囊舌目 Sacoglossa
껍데기가 있다.
말(algae)류를 빨아먹기에 알맞은 1줄의
이빨을 가지는 치설을 갖는다.
Elysia, Styliger 등이 이에 속한다. 특히, Berthelinidae科에
쌍껍질을 가진 권패로서 Edenttellina limax라는 휘귀한 종류가 있는데, 이와 같은 것은 전세계에서 3종밖에 알려진 것이 없다.
有肺亞綱 Pulmonata
1개의 심방과 1개의 배설기를 가지며, 아가미는 없고 외투강은 오른쪽에 위치하는데
공기 속이나 물 속에서 공기호흡을 위한 폐낭으로 변경된다. 신경계는 집중되고 대칭적이다. 1,2쌍의 촉수를 가지며 패각은 보통 가지나 덮개판은 없다. 암수한몸이다.
基眼目 Basommatophora
1쌍의 촉수를 가지며 눈은
촉수의 기부에 있다. 대부분 민물에서
산다.
귀고둥科
Ellobiidae
◇ 대추귀고둥 : Ellobium chinense (Pfeiffer)
외국명 : (일) Okamimigai
형 태 : 대추모양으로
각질은 두껍고, 나층은 작으나 체층은 커서 전 각고의 4/5를
점하고 있다. 미세한 망상 무늬가
각층의 견부에 조금 있는 외는 평활하고 광택은 없다.
밤갈색의 각피를 가지기 때문에 익은 대추 같다. 각구는 크며, 내순하연에는
이빨 모양의 주름이 1개 있고 축순 위에도 약한 주름이 경사져 있다.
설 명 : 만조선
부근의 담수가 유입되는 갯벌에 서식한다.
고랑따개비科
Siphonarridae
◇ 고랑따개비 : Siphonaria
(Sacculosiphonaria) japonica (Donovan) – 삿갓조개
외국명 : (영) Siphon snail, (일) Karamatsugai
형 태 : 각경 1-2cm 정도.
삿갓모양으로 각정부에서 주연으로 향한 굵은 방사늑이