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독해 1단 한자(200)
001. 家() 집 가 1단 宀|7
宀과 豕(돼지 시)의 합자이다. 돼지(豕)를 한 지붕(宀) 밑에서 키우는 오막살이‘집’을 뜻한다. 옛 날에는 이층집 형태로 밑에는 돼지를 기르고 위에서 사람이 거주하여 사람이 사는‘집’을 뜻하는 자이다.
家長(가장) 國家(국가) 家門(가문) 家事(가사) 家語(가어)
一家門中(일가문중) 家家門前(가가문전) 草家三間(초가삼간)
002. 歌() 노래 가 1단 欠|10
입을 크게 벌려서(欠) 유창하게 소리를 뽑아 올리는 데서(哥노래 가) ‘노래하다’의 뜻이다.
歌手(가수) 校歌(교가) 軍歌(군가) 國歌(국가)農夫歌(농부가)
003. 各() 각각 각 1단 口|3
夂(뒤져서 올 치)와 口의 합자이다. 앞에 온 사람의 말(口)과 뒤에온(夂) 사람의 말이 서로 다르다 하여‘각각’의 뜻으로 된 자이다.
各國(각국) 各自(각자) 各色(각색) 各分(각분) 各地方(각지방)
各人各色(각인각색) 物各有主(물각유주)
004. 間() 사이 간 1단 門/4
닫혀있는 문(門) 틈으로 아침 해(日)의 빛이 새어 들어오는 데서‘사이,틈’의 뜻이다.
空間(공간) 民間(민간) 年間(년간) 同氣間(동기간) 當分間(당분간) 間食(간식) 時間(시간) 間色(간색) 近間(근간) 行間(행간) 多年間(다년간) 長時間(장시간) 今明間(금명간) 空間美(공간미)
005. 江() 강 강 1단
물(氵)이 오랜 세월을 흐르면서 만든(工) 것으로 ‘강’을 뜻한다. 본래 중국에서는 제일 큰 양자강을 뜻한다.
江南(강남) 江郊(강교) 大同江(대동강) 八道江山(팔도강산)
江山不老(강산불로) 萬古江山(만고강산) 生面江山(생면강산)
006. 去() 갈 거) 1단 厶|3
土(그릇 두껑의 변형)과 厶(그릇의 변형)의 합자이다. 안(厶)에 있는 것을 꺼낼 때 뚜껑(土)을 뜯어 제거 한다는 데서‘가다, 떠나다’의 뜻이다.
去來(거래) 去年(거년) 去者(거자) 巨頭(거두) 死去(사거)
007. ⾞( ) 수레 거/수레 차 1단 車|0
수레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수레’의 뜻이다.
車道(차도) 車馬(거마) 客車(객차) 電車(전차) 車路(차로)
車主(차주) 人力車(인력거) 五車書(오거서)
008. 巨() 클 거 1단 工|2
가운데에 손잡이가 달린 커다란 자 막대기의 모양을 본떠‘크다’의 뜻이 된 자이다.
巨大(거대) 巨額(거액) 巨物(거물) 巨商(거상) 巨富(거부)
009. ⽝() 개 견 1단 犬|0
개의 옆 모양을 본뜬 글자로 개의 뜻이다.
軍犬(군견) 犬馬(견마) 犬羊(견양) 名犬(명견)
猛犬(맹견) 狂犬(광견) 忠犬(충견) 鬪犬(투견)
010. ⾒( ) 볼 견/뵈올 현 1단 見|0
사람(儿 )의 가장위에 큰 눈(目)이 있어 잘 보인다는 데서 ‘보다,보이다’의 뜻이다.
見學(견학) 高見(고견) 見利(견리) 外見上(외견상) 先入見(선입견) 明見(명견) 見品(견품) 見本(견본) 見物生心(견물생심)
識見(식견) ) 參見(참견) 謁見(알현) 北京(북경)
011. 京( ) 서울 경 1단 亠|6획
高의 윗 부분과 小(丘)의 합자이다. 높은 언덕위에 지은 궁궐 모양의 집을 본뜬 모양이다.
上京(상경) 東京(동경) 京仁(경인) 北京人(북경인)
012. 古() 예 고 1단 口|2
十(열 십)과 口의 합자이다. 여러대(十)에 걸쳐 입(口)으로 전해 내려오는 옛날 이라는 데서‘예’의 뜻이다.
古代(고대) 古典(고전) 太古(태고) 古今(고금) 古書(고서)
013. 高( ) 높을 고 1단 高/0
성(城) 위에 높이 치솟은 망루를 본뜬 글자로 '높다’의 뜻이다.
高位(고위) 高山(고산) 高祖(고조) 高地(고지) 高見(고견) 高手(고수) 登高(등고) 高姓大名(고성대명) 自高自大(자고자대)
014. 工( ) 장인 공 1단 工|0
어려운 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잣대(工)에서 ‘장인, 만들다’의 뜻이다.
工夫(공부) 石工(석공) 工場(공장) 人工林(인공림) 工學(공학)
名工(명공) 手工(수공) 工事場(공사장) 人工美(인공미)
015. 功() 공 공 1단 力|3
工(장인 공)과 力의 합자이다. 뼈가 휘도록 힘(力)껏 일하여(工)이루어진 결과 즉‘공로’를 뜻하는 자이다.
年功(연공) 有功(유공) 功力(공력) 功名心(공명심)
016. 共() 공평할 공 1단 八|4
卄(스물 입) 과 廾(두손 맞잡을 공)의 합자이다. 많은(卄) 사람들이 힘을(廾)합쳐 일 한다는 데서‘함께’의 뜻이다.
共同(공동) 共有(공유) 共生(공생) 反共(반공) 共有物(공유물)
男女共學(남녀공학) 共同文學(공동문학) 共有者(공유자)
017. 空() 빌 공 1단 穴|3
굴(穴)을 뚫는 공사(工)를 끝내니 하늘이 보인다는 데서 ‘비다, 하늘’의 뜻이다.
空氣(공기) 空間(공간) 空軍(공군) 空家(공가) 空手(공수)空間美(공간미) 半空日(반공일) 空力(공력) 空山明月(공산명월)
018. 光() 빛 광 1단 儿|4
火(불 화)와 儿의 합자이다. 사람(儿)이 불을 들고 있으니 밝게 빛 난다는 데서‘빛’의 뜻이다.
月光(월광) 光明(광명) 光年(광년) 日光(일광) 火光(화광)
019. 交( ) 사귈 교 1단 亠|4획
사람이 발을 엇갈리게 꼬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外交(외교) 交信(교신) 交代(교대) 交分(교분) 國交(국교) 交友(교우) 面交(면교) 外交家(외교가)
020. 敎 가르칠 교 1단 攴|7
子(아들 자)와 攵(칠 복)이 의미부이고 爻(효 효)가 소립부로 아이에게 새끼매듭 지우는법 가르치는 모습을 그린자이다. 새끼매듭은 結繩文字(결승문자) 형태로 기억을 보조하던 수단으로‘가르치다’의 뜻이다.
敎育(교육) 國敎(국교) 天主敎(천주교) 敎本(교본) 學校敎育(학교교육) 敎友(교우) 敎室(교실) 敎育者(교육자)
021. 校() 학교 교 1단 木|6
나무(木)를 엇갈리게(交) 해서 만든 책상이나 걸상이 있는 곳으로 선생과 학생이 섞여 공부하는 곳 ‘학교’이다.
校歌(교가) 學校(학교) 高校(고교) 校長(교장) 母校(모교) 休校(휴교) 校門(교문) 中學校(중학교)
022. 九( ) 아홉구 1단 乙|1획
다섯 손가락을 위로 펴고 나머지손의 네 손가락을 옆으로 편 모양을 나타낸 글자이다.
九牛(구우) 十中八九(십중팔구) 九年之水(구년지수)
023. 口() 입 구 1단 口|0
사람의 입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입’의 뜻이다.
家口(가구) 食口(식구) 人口(인구) 口頭(구두) 客食口(객식구)
一口二言(일구이언) 有口不言(유구불언)
024. 國() 나라 국 1단 ⼞|8
⼞과 或(혹시 혹)의 합자이다. 或자는 인구(口)와 창(戈) 및 땅(一)의 합자이다. 국경선에 방책(⼞)을 둘러 치고 적이 침입 하지 못 하도록 무기(戈)를 들고 국민(口)과 국토(一)지킨다는 데서 ‘나라’의 뜻이다.
