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뇌저(腦疽)
입재(立齋)가 이르기를 "뇌저(腦疽)는 방광경(膀胱經)의 적열(積熱)에 속(屬)한다.
습독(濕毒)이 상옹(上壅)하거나, 음허(陰虛)로 화(火)가 치(熾)하거나, 신수(腎水)가 휴손(虧損)하여 음정(陰精)이 소후(消涸)한 소치(所致)이다.
만약 종통(腫痛)하고는 작농(作膿)하지 않으면 마땅히 제습(除濕) 소독(消毒)하여야 한다.
대통(大痛)하거나 불통(不痛)하거나 마목(麻木)하면 독(毒)이 심(甚)한 것이니, 격산구(隔蒜灸)로 하고 다시 해독(解毒)하는 약(藥)을 써야 한다.
종통(腫痛) 변비(便秘)하면 사기(邪)가 내(內)에 있는 것이니, 마땅히 설(泄)하여야 한다.
심(甚)하게 통(痛)하지 않거나 작농(作膿)하지 않으면 허(虛)이니, 탁리(托裏)를 위주로 하여야 한다.
농(膿)이 성(成)하고 창통(脹痛)하면 침(針)으로 하고 다시 탁리(托裏)하여야 한다.
상부(上部)의 맥(脈)이 삭실(數實)하면서 통(痛)하면 마땅히 강화(降火)하여야 한다.
상부(上部)의 맥(脈)이 삭허(數虛)하면서 통(痛)하면 마땅히 자음(滋陰) 강화(降火)를 위주로 하여야 한다.
척부(尺部)의 맥(脈)이 삭(數)하면서 작갈(作渴)하면 자음(滋陰) 강화(降火)하여야 한다.
맥(脈)이 삭(數)하면서 허세(虛細) 무력(無力)하고 혹 농(膿)이 청(淸)하거나 불렴(不斂)하거나 농(膿)이 많으면 혈기(血氣)를 대보(大補)하여야 한다.
작농(作膿)하지 않고 혹 궤(潰)하지 않으면 탁리(托裏)하는 약(藥)으로 주(主)하여야 한다. 번조(煩躁) 음냉(飮冷) 맥실(脈實)하면서 통(痛)하면 마땅히 사화(瀉火)하여야 한다." 하였다.
또 치법(治法)에서 이르기를 "초기(初起)에 종적(腫赤) 통심(痛甚)하고 번갈(煩渴) 음냉(飮冷)하며, 맥(脈)이 홍삭(洪數)하면서 유력(有力)하면 습열(濕熱)의 상옹(上壅)이니, 당연히 황련소독산(黃連消毒散)과 격산구(隔蒜灸)로 습열(濕熱)을 제(除)하여야 한다.
만약 만종(漫腫) 미통(微痛)하고 갈(渴)하여도 음냉(飮冷)하지 못하며, 맥(脈)이 홍삭(洪數)하면서 무력(無力)하면 음허(陰虛)로 화(火)가 치(熾)하는 것이니, 당연히 육미환(六味丸) 및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으로 화원(化源)을 자(滋)하여야 한다.
만약 구설(口舌)이 건조(乾燥)하고 소변(小便)이 빈삭(頻數)하며, 혹 임리(淋漓)하고 작통(作痛)하면 신수(腎水)의 휴손(虧損)이니, 급히 가감팔미환(加減八味丸) 및 앞의 탕(湯)을 써서 근본(根本)을 고(固)하게 하고 인화귀경(引火歸經)하여야 한다.
만약 농(膿)이 불성(不成)하고 부궤(腐潰)하지 않으면 양기(陽氣)의 허(虛)이니, 사군자탕(四君子湯)에 당귀(當歸) 황기(黃芪)를 가한 것으로 하여야 한다.
만약 생기(生肌)하지 않고 수렴(收斂)하지 않으면 비기(脾氣)의 허(虛)이니,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으로 하여야 한다.
만약 색암(色黯) 불궤(不潰)하고 혹 궤(潰)하여도 불렴(不斂)하면 음정(陰精)의 소후(消涸)이니, 이를 명(名)하여 뇌삭(腦爍)이라 하며 불치(不治)이다. 만약 공보(攻補)에 득의(得宜)하면 또한 나을 수도 있다.
대체로 종흔(腫焮) 통심(痛甚)하면 마땅히 활명음(活命飮) 격산구(隔蒜灸)로 하여 어혈(瘀血)을 해산(解散)하고 울독(鬱毒)을 발인(拔引)하여야 한다. 다만 애주(艾炷)는 마땅히 작고도 적게 하여야 한다.
만약 성농(成膿) 부궤(腐潰)하고 생기(生肌) 수렴(收斂)하려면 (격산구를) 탁리(托裏)와 같이 쓰는 것을 위주로 하여야 한다." 하였다.
이씨(李氏)가 이르기를 "뇌저(腦疽) 및 경항(頸項)에 있는 저(疽)는 격산구(隔蒜灸)를 쓰면 안 되니, 독(毒)을 인(引)하여 상공(上攻)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마땅히 구(灸)하되 족삼리(足三里) 혈(穴)에 5장(壯)하고 기해(氣海) 혈(穴)에 21장(壯)하고는, 이어 양혈(凉血) 화독(化毒)하는 약(藥)을 복용하거나 혹 기마혈법(騎馬穴法)으로 구(灸)하여야 한다.
두항(頭項) 인후(咽喉)에 생(生)한 저(疽)는 고법(古法)에 모두 불치(不治)라 하였으나, 만약 이 법(法)을 쓰면 대부분 생(生)할 수 있다.
