소
보상식 감지기 : 공기 평창과 열의 축적을 동시에 이용
연기 감지기 : 연기에 의한 이온전류의 변화로 감지 (이온화식,광전식) = 복도,계단,경사로 부분
광전식 감지기 : 유입연기로 인해 발광소자의 빛이 산란되어 수광부로 도달하여 화재신호를 발생 (산란광식,감광식)
분포형 감지기 : 전체 면적을 감지
스포트형 감지기 :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국소 부분을 감지
복합형 감지기: 오동작의 우려가 큰장소
단독형 감지기 : 화재분전함과의 연동없이 자체경고음 발생 건전지사용(가정내)
▶화재감지기
각종 감지기에서 받은 신호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고 있는 수신기에서 받고 이 경보로 비상벨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발신기에 의해 소방관서등에 통보되기 때문에 화재경보설비를 구성하는 기기나 배선등의 신뢰성,보전은 대단이 중요하며
또 대상 건축물등에 대한 감지기의 설치방법이나 배선의 내열,내화등에 관해서는 소방법규에 의해 상세한 설치 기준이 있다.
상업공간,사무공간, 소방공사,전기공사 전문인 저희 우성은 30여년의 현장실무공사경력을
바탕으로 최선을 다하여 고객님의 입장에서 시공해드립니다.
언제나 처음과 같은 마음으로 고객님께 만족드리는공사 정확하고 완벽한 성실시공 신속한 작업처리
공사후 관리까지 고객만족에 최선을 다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책임시공해드립니다.
병원/학원/노유자시설/카페/커피전문점/제과점/공방/노래방/노래주점/단란주점/유흥주점/PC방
오락실/게임방/성인오락실/미용실/맛사지샵/헬스크럽/일반음식점/휴게음료/호프점/공연장등
다중이용업 전기증설(승압)공사,전기공사,소방공사,스프링클러공사,영상음향차단장치,피난유도선,
소방점검 지적사항보수공사,전기안전점검및 소방완비증명서(소방완비필증)대관업무 해드립니다.
저희 우성은 신용과 믿음으로 시공에서 완공까지 내집을 시공하는 자세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주요 업무≫
소방공사 / 소방전기공사 / 수신반,발신기,화재감지기공사 / 영상음향차단장치,설치및 보수 / 간이스프링쿨러공사
화재감지기단선 / 화재감지기이설 / 스프링클러헤드증설,스프링클러헤드이설 / 다중이용업소 소방완비증명서 대관업무
전기공사 / 전기증설 / 전기승압 / 배전반(분전함)제작 / 다중이용업소 전기안전점검 확인서 / 전기필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