祖國(조국) 國民(국민) 國家(국가) 韓國(한국) 中國(중국) 國會(국회) 國軍(국군) 國語(국어) 國土(국토) 國民年金(국민연금)
025. 軍() 군사 군 1단 車|2
전차(車)를 빙 둘러싸고(勹)있는 사람으로 ‘軍士(군사)’의 듯이다.
國軍(국군) 軍隊(군대) 陸軍(육군) 海軍(해군) 敵軍(적군)
026. 近() 가까울 근 1단 ⾡|4
물건을 달때 저울추(斤)를 옮겨가는(⻍) 거리가 짧다는 데서 ‘가깝다’의 뜻이 된 자이다.
隣近(인근) 最近(최근) 近似(근사) 側近(측근) 近處(근처)
027. 今( ) 이제 금 1단 人|2획
세월이 흐르고 흘러(亼) 지금에 이르렀다는 뜻이다.
今年(금년) 今週(금주) 昨今(작금) 今明間(금명간) 今昔之感(금석지감) 今時初聞(금시초문)
028. 己() 몸 기 1단 己|0
허리를 굽히고 있는 사람 모양으로‘몸, 자기’의 뜻이다.
自己(자기) 克己(극기) 知己(지기) 克己訓鍊(극기훈련)
029. 記() 기록할 기 1단 言|3
무릎을 꿇고 말씀(言)하는 바를 받아 적는 데서 ‘기록하다, 적다’의 뜻이다.
筆記(필기) 暗記(암기) 史記(사기) 速記(속기) 記錄(기록
030. 氣() 기운 기 1단 气|6
밥(米쌀 미)을 지을 때 솥에서 나는 김(气)의 모양에서 ‘기운’의 뜻이다.
活氣(활기) 香氣(향기) 電氣(전기) 精氣(정기) 勇氣(용기)
031. 金() 쇠 금. 성(姓) 김 1단 金/0
亼(모일 집)과 土 의 합자로 흙 속에 덮여있는 광석(丷)인 ‘금’을 뜻하는 자이다.
金庫(금고) 金塊(금괴) 金銀(금은) 獻金(헌금) 料金(요금) 貯金(저금) 稅金(세금) 賞金(상금) 積金(적금) 賃金(임금) 罰金(벌금)
032. 男() 사내 남 7급 田|2
밭(田)에서 힘써(力) 일하는 데서 사내의 뜻이다.
妻男(처남) 男妹(남매) 得男(득남) 長男(장남) 男便(남편)
033. 南() 남녘 남 1단 十|6
지면(冂)을 초목(半)이 움터 나오는(十) 남쪽의 따뜻한 바람이 부는 데서‘남녘’의 뜻이다.
南向(남향) 南風(남풍) 嶺南(영남) 湖南(호남) 南極(남극)
034. 內() 안 내 1단 入|2
冂(멀 경)과 入의 합자이다. 집(冂) 또는 빈속으로 들어(入)간다 하여‘안’의 뜻이다.
室內(실내) 內容(내용) 內閣(내각) 內科(내과) 內務班(내무반) 內容物(내용물)
035. 女() 계집 녀 1단 女|0
여자가 모로 꿇어 앉은 모습을 상형한 글자이다.
女傑(여걸) 淑女(숙녀) 仙女(선녀) 孝女(효녀) 烈女(열녀)
036. 年() 해 년 1단 干|3
본래 자향은 秊(해 년) 또는 䄵(해 년)이다. 禾(벼 화) 와 千(일천 천)의 합자이다. 많은(千) 곡식(禾)들이 자라 익는 기간을 가리켜 ‘해’의 뜻이 된 자이다.
豊年(풍년) 靑年(청년) 幼年(유년) 年老(연로) 年末(연말)
037. 農() 농사 농 1단 辰|6
아직 별(辰)이 보이는 이른 시간에 일어나 밭에 나아가 도구(曲)를 갖고 일하는 데서 ‘농사’의 뜻이다.
農業(농업) 農藥(농약) 營農(영농) 農耕(농경) 勸農(권농)
038. 多() 많을 다 1단 夕|3
夕의 둘의 합자이다. 어젯밤(夕)과 오늘밤(夕)이 거듭되어 날짜가 많아진다는 뜻이다. 또는 夕을 肉(고기 육)의 생략형 으로 보아 고기가 많이 쌓인 모습으로 보기도 한다.
多少(다소) 過多(과다) 播多(파다) 多福(다복) 多讀(다독)
039. 當() 마땅 당 1단 田|8
밭(田)은 소중히 여기고 높이(尙) 평가하는 것은 마땅하다는 데서 ‘마땅하다, 맞다’의 뜻이다.
該當(해당) 充當(충당) 配當(배당) 妥當(타당) 合當(합당)
040. 答() 대답 답 1단 竹|6
대쪽에 써온 편지 내용에 맞게 (合) 답을 써서 보낸다는 데서 ‘대답’의 뜻이다.
和答(화답) 回答(회답) 應答(응답) 問答(문답) 確答(확답)
041. 大( ) 큰 대 1단 大|0
어른이 양팔을 벌리고 서 있는 모습이‘큼’을 가리킨 자이다.
大地(대지) 雄大(웅대) 盛大(성대) 遠大(원대) 大量(대량)
042. 代( ) 대신할 대 1단 人|3획
亻변에 弋(주살익. 푯말익)의 합자이다. 푯말을 세워 사람을 대신한다. 또는 국경에 세워둔 말뚝 세워 사람을 대신 한다는 의미로 쓰이는 글자이다.
歷代(역대) 代讀(대독) 代價(대가) 代案(대안) 代名詞(대명사) 代辯人(대변인) 世代交替(세대교체)
043. 刀() 칼 도 3급Ⅱ 刀|0
칼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칼의 듯이다.‘자르다, 베다’등의로 쓰인다.
短刀(단도) 竹刀(죽도) 面刀(면도) 亂刀(난도)
044. 道() 길 도 1단 ⾡|9
사람의 머리(首)가 움직이며 오가는(⻍) 데는 길이 있다는 데서 ‘길’의 뜻이다. 길은 사람을 특정 장소로 바르게 이끈 다는 데서 ‘도리’의 뜻이다.
孝道(효도) 修道(수도) 軌道(궤도) 正道(정도) 佛道(불도)
045. 冬() 겨울 동 1단 冫|3
夂(뒤져올 치)와 冫의 합자이다. 사계절 중에서 맨뒤에 오는 절기로 얼은이 어는(冫) 겨울을 뜻하는 자이다. 또는 노끈을 양쪽의 끝을 묶어 매듭을 지은 모양을 본뜬 글자로 마치다. 농사를 마치고 집에서 새끼나 꼬는 계절로 ‘겨울’ 이라는 뜻으로도 쓰여진다. 越冬(월동) 冬服(동복) 冬眠(동면) 冬至(동지)
046. 同() 한가지 동 1단 口|3
사람들의 의견(口)이 먼곳(冂)으로부터 한(一)가지로 합쳐져 있다는 데서‘같다’의 뜻이다.
共同(공동) 同席(동석) 同時(동시) 協同(협동) 合同(합동)
047. 東() 동녘 동 1단 木|4
나무가지 사이로 해(日)가 나오는 모양으로 해 뜨는 방향 ‘동녘’의 뜻이다.
極東(극동) 嶺東(영동) 海東(해동) 東方(동방) 東窓(동창)
048. 洞() 골 동/밝을 통 1단 水|8
통로의 넓이가 같아(同) 물(氵)이 앞에서 뒤로 막힘없이 흐르는 데서 ‘골, 통하다’의 뜻이다.
洞長(동장) 洞里(동리) 空洞(공동) 洞察(통찰) 洞達(통달)
049. 童() 아이 동 1단 立|7
마을(里)에 들어가 보면 아이들은 서서(立) 논다는 데서 ‘아이’의 뜻이다.
童話(동화) 童謠(동요) 童顏(동안) 牧童(목동) 兒童(아동)
050. 頭() 머리 두 1단 頁/7
사람의 머리(頁)가 윗부분이 큰 제사용 그릇(豆) 모양과 같다는 데서,‘머리’의 뜻이다.