오향연교탕(五香連翹湯) 누로탕(漏蘆湯) 등과 국로고(國老膏) 만금산(萬金散)에서 모두 선용(選用)할 수 있다." 하였다.
(외과정요([外科精要]: 진자명)에 나온다.)
어떤 노인(老人)이 이를 앓고는 색적(色赤) 종통(腫痛)하고 맥(脈)이 삭(數)하면서 유력(有力)하였다.
황련소독산(黃連消毒散) 2제(劑)를 투여(與)하니, 조금 퇴(退)한다. 다시 청심연자음(淸心蓮子飮) 4제(劑)를 투여(與)하니, 소(消)하였다.
어떤 남자(男子)가 종통(腫痛) 맥삭(脈數)하였다.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 2제(劑)로 하니, 통(痛)이 지(止)하였고, 다시 탁리(托裏) 소독(消毒)하는 약(藥)으로 하였더니, 소(消)하였다.
어떤 남자(男子)가 흔종(焮腫) 동통(疼痛)하고 발열(發熱) 음냉(飮冷)하며 맥(脈)이 홍삭(洪數)하였다.
양격산(凉膈散) 2제(劑)로 하니, 통(痛)이 지(止)하였고, 금은화산(金銀花散) 4제(劑)로 하니, 궤(潰)하였으며, 다시 탁리(托裏)하는 약(藥)으로 하니 나았느니라.
어떤 노부(老婦)가 품(稟)이 장실(壯實)하였는데, 궤(潰)하면서 통(痛)이 부지(不止)하고 맥실(脈實)하며 변비(便秘)하였다.
청량음(淸凉飮) 2제(劑)로 하니 통(痛)이 지(止)하였고, 다시 탁리(托裏) 소독(消毒)하는 약(藥)으로 하니 나았느니라.
어떤 부인(婦人)이 겨울철에 이를 앓으니, 종통(腫痛) 열갈(熱渴)하였다.
내가 청열(淸熱) 소독(消毒)하니, 궤(潰)하고는 나았느니라.
다음 해 3월에 그 설(舌)이 종대(腫大)하고 편신(遍身)에 정(疔)이 발(發)하여 포도(葡萄)와 같으며 그 수(數)를 헤아릴 수 없으며 수족(手足)에 더 많았으니, 이는 비위(脾胃)가 독(毒)을 받은 것이다.
먼저 각각 자(刺)하여 흑혈(黑血)을 출(出)하게 하고, 이어 탈명단(奪命丹) 7립(粒)을 복용하니, 취한(臭汗)이 출(出)하며 창(瘡)에 열(熱)이 더 심(甚)하고 변비(便秘)를 2일 하였다.
이에 대황(大黃) 황금(黃芩) 황련(黃連) 각 3전(錢) 승마(升麻) 백지(白芷) 산치(山梔) 박하(薄荷) 연교(連翹) 각 2전(錢) 생감초(生甘草) 1전(錢)을 물에 달여 3~5비(沸)하고는 복용하게 하니, 대소변(大小便)에 취혈(臭血)이 심(甚)히 많게 나고 하체(下體)에는 다소 퇴(退)하였다.
이에 서각(犀角)을 갈아서 넣은 즙(汁)을 다시 복용하게 하니, 설본(舌本) 및 치봉(齒縫)에 취혈(臭血)이 나오면서 제독(諸毒)이 소(消)하였다. 다시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으로 하니 다 나았느니라.
어떤 부인(婦人)이 앞의 증(證)을 앓아 구건(口乾) 설조(舌燥)하였다.
청열(淸熱)을 내복(內服)하고 한량(寒凉)을 외부(外敷)하니, 색암(色黯) 불흔(不焮<-不臖)하였고, 흉중(胸中)의 기(氣)가 열(噎)하니, 이는 내(內)는 진한(眞寒)이고 외(外)는 가열(假熱)이었다.
그녀가 의(疑)하며 '평소 담화(痰火)가 있어 온보(溫補)하고 싶지 않다.' 하였지만, 내가 인삼(人蔘) 황기(黃芪) 각 5전(錢) 건강(乾薑) 육계(肉桂) 각 2전(錢)으로 하여 1제(劑)를 하니 한꺼번에 궤(潰)하였다. 또 대보(大補)하는 약(藥)으로 하니, 다 나았느니라.
어떤 남자(男子)가 두항(頭項)이 모두 종(腫)하였고, 비록 대궤(大潰)하였지만 종통(腫痛)이 더 심(甚)하고 작사(作瀉)를 겸하며 번조(煩躁) 불수(不睡)하고 음식(飮食)이 소사(少思)하니, 그 세(勢)를 외(畏)할 정도이었다.
진맥(診脈)하니 독(毒)이 여전히 있어서,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 2제(劑)를 투여(與)하니, 종통(腫痛)이 절반으로 퇴(退)하였다. 이묘환(二神丸)과 육군자탕(六君子湯)에 오미자(五味子) 산조인(酸棗仁)을 가한 것으로 4제(劑)를 하니, 제증(諸證)이 약간 퇴(退)하였고 음식(飮食)을 조금 진(進)하였으며 수(睡)도 조금 할 수 있었다. 다시 삼령백출산(蔘苓白朮散)을 여러 번 복용하니, 음식(飮食)을 갑자기 진(進)하였다. 다시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에 금은화(金銀花) 백지(白芷)를 가한 것으로 1개월 정도 하니, 나았느니라.
(이상은 모두 설안(薛按)에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