沒頭(몰두) 念頭(염두) 口頭(구두) 先頭(선두) 語頭 (어두) 序頭(서두) 話頭(화두)
051. 登() 오를 등 1단 癶|7
두 발을 벌리고 걸어(癶) 디딤대(豆) 위에 발을 올려 놓는 데서 ‘오르다’의 뜻이다.제기를 등에지고 제단등에 오르는 모습으로 보기도 한다.
登錄(등록) 登山(등산) 登載(등재) 登程(등정) 登場(등장)
052. 登() 오를 등 1단 癶|7
두 발을 벌리고 걸어(癶) 디딤대(豆) 위에 발을 올려 놓는 데서 ‘오르다’의 뜻이다.제기를 등에지고 제단등에 오르는 모습으로 보기도 한다.
登錄(등록) 登山(등산) 登載(등재) 登程(등정) 登場(등장)
053. 力() 힘 력 1단 力|0
팔에 힘을 주었을 때 알통이 생기는 모양 또는 어깻쭉지에 나타나는 힘살을 본뜬 글자이다.
力道(역도) 權力(권력) 能力(능력) 國力(국력) 勞力(노력)
054. ⽼( ) 늙을 로 1단 老|0
허리 굽은(匕) 백발의 늙은이(耂= 毛+人)가 지팡이를 짚고 있는 모양을 나타내어 된 자.
老鍊(노련) 元老(원로) 老年(노년) 老衰(노쇠) 老患(노환)
056. 六() 여섯 륙 1단 八|2
두 손가락을 세 개씩 펴 서로 맞된 모양에서 여섯을 가리 킨자이다. 또는 지븡(亠)과 기둥(八)만 있는 동,서,남,북,상,하,의 여섯 방향과 통하는데서‘여섯’의 뜻이다.
六法(육법) 六旬(육순) 六甲(육갑) 六親(육친) 六感(육감)
057. 利() 이할 리 1단 刀|5
禾(벼 화)와 刂의 합자이다. 벼(禾)를 베는(刂)끝이 날카로운 모습에서‘날카롭다’의 뜻이다. 농사(禾)를 지어 거두어(刂) 들이니‘이롭다’의 듯이다.
利得(이득) 利益(이익) 金利(금리) 勝利(승리) 權利(권리) 便利(편리)
058. 李() 오얏 리 1단 木|3
나무(木)의 열매(子)란 뜻인데 특히 ‘오얏(자두)’를 나타내며 성씨로 쓰인다.
桃李(도리) 行李(행리) 李氏(이씨) 張三李四(장삼이사)
059. 里() 마을 리 里/0
밭(田)과 흙(土)이 있는 곳에는 마을이 있는 데서, ‘마을’의 뜻이다.
洞里(동리) 鄉里(향리) 十里(십리) 里程標(이정표) 五里霧中(오리무중)
060. ⽴( ) : 설 립 1단 立|0
사람이 땅위에 서있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로 ‘서다’의 뜻이다.
立法(입법) 立脚(입각) 立體(입체) 創立(창립) 設立(설립)
061. 馬( ) 말 마 1단 馬/0
말의 옆 모양을 본뜬 글자로,'말’의 뜻이다.
車馬(거마) 騎馬(기마) 驛馬(역마) 乘馬(승마) 鐵馬(철마) 落馬(낙마) 競馬(경마)
062. 萬() 일만 만 1단 艸|9
벌의 촉각(艹) 마디진 몸통(日) 발(禸) 모양을 본떠 된자이다. 벌이 무리를 지어 그 수가 많은데서 ‘일만’의 뜻으로 두루 쓰인다.
萬能(만능) 萬歲(만세) 萬若(만약) 萬感(만감) 萬事(만사)
063. 末() 끝 말 1단 木|1
나무(木)에 끝에 ‘一’표시를 한 것으로 ‘끝’의 뜻이다.
結末(결말) 終末(종말) 粉末(분말) 月末(월말) 年末(연말)
064. 每() 매양 매 1단 毋|3
어미가 매양 아기를 안고 젖을 물리듯(母) 풀은 매양 돋아난다는 데서 ‘매양’의 뜻이다.
每週(매주) 每時(매시) 每回(매회) 每樣(매양) 每事(매사)
065. 面( ) 낯 면 1단 面/0
테두리(□)를 하고 그 안에 눈(目) 또는 코 따위를 그려 넣은 것으로, '낯, 얼굴’의 뜻이다.
表面(표면) 顔面(안면) 畫面(화면) 覆面(복면) 誌面(지면) 側面(측면)
066. 名() 이름 명 1단 口|3
夕(저녁 석)과 口의 합자이다. 어두운 밤에는 보이지 않아 구별짓기 위해 큰 소리로 외쳐 부른(口)는데서‘이름’의 뜻이다.
名稱(명칭) 名門(명문) 名譽(명예) 假名(가명) 呼名(호명)
067. 明() 밝을 명 1단 日|4
해(日)와 달(月)이 밝다는 떼서 ‘밝다’의 뜻이다. 또는 창문에 비추는 달이라는 데서 ‘밝다’의 뜻이다.
賢明(현명) 克明(극명) 證明(증명) 表明(표명) 發明(발명)
068. ⽑( ) 털 모 1단 毛|0
짐승의 꼬리털이나 새의 깃털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터럭’의 뜻이다.
毛髮(모발) 毛織(모직) 脫毛(탈모) 毛根(모근) 純毛(순모)
069. 母() 어미 모 1단 毋|1
여자(女)가 자라서 아이를 갖게 되면 아이가 먹을 젖무덤 즉 어머니 유방을 그린 글자이다. 아이를 젖을 먹여 기르는 ‘어머니’를 가리킨 글자이다.
母親(모친) 賢母(현모)母國(모국) 母校(모교) 母情(모정)
070. ⽊( ) 나무 목 1단 木|0
땅에 뿌리를 내리고 뻗어가는 나무의 모양으로 ‘나무’의 뜻이다.
植木(식목) 枯木(고목) 果木(과목) 木蓮(목련) 苗木(묘목)
071. 目( ) : 눈 목 1단 目|0
눈의 흰자위와 검은 자위로 이뤄진 ‘눈’ 모양을 본뜬 자이다.
眼目(안목) 條目(조목) 題目(제목) 項目(항목) 要目(요목)
072. 文( ) 글월 문 1단 文|0
사람의 가슴에 글씨, 그림, 무늬, 등 문신을 새겨 넣은 모습을 본뜬 글자로 ‘무늬, 문채, 글월’의 뜻이다.
誓文(서문) 原文(원문) 祭文(제문) 作文(작문) 論文(논문)
073. 門() 문 문 1단 門/0
좌우의 여닫이 문을 본뜬 글자로,‘문’의 뜻이다.
房門(방문) 敎門(교문) 專門(전문) 窓門(창문) 關門(관문) 同門(동문)
074. 問() 물을 문 1단 口|8
門(문 문)과 口의 합자이다. 문에 들어 서면서 안부(口)를 묻거나 사람을 부른다는 데서‘묻다’의 뜻이다.
問安(문안) 問題(문제) 顧問(고문) 質問(질문) 慰問(위문)
075. 物() 물건 물 1단 牛|4
옛 날 농업 사회에서 소중한 물건 가운데 소만한 것은 없었다. 소(牛)외는 언급 말라(勿)는 데서 ‘물건’의 뜻이다.
汚物(오물) 財物(재물)生物(생물) 寶物(보물) 建物(건물)
077. ⽶( ) 쌀 미 1단 米|0
쌀을 본뜬 글자로 ‘쌀’의 뜻이다.
玄米(현미) 米穀(미곡) 供養米(공양미) 精米所(정미소)
078. 美() 아룸다울 미 1단 羊|3
큰(大) 양(羊)이 살져 ‘아름답게’ 보임을 뜻하여 된 자이다. 살진 양고기가 맛있다는 데서 ‘맛나다’의 뜻이다.
美貌(미모) 優美(우미) 美麗(미려) 美談(미담) 美德(미덕)
079. 朴() 성 박/순박할 박 1단 木|2
나무(木)의 껍질(卜)이 자연 그대로 꾸밈이 없다는 데서 ‘순박하다’의 뜻으로 쓰이며 성씨로도 쓰인다.
素朴(소박) 質朴(질박) 淳朴(순박) 朴氏(박씨)
080. 反() 돌이킬 반 1단 又|2
厂(바위 엄)과 又의 합자이다. 넓적한 돌(厂)을 손(又)으로 뒤집었다, 엎었다 한다 하여 ‘뒤치다, 돌이키다’의 뜻이다.
反對(반대) 反復(반복) 相反(상반) 反論(반론) 反則(반칙)
081. 半() 반 반 1단 十|3
八(나눌 팔)과 牛(소 우)의 합자이다. 소(牛)를 2등분(八)한 한쪽으로‘반, 절반’의 뜻이다.
半減(반감) 折半(절반) 半身(반신) 殆半(태반) 過半(과반)
082. ⽅( ) 모 방 1단 方|0
두척의 배를 나란히 묶어 놓은 모양을 본뜬 글자로 배주위가 네모져 보이는 데서‘모나다, 모’의 뜻이다.
邊方(변방) 地方(지방) 方便(방편) 雙方(쌍방) 前方(전방)
083. ⽩( ) : 흰 백 1단 白|0
햇빛을 본뜬 글자로 해(日)가 비치면 그 빛(丶)이 밝은 데서 ‘희다, 밝다’의 뜻이다.
空白(공백) 黑白(흑백) 獨白(독백) 淡白(담백) 白髮(백발)
084. 百() 일백 백 1단 白|1
하나(一)에서 일백까지 세 면 크게 오쳐(白) 計數(계수)를 일단락 지은데서 ‘일백’의 뜻이다.
百穀(백곡) 百方(백방) 百姓(백성) 百歲(백세) 百出(백출)
085. 步() 걸음 보 1단 止|3
왼발과 오른발 두발(止)을 차례로 내 딛는 데서 ‘걸음, 걷다’의 뜻이다.
步幅(보폭) 競步(경보) 讓步(양보) 踏步(답보) 進步(진보)
086. 本() 근본 본 1단 木|1
나무의 끈본은 뿌리가 있으므로 나무(木)의 뿌리에 ‘一’을 표시하여 ‘근본’의 뜻이다.
根本(근본) 標本(표본) 寫本(사본) 基本(기본) 本疾(본질)
087. 父( ) 아비 부 1단 父|0
손에 회초리를 들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집안을 거느리는 ‘아비’의 뜻이다.
父親(부친) 祖父(조부) 叔父(숙부) 父權(부권) 父母(부모)
088. 夫() 지아비 부 1단 大|1
다 큰 사람(대)이 갓(亠)을 쓰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글자로‘지아비, 사내’의 뜻이다. 또는 사람의 정면 모습에 비녀를 꽂은 모습으로 ‘성인’의 뜻으로 보기도 한다.
夫婦(부부) 夫子(부자) 丈夫(장부) 農夫(농부) 妹夫(매부)
089. 北() 북녘 북/달아날 배 1단 匕|3
두 사람이 서로 등을 맞댄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이다. 서로 등저‘배반하다, 달아나다’의 뜻이다. 또한 사람들이 집을 남향으로 지었던 데서 남녘과 등진‘북녘’의 뜻이 된 자이다.
北極(북극) 北方(북방) 敗北(패배) 越北(월북) 北伐(북벌)
090. 分() 나눌 분 1단 刀|2
八(나눌 팔)고 刀(칼 도)의 합자이다. 칼(刀)로 물건을 나눈다(分)뜻으로 된자로 ‘나누다’의 뜻이다. 또한 카로 쪼개듯이 사리를 가린다 하여 ‘분별하다’의 뜻으로도 쓰인다.
分離(분리) 分割(분할) 半分(반분) 分析(분석) 分擔(분담) 分納(분납) 分期(분기)
091.不( ) 아닐 불 1단 一|3획
새가 하늘로 올라가 내려오지 않다.
不進(부진) 不渡(부도) 不實(부실) 不利(불리) 不明(불명) 不快 (불쾌) 不動産(부동산) 父傳子傳(부전자전) 不恥下問(불치하문)
092. 士( ) 선비사 1단 士|0
하나(일)를 들으면 열(십)을 아는 슬기로운 사람이라 하여‘선비’의 뜻이다.
學士(학사) 博士(박사) 武士(무사) 鬪士(투사) 烈士(열사)
093. 四() 넉 사 1단 ⼞|2
二와 二의 합자이다. 본래는 막대기 4개()를 늘어 놓아‘넷’의 뜻을 나타낸 자이다. 또는 나라의 경계(⼞)를 동서남북으로 나눈(八)데서 ‘넷’을 뜻 하기도 한다.
四角(사각) 四面(사면) 四方(사방) 四海(사해) 四聲(사성)
094. 事( ) 일 사 1단 亅|7획
신을 섬기는 사람이 기원문을 매단 깃대를 손에 뒤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事件(사건) 奉事(봉사) 事業(사업) 監事(감사) 茶飯事(다반사) 不祥事(불상사) 事必歸正(사필귀정) 已往之事(이왕지사)
095. 山() 메 산 1단 山|0
우뚝 솟은 산봉우리를 본떠‘산’을 뜻한다.
山脈(산맥) 鑛山(광산) 山頂(산정) 山積(산적) 山賊(산적)
096. 三( ) 석 삼 1단 一|2획
막대기 세 개를 가로 놓은 모양이다.
三角(삼각) 三男(삼남) 三壘(삼루) 三虞(삼우) 三國志(삼국지) 三多島(삼다도) 三人稱(삼인칭) 三綱五倫(삼강오륜) 三權分立(삼권분립) 三省五身(삼성오신) 朝三暮四(조삼모사) 三從之道(삼종지도) 三尺童子(삼척동자) 三寒四溫(삼한사온)
097. 上 ( ) 윗 상 1단 一|2획
기준점이 되는 一에 윗부분을 나타냈다.
上京(상경) 上古(상고) 上空(상공) 上官(상관) 上納(상납) 上同(상동) 上梁(상량) 上佐(상좌) 上古時代(상고시대) 上求菩提(상구보리) 上級學校(상급학교) 上善(상선약수) 上下(상하화목)
098. 色() 빛 색 1단 色|0
⺈(人=사람인)과 巴(㔾=병부절)의 합자로, 사람(⺈) 마음의 움직임이 마치 무릎마디(巴)가 들어 맞듯이 바로 얼굴에 나타남을 가리켜 ‘낯빛’의 뜻이 된자이다. 또는 수컷(⺈)이 암컷(巴=꼬리 파)에 머무는 모양을 본떠 된자로 발정기에는 몸빛이 윤이 나는 데서 ‘색’의 뜻으로 쓰이게 된 자이다.
色彩(색채) 顔色(안색) 染色(염색) 脚色(각색) 難色(난색)
099. ⽣() 날 생 1단 生|0
흙에서(土) 싹(屮싹날 철)이 나오는 모습을 본뜬 것으로 ’낳다, 살다‘의 뜻이다.
衆生(중생) 更生(갱생) 誕生(탄생) 殺生(살생) 還生(환생)
100. 西() 서녘 서 8급 襾|0
새가 둥지에 깃들은 모양을 그린 글자로 새가 둥지를 찾아 드는것은 해가 서족으로 질 때라는 데서 ‘서녘’의 듯이다. 또는 술을 걸러 먹는 용수를 본떠 흔히 술을 마시는 때인 ‘해질’무렵을 뜻하여 된자이다.
西洋(서양) 西風(서풍) 西海(서해) 西曆(서력) 嶺西(영서)
101. 書() 글 서 1단 曰|6
붓(聿붓 율)을 쥐고 종이(口)에 글 씨(一)를 쓰는 데서 ‘글, 편지, 쓰다’의 뜻이다.
葉書(엽서) 圖書(도서) 書籍(서적) 讀書(독서) 願書(원서)
102. 夕() 저녁 석 1단 夕|0
저무는 하늘에 희게뜬 반달 모양을 본떠‘저녁’을 가리킨 자이다.
夕陽(석양) 夕刊(석간) 朝夕(조석) 秋夕(추석) 七夕(칠석)
103. ⽯( ) 돌 석 1단 石|0
벼랑(厂)밑에 흩어져 있는 돌(口)을 뜻한 자이다.
寶石(보석) 礎石(초석) 盤石(반석) 巖石(암석) 碑石(비석)
104. 先() 먼저 선 1단 儿|4
之(갈지의 변형)과 儿의 합자이다. 다른 사람보다 앞서 간다는 데서‘먼저, 앞서다’의 뜻이다.
先生(선생) 先例(선례) 先約(선약) 于先(우선) 先頭(선두) 先覺者(선각자) 先驅者(선구자)
105. ⾆( ) 혀 설 1단 舌|0
입(口) 인의 혀(干)를 내민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또는 입안에서 말할 때나 먹을 때 방패 같은 구실을 한다는 데서 ‘혀’를 뜻한 자이다.
舌戰(설전) 毒舌(독설) 舌禍(설화) 舌音(설음) 口舌數(구설수)
106. 姓() 성 성 1단 女|5
女와 生(날 생)의 합자이다. 여자(女)가‘아이를 낳는다(生)’는 뜻이다. 옛날에는 모계 사회로 어머니(女)의 성이나 아이를 낳은(生) 지명을 좇아‘성씨’를 삼았다는 데서‘성(姓)’의 뜻이다.
姓名(성명) 同姓(동성) 百姓(백성) 本姓(본성) 他姓(타성)
107. 世( ) 인간 세 1단 一|4획
十이 3개로 한세대가 삼십년을 뜻한다.
世界(세계) 世代(세대) 世代交替(세대교체) 俗世(속세)
108. 小( ) 작을 소 1단 小|0
점(丶) 셋으로 물건의‘작은 모양’을 나타낸 자이다. 또는 칼(亅)로 나누면(八) 크기가 작아지는 데서‘작다’의 뜻으로도 쓰인 자이다.
小說(소설) 縮小(축소) 最小(최소) 極小(극소) 小康(소강)
109. 少() 적을 소 1단 小|1
小와 ⼃의 합자이다. 물체의 일부가 끊어져서(丿) 양이‘작아짐(소)’을 뜻 한 자이다. 小가 주로 모양이나 크기가‘작다’라고 쓰인다면, 少는 주로 부피나 양이 적다는 뜻으로 쓰이며, 또한 나이가 적다는 데서‘젊다’등의 뜻으로 쓰인다.
少年(소년) 少壯(소장) 減少(감소) 多少(다소) 少額(소액)
110. 所() 바 소 1단 戶|4
戶와 斤(도끼 근)의 합자이다. 외짝문(戶)이 열린것처럼 도끼(斤)에 비스듬히 찍힌 자국을 가리켜‘곳’의 뜻이 된 자이다.
所聞(소문) 所以(소이) 場所(장소) 住所(주소) 所得(소득)
111. ⽔( ) 물 수 1단 水|0
흐르는 물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물’의 뜻이다.
潛水(잠수) 溫水(온수) 淡水(담수) 洪水(홍수) 漏水(누수)
112. 手() 손 수 1단 手|0
다섯 손가락과 손목등 손을 본뜬 글자로 ‘손’의 뜻이다.
手足(수족) 選手(선수) 手段(수단) 拍手(박수) 投手(투수)
113. 首() 머리 수 首/0
사람의 머리 모양을 본뜬 글자로, '머리’의 뜻이다.
部首(부수) 元首(원수) 黨首(당수) 首席(수석) 首腦(수뇌) 首肯(수긍)
114. ⽰( ) : 보일 시 5급 示|0
신 에게 제사지내는 곳의 제단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神(신)의 뜻을 내포하고 있고 신에게 기도 하는 마음이 표시 되는 데서 ‘보이다’의 뜻이다.
指示(지시) 暗示(암시) 啓示(계시) 默示(묵시) 豫示(예시)
115. 市() 저자 시 1단 巾|2
천(巾)을 사러 가는(亠=之 갈지) 곳 이라는 데서‘저자’의 뜻이다. 또는 시장에 갈(亠=之) 때 옷(巾)을 입고 감을 가리켜‘저자’의 뜻으로 보기도 한다.
市場(시장) 市販(시판) 市政(시정) 市勢(시세) 市價(시가)
116. 時() 때 시 1단 日|6
옛날에 관청이나 절(寺관청시. 절사)에서 해(日)의 위치로 시각을 잰대는 데서 ‘때’의 뜻이다.
時節(시절) 時期(시기) 戰時(전시) 暫時(잠시) 時速(시속)
117. 信( ) 믿을 신 1단 人|7
亻변과 말씀 언(언)의 합자이다. 사람(人)의 말(言)에 거짓이 없어야 하고 듣는 사람도 그대로 믿어야 한다는데서 ‘믿다’의 뜻이다.
通信(통신) 迷信(미신) 信用(신용) 信賴(신뢰)
118. 食() 밥/먹을 식 1단 食/0
그릇에 음식을 담고 뚜껑을 덮은 모양을 본뜬 것으로, '밥,먹다’의 뜻이다.
禁食(금식) 宿食(숙식) 穀食(곡식) 給食(급식) 配食(배식) 別食 (별식) 食糧(식량)
119. 植() 심을 식 1단 木|8
나무(木)를 똑바로(直) 세우는 데서 ‘심다’의 뜻이다.
移植(이식) 假植(가식) 腐植(부식) 植樹(식수) 植木(식목)
120. 失() 잃을 실 1단 大|2
사람의 손(手)에서 물건이 곡선을 그으며 떨어졌(㇏)다는 데서 ‘잃다’의 뜻이다.
失手(실수) 過失(과실) 失機(실기) 損失(손실) 得失(득실)
121. 室() 집 실 1단 子|6
宀과 至(이르 지)의 합자이다. 집(宀)에서 사람이 머무르는(至)곳으로 즉‘방, 집’의 뜻이다. 또한 집안에는 주로 아내가 머무는 곳 이라서‘아내’의 뜻으로도 쓰인다.
敎室(교실) 室內(실내) 溫室(온실) 居室(거실) 病室(병실)
122. 心() 마음 심 1단 心|0
심장의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옛 사람들은 마음의 활용이 심장에서 비롯한 것으로 이해 한데서 ‘마음’의 뜻이다.
審定(심정) 操心(조심) 觀心(관심) 孝心(효심) 疑心(의심)
123. 十() 열 십 1단 十|0
一의 한 가운데를 丨로 내리 그은 자이다. 수는‘一’에서 시작하여 열에서 한 계단이 끝남을 가리키는‘丨’을 덧 걸어‘열’을 나타 낸 자이다.
十戒(십계) 十里(십리) 十進法(십진법) 赤十字(적십자)
124. 安() 편안할 안 1단 子|3
宀과 女의 합자이다. 집안(宀)에 여자(女)가 있으면서 살림을 잘하면 집안이 편안 하다는 데서‘편안하다’의 뜻이다.
安心(안심) 安全(안전) 便安(편안) 未安(미안) 安危(안위)
125. ⽺( ) 양 양 1단 羊|0
양(羊)의 머리를 본 뜬 글자로 ‘양’의 뜻이다.
羊毛(양모) 羊皮(양피) 九折羊腸(구절양장) 羊頭狗肉(양두구육)
126. 洋() 큰바다 양 1단 水|6
많은 (羊) 떼가 움직이듯 한꺼번에 움직이는 모양처럼 출렁이는 큰 물(氵)이라는 데서 ‘큰 바다’의 뜻이다.
遠洋(원양) 東洋(동양) 海洋(해양) 洋屋(양옥) 洋裝(양장)
127. 語() 말씀 어 1단 言|7
제각기 자기(吾)의 생각을 말(言)로 나타내어 논란 한다는 데서 ‘말씀’의 뜻이다.
語源(어원) 語根(어근) 標語(표어) 隱語(은어) 語感(어감)
128. 魚( ) 고기/물고기 어 1단 魚/0
물고기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물고기’의 뜻이다.
魚雷(어뢰) 魚類(어류) 魚梁(어량) 魚族(어족) 魚肉(어육) 魚物(어물)
129. ⾔( ) 말씀 언 1단 言|0
혀와 입을 본뜬 글자를 합한 것으로 ‘말하다, 말씀’의 뜻이다.
話(화)는 이야기 하다. 語(어)는 서로 논란함. 說(설)은 밝히는 말. 談(담)은 주고 받는 말.
言語(언어) 證言(증언) 妄言(망언) 言動(언동) 誓言(서언)
130. 英() 꽃부리 영 1단 艸|5
화초(艸)의 중심(央)이 되는 부분 이라는 데서 ‘꽃부리’의 뜻이다. 꽃부리와 같이 빛나고 뛰어 나다는 데서 ‘英雄(영웅)’의 뜻으로도 쓰인다.
英語(영어) 英特(영특) 育英(육영) 英才(영재) 英傑(영걸)
131. 午() 낮 오 1단 十|2
午는 본래 杵(공이저)의 본자이다. 두 사람이 번갈아 가며 찧는 절굿공이를 본뜬 글자 였으나 음양이 교차되는 오전 11시에서 오후 1시 사이의‘한낮’을 나타내는 글자로‘낮’의 뜻이다.
午前(오전) 午後(오후) 端午(단오) 正午(정오) 午時(오시)
132. 五( ) 다섯 오 1단 二|2획
天地사이에서 오행이 교차하는 모습이며, 한손의 다섯 손가락을 다 편 모습으로 보기도 한다.
五輪(오륜) 五福(오복) 五味子(오미자) 陰陽五行(음양오행) 五里霧中(오리무중) 四分五裂(사분오열) 三剛五倫(삼강오륜)
133. ⽟( ) : 구슬 옥 4급Ⅱ 玉|0
세 개의 구슬을 끈으로 꿴 모양(王)을 본뜬 것이나 뒤에 임금 (王)과 구분 하기 위해 점(丶)을 찍은 것으로 ‘구슬’옥‘의 뜻이다.
玉篇(옥편) 玉體(옥체) 玉樓(옥루) 玉座(옥좌) 玉顔(옥안)
134. 王() 임금 왕 1단 玉|0
丨(곤)이 三(삼)을 꿴 모양자로 三은 天(천) 地(지) 人(인)셋을 상징 하며 덕이 이 세가지와 합치된(丨) 사람이랴야 ‘임금’이 될 수 있다.
國王(국왕) 龍王(용왕) 王陵(왕릉) 王權(왕권) 王座(왕좌)
135. 外() 바깥 외 1단 夕|2
夕과卜(점 복)의 합자이다. 점(卜)은 아침에 치는 것이 원칙인데 저녁(夕)에 치는 것은 관례에 벗어 난다 하여‘밖’을 뜻하게 된 자이다.
野外(야외) 屋外(옥외) 外貌(외모) 涉外(섭외) 場外(장외)
136. ⽜() 소 우 1단 牛|0
소의 머리 모양을 본뜬 글자로 ‘소’의 뜻이다.
牧牛(목우) 黃牛(황우) 牛黃(우황) 牛乳(우유) 牛角(우각)
137. 友() 벗 우 1단 又|2
두 사람이 손(屮 왼손 좌)에 손(又)을 마주 잡고 서로 돕는다 하여‘벗’의 뜻이다.
友情(우정) 友邦(우방) 朋友(붕우) 交友(교우) 友愛(우애)
138. 右() 오른쪽 우 1단 口|2
말(口)과 함께 움직여 돕는 손(又)은‘오른쪽’손 이라는 뜻으로 된 자이다. 손(又)과 말(口)이 서로 협조를 잘한다 하여‘돕다’의 뜻으로도 쓰인다.
右側(우측) 極右(극우) 右翼(우익) 右相(우상) 右手(우수)
139. ⾁( ) 고기 육 1단 肉|0
고기와 그 근육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기’의 뜻이다.
血肉(혈육) 肉親(육친) 肉感(육감) 肉聲(육성) 肉體(육체)
140. 元() 으뜸 원 1단 儿|2
二(丄 위 상)과 儿의 합자이다. 사람(儿)의 가장 위에 있는 것은 머리(二)이며 머리는 몸의 최고의 중요한 부분으로‘으뜸’이라는 뜻으로 쓰였다. 또한 一과 兀(우뚝할 올)의 합자로 첫째(一)며 兀(우뚝할 올)‘으뜸’의 뜻으로 보기도 한다.
元氣(원기) 元帥(원수) 紀元(기원) 復元(복원) 還元(환원)
141. ⽉( ) 달 월 8급 月|0
이지러진 초승달을 본뜬 글자로 ‘달’의 뜻이다.
歲月(세월) 月給(월급) 滿月(만월) 隔月(격월) 望月(망월)
142. 位( ) 자리 위 5급 人|5
亻변에 설립(립)의 합자이다. 벼슬아치 또는 사람(人)들이 신분과 지위에 따라 서는곳(立) 즉 서열을 나타내는데서‘지위’의 뜻이 된자이다. 順位(순위) 單位(단위) 方位(방위)
143. 有() 있을 유 1단 月|2
오른 손( 오른손 우)에 고기(月)를 가지고 있다는 데서 ‘가지다, 있다’의 뜻이다.
有識(유식) 有能(유능) 有益(유익) 有感(유감) 特有(특유)
144. 育() 기를 육 1단 肉|4
어머니의 자궁(月)에서 아이(子)가 거꾸로 머리부터 나오는 모습에서 ‘낳다, 기르다’의 뜻이다.
養育(양육) 發育(발육) 保育(보육) 敎育(교육) 體育(체육)
145. 音() 소리 음 1단 音/0
해(日)가 뜨면 사람들이 일어나서(立) 소리를 내기 시작한다는 데서,’소리’의 뜻이다.
消音(소음) 子音(자음) 雜音(잡음) 音節(음절) 音響(음향) 音域(음역)
146. 邑() 고을 읍 1단 邑/0
무릎을 꿇은(巴) 모양의 일하는 사람들이 일정한 테두리(口) 안에 모여 산다는 데서, ‘고을’의 뜻이다.
食邑(식읍) 都邑(도읍) 邑村(읍촌) 邑民(읍민) 邑長(읍장) 邑內(읍내)
147. ⾐( ) 옷 의 1단 衣|0
웃옷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옷’의 뜻이다.
衣冠(의관) 衣服(의복) 脫衣(탈의) 衣裳(의상) 囚衣(수의)
148. 二( ) 두 이 1단 二|0획
一에 一을 포개 놓은 모양으로 두 손가락 또는 두선을 그어 ‘둘’을 가리킨다. 또한 하늘과 땅을 합쳐 ‘둘’을 뜻한다.
숫자에서 작은 숫자자 먼저 나오고 큰숫자가 뒤 나오는 경우에는곱셈을 뜻하고(2×8=16. 二八靑春), 반대로 큰수(八)가 앞에 작은 숫(二)자가 뒤에 나올 경우에는 분수를 의미 한다(八분의 二 ).
二輪車(이륜차) 二毛作(이모작) 不事二君(불사이군) 二律背反 (이율배반) 一石二鳥(일석이조) 二八靑春(이팔청춘)
149. ⽿( ) : 귀 이 1단 耳|0
귀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귀’의 뜻이다.
耳順(이순) 耳痛(이통) 耳目口鼻(이목구비) 牛耳讀經(우이독경)
150. 人( ) 사람 인 8급 人|0획
사람의 옆 모습을 상형 하였다. 사람이 다리를 내딛고 서있는 모양이다.
人倫(인륜) 佳人(가인) 丈人(장인) 賢人(현인) 人脈(인맥) 人格(인격) 商人(상인) 宇宙人(우주인) 人面獸心(인면수심) 弘益人 間(홍익인간) 人之常情(인지상정) 人工知能(인공지능) 人命在天(인명재천) 人生朝露(인생조로)
151. ⽇( ) 날 일 1단 日|0
해의 모양을 본떠 ‘해’또는 해가 뜨고 지는 ‘하루’의 뜻으로 쓰인다.
日課(일과) 隔日(격일) 日誌(일지) 日沒(일몰) 曜日(요일)
152. 一 ( ) 한 일 1단 一|0획
막대기 하나를 옆으로 가로놓은 것이다.
一體(일체) 一切(일절) 擇一(택일) 一等(일등) 金一封(금일봉) 一直線(일직선) 一刀兩斷(일도양단) 一家親戚(일가친척) 一魚濁水(일어탁수) 一葉片舟(일엽편주) 南柯一夢(남가일몽)
153. 入() 들 입 1단 入|0
두 개의 선이 합해진 선이 위의 뾰족한 부분이 어떤 물체 속으로 들어가는모양이다. 또는 두 개의 길이 합쳐져 한 개의 길로 들어 가는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入學(입학) 收入(수입) 買入(매입) 入試(입시)
154. 子( ) 아들 자 1단 子|0
양팔을 벌리고 있는 아이의 모습을 본뜬 글자이다.
子孫(자손) 子息(자식) 男子(남자) 君子(군자) 孝子(효자)
155. ⾃( ) 스스로 자 1단 自|0
사람의 코를 본뜬 글자로 코의 뜻이었으나 코를 가리키며 자기를 지칭 한데서 ‘스스로, 자기’의 뜻이 된 자이다.
自稱(자칭) 自讚(자찬) 自滅(자멸) 自身(자신) 自白(자백)
156. 子( ) 아들 자 7급 子|0
양팔을 벌리고 있는 아이의 모습을 본뜬 글자이다.
子孫(자손) 子息(자식) 男子(남자) 君子(군자) 孝子(효자)
157. 者() 놈 자 1단 老|5
나이 많은(耂) 이가 사람을 낮추어 말할 때(白)에 이 ‘놈’ 저 ‘놈’ 한다는 뜻으로 된 자.
著者(저자) 患者(환자) 强者(강자) 記者(기자) 打者(타자)
158. 長() 긴 장 1단 長/0
머리가 긴 노인이 지팡이를 짚고 서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길다, 어른’의 뜻이다.
伸長(신장) 長短(장단) 長壽(장수) 學長(학장) 家長(가장) 長髮(장발)
159. 場() 마당 장 7급 土|9
土와 昜(볕 양)의 합자이다. 햇 볕(昜)이 잘 드는 지붕없는 넓은땅(土)으로 곧‘마당’을 뜻한다.
場所(장소) 市場(시장) 漁場(어장) 劇場(극장) 廣場(광장)
160. 才() 재주 재 1단 手|0
지면을 뚫고 싹이 올라 오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장차 크게 자랄 조짐이 있다는데서 ‘바탕’의 뜻이 된 자이다. 또한 초목(丨)의 싹이 싹(丿)이 땅(一)을 뚫고 자라나듯 이 사람의 능력도 발전함을 가리켜 ‘재주’의 뜻이 된자이다.
才能(재능) 天才(천재) 秀才(수재) 英才(영재) 才弄(재롱)
161. ⽥( ) 밭 전 1단 田|0
이랑이 있는 밭(田) 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밭’의 뜻이다
田畓(전답) 田地(전지) 田園(전원) 鹽田(염전) 京田(경전)
162. 全() 온전 전 1단 入|4
王(玉 구슬옥의 본자)과 入의 합자이다. 귀한 옥(玉)을 창고 입구(입)에서 지키는 데서‘보전하다’의 뜻이다.
安全(안전) 全國(전국) 保全(보전) 完全(완전) 全體(전체)
163. 前( ) 앞 전 1단 刀|7
밧줄로 묶어 멈추어(止) 있느 배(月=舟)를 칼(刂)로 밧줄을 끊어 나가게 하는데서‘앞’의 뜻이 된 자이다.
前方(전방) 生前(생전) 食前(식전) 驛前(역전) 前進(전진)
164. 電() 번개 전 1단 雨/5
비(雨)가 내릴 때 하늘에서 번쩍하고 빛이 퍼져(电=申) 나가는 데서, '번개’의 뜻이다.
放電(방전) 漏電(누전) 震電(진전) 斷電(단전) 送電(송전) 停電(정전)
165. 正() 바를 정 1단 止|1
사람이 두 발(止)을 한데(一)모아 곧바로 서있다는 데서 ‘바르다’의 뜻이 된자이다.또는 지형상 一로 불의한 일을 막으니(止) ‘바르다’의 뜻으로 된자이다.
査正(사정) 嚴正(엄정) 正確(정확) 修正(수정) 改正(개정)
166. 弟() 아우 제 1단 弓|4
막대(丫가닥날 아)에 가죽끈(弓←韋가죽 위)을 차례로 내려감은 (丿 삐침 별) 모양에서 형제의 순서에서 아래를 나타내는 ‘아우’의 뜻이 된 자이다.
兄弟(형제) 師弟(사제) 妻弟(처제) 子弟(자제) 弟嫂(제수)
167. 祖() 할아비 조 1단 示|5
고기를 얹어 놓은 제기(且)를 놓고 조상신(示)에게 제사 지낸다는 데서 ‘할아비, 조상, 선조, 사당’의 뜻이다.
祖上(조상) 祖國(조국) 元祖(원조) 鼻祖(비조) 先祖(선조)
168. ⾜( ) 발 족 1단 足|0
아래에 있는 발(止)을 나타내는 글자로 ‘발’의 뜻이다.
滿足(만족) 豐足(풍족) 充足(충족) 足跡(족적) 禁足(금족)
169. 左() 왼 좌 1단 工|2
𠂇(屮 왼손 좌)와 工의 합자이다. 목수가 왼손(𠂇)에 자막대(工)를 들고 일하는 것을 가리켜 ‘왼쪽’의 뜻이 된 자이다. 손은 서로 돕는다 하여‘돕다’의 뜻으로도 쓰인다.
左側(좌측) 左傾(좌경) 極左(극좌) 左遷(좌천) 左翼(좌익)
170. 主( ) 임금주/주인주 7급 丶|4획
등잔의 심지를 본뜬 글자이다.
主客(주객) 君主(군주) 主觀(주관) 主婦(주부) 主禮辭(주례사) 主人丈(주인장) 主材料(주재료) 主格助詞(주격조사)
171. 住 살 주 1단 人|5
亻변에 주인 주(主)의 합자이다. 불꽃이 한 곳에 머물러 오래 타오르듯(主) 사람이(人) 한곳에‘머무른다’는 데서‘살다, 머무르다’의 뜻이다.
住民(주민) 移住住居(이주주거) 住宅(주택) 住所(주소)
172. ⽵( ) 대 죽 1단 竹|0
대나무(竹)와 대나무 잎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대’의 뜻이다.
竹鹽(죽염) 爆竹(폭죽) 松竹(송죽) 竹簡(죽간) 竹刀(죽도)
173. 中( ) 가운데 중 1단 丨|3획
사물의 가운데를 관통하는 모습이다.
中間(중간) 中央(중앙) 中堅(중견) 中級(중급) 中斷(중단) 中論(중론) 中伏(중복) 中庸(중용) 中折帽(중절모) 中間考査(중간고사) 中小企業(중소기업) 中央政府(중앙정부) 仲秋佳節(중추가절)
174. 重() 무거울 중 1단 里/2 사람(人)이 짐을 넣은 주머니(東)를 짊어지고 있다. 또 천(千) 리(里)를 걸으면 발이 무겁다는 데서 '무겁다’의 뜻이다.
比重(비중) 體重(체중) 過重(과중) 珍重(진중) 貴重(귀중) 置重(치중)
175, 地() 땅 지 1단 土|3
土와 也(입겻/이끼/어조사 야)의 합자이다. 굴곡진 지형(土)의 생김새를 큰 뱀이 서리고 있는 것 같이 본 데서 야(也)를 여성의 모태로 보아‘땅’을 뜻하게 된 자이다. 즉‘土’는 한줌의 흙이라 할 수 있고, 地는 땅의 뜻으로 땅 위에서 물도 가두고 모든 동, 식물이 생장수장할 수 있는 땅을 의미한다. 또한 땅지(埊)의 고자(古字)를 살펴보면 흙 위에 물도 있고 산도 있음을 볼 수 있다.
地圖(지도) 地球(지구) 地帶(지대) 耕地(경지) 陽地(양지)
176. 川(
) 내 천 1단 川|0
양 기슭 사이로 물이 흐르는 모양을 본떠‘내’의 뜻이다.
山川(산천) 川邊(천변) 乾川(건천) 下川(하천) 大川(대천)
177. 千() 일천 천 1단 十|1
亻(人) 과 一의 합자이다. 사람(人) 몸으로 천 단위를 나타 냈다는데서 亻에 一을 가로 질러 ‘일천’을 뜻하는 자이다. 또한 사람(人)이 많다(十)는 데서 ‘일천’의 뜻이 나왔다.
千古(천고) 千年(천년) 千秋(천추) 千金(천금) 千斤(천근)
178. 天() 하늘 천 1단 大|1
一과 大의 합자이다. 사람(大)의 머리 위에 있는 허공(一) 곧 ‘하늘’을 뜻하는 자이다.
天國(천국) 天下(천하) 天地(천지0 雨天(우천) 晴天(청천)
179. 青() 푸를 청 1단 靑/0
우물(丹)에서 푸른 이끼가 돋아나는(生) 데서, '푸르다’의 뜻이다.
踏靑(답청) 丹靑(단청) 靑春(청춘) 靑雲(청운) 靑山(청산) 靑松(청송)
180. 草() 풀 초 1단 艸|6
이른(早) 봄부터 풀(艹)이 돋아난다는 데서 ‘풀’의 듯이다.
藥草(약초) 雜草(잡초) 甘草(감초) 乾草(건초) 草稿(초고)
181. 寸() 마디 촌 1단 寸|0
손 바닥과 손목의 경계(十)에서 맥을 짚는 곳(丶)가지의 거리가 대개 한치(寸)라는 데서‘치의 뜻이다. 또는 손가락의 한 마디가 한지 정도라는 데서‘마디, 한치’의 뜻이 된 자이다.
寸志(촌지) 寸數(촌수) 寸劇(촌극) 寸陰(촌음) 寸評(촌평)
182. 出() 날 출 1단 凵|3
屮(싹날 철)과 凵의 합자로 싹(屮이) 흙위로 터(凵)나온 모양에서‘나다’의 뜻이 된자이다. 또는 발자국(止 발 지)과 凵의 모양을 본떠‘나가다’의 뜻이 된자로 보기도 한다.
出生(출생) 輸出(수출) 選出(선출) 脫出(탈출) 放出(방출)
183. 七( ) 일곱칠 1단 一|1획
다섯개의 손가락을 옆으로 펴고 나머지손의 두 손가락을 포개 일곱을 나타냈다.
七夕(칠석) 七寶(칠보) 七色(칠색) 七旬(칠순) 七角形(칠각형) 七星閣(칠성각) 七言詩(칠언시) 七去之惡(칠거지악) 七顚八起(칠전팔기)
184. 太 클 태 1단 大|1
크다는 뜻의 대(大)에 丶(점 주)를 더하여 아주 큼을 나타낸 글자로‘크다’의 뜻이다.
太陽(태양) 太古(태고) 太初(태초) 太極(태극) 太平(태평)
185. 土() 흙 토 8급 土|0
싹(十)이 돋아나서 흙(一) 또는 싹이 나올때의 지층을 본떠 ‘땅’을 뜻 한다.
土地(토지) 國土(국토) 領土(영토) 土壤(토양) 土器(토기)
186. 八() 여덟 팔 8급 八|0
두 손의 손가락을 네 개씩 펴고 서로 등지게 한 모얀에서 ‘여덟을 가리키는 글자이다. 또는 왼쪽(丿)과 오른쪽 (乀)으로 각각 갈라짐을 가리켜‘나누다’의 뜻이 된 글자이다.
八方(팔방) 八道(팔도) 四柱八字(사주팔자) 百八煩惱(백팔번뇌)
187. ⾙( ) 조개 패 1단 貝|0
조개의 모양을 본 뜬 글자로 ‘조개’의 듯이다. 옛날에는 조개 껍질을 화폐로 쓴데서 돈, 재물, 재산의 듯을 지닌다.
貝物(패물) 錦貝(금패) 珠貝(주패) 貝殼(패각) 貝類(패류)
188. 平() 평평할 평 1단 干|2
물 위에 고요하게 떠있는 부평초 모양을 본떠 ‘평평함’을 나타낸 자이다. 또는 于(말할 우)와 八(나눌 팔)의 합자로 말 할때 입김이 고루 퍼짐을 나타내어 ‘화하다, 평안하다’의 뜻이다.
平野(평야) 水平(수평) 太平(태평) 和平(화평)
189. 品() 물건 품 1단 口|6
口셋을 균형 있게 모은자로 물건(口)이 층을 이루면서 쌓은 것으로 보아‘물건’의 뜻이다.
品目(품목) 品種(품종) 賞品(상품) 食品(식품) 備品(비품)
190. 下() 아래 하 1단 一|2획
기준이 되는 一에 아랫 부분을 나타냈다.
下降(하강) 下校(하교) 下落(하락) 下賜(하사) 下野(하야) 下役(하역) 下弦(하현) 下水溝(하수구) 下宿生(하숙생) 下級官廳(하급관청) 下意上達(하의상달) 下化衆生(하화중생) 下厚上薄(하후상박)
191. 學() 배울 학 1단 子|13
⺽(양손 잡을 국)에 爻(본받을 효)·冖(덮을 멱)과 子의 합자이다. 사리에 어두운 아이(子)들이 서당(冖)에서 양손에 책을 잡고(⺽) 스승의 가르침을 본 받으며(爻) 글을 배운다는 데서‘배우다’의 뜻이다.
學友(학우) 學者(학자) 藥學(약학) 醫學(의학) 科學(과학)
192. 韓() 한국/나라 한 1단 韋/8
해가 돋는(倝) 쪽, 동방의 위대한(韋=偉) 나라에서, ‘한국. 나라’의 뜻이다.
來韓(내한) 訪韓(방한) 韓紙(한지) 韓國(한국) 韓服(한복) 韓藥(한약)
193. 合() 합할 합 6급 口|3
亼(모을 집)과 口의 합자이다. 말(口)이 하나로(亼) 모였다는 데서‘합하다’의 뜻이 된 자이다. 또는 아가리(口)에 뜨껑(亼)이 꼭 맞은 모양에서‘합하다’의 뜻이 된 자로 보기도 한다.
合同(합동) 合意(합의) 集合(집합) 談合(담합) 團合(단합)
194. 海() 바다 해 1단 水|7
강물(氵)은 매양(每)바다로 흘러 든다는 데서 ‘바다’의 뜻이다.
海運(해운) 海岸(해안) 海邊(해변) 海拔(해발) 海風(해풍)
195. ⾏( ) 다닐 행. 항렬 항 1단 行|0
사람과 우마차가 다니는 네 거리의 모양을 본 뜬 글자로 ‘다니다’의 뜻이다.
進行(진행) 通行(통행) 旅行(여행) 孝行(효행) 興行(흥행)
196. 向() 향할 향 1단 口|3
집(宀집면 의 변형)의 창문(口)을 본뜬 글자로 북쪽과 남쪽의 창이 서로 마주 바라보고 있다는 데서‘향하다’의 뜻이다.
傾向(경향) 動向(동향) 趣向(취향) 意向(의향) 偏向(편향)
197 . 兄() 형 형 1단 儿|3
口(입 구)와 儿의 합자이다.어린사람 아누에게 말(口)로 지시하는 사람(儿) 이라는 데서‘형’의 뜻이다.
兄嫂(형수) 兄弟(형제) 學兄(학형) 妻兄(처형) 妹兄(매형)
198. ⽕( ) 불 화 1단 火|0
불이 타오르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불’의 뜻이다.
星火(성화) 聖火(성화) 放火(방화) 火災(화재) 火藥(화약)
199. 孝() 효도 효 1단. 子|4
⺹(老 늙을 로)와 子의 합자이다. 나이드신 늙은(⺹) 부모를 아들(子)이 등에 업고 있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이다. 부모를 잘 섬기어‘효도’ 한다는 뜻이다.
孝誠(효성) 孝女(효녀) 不孝(불효) 忠孝(충효) 孝行(효행)
200. 休( ) 쉴 휴 7급 人|4획
亻변과 木의 합자이다. 사람이 큰 나무 밑에서 쉰다는 의미이다.
休講(휴강) 休業(휴업) 休校(휴교) 휴무(휴무) 休息(휴식) 休養 地(휴양지) 休戰線(휴전선) 休戰協定(휴전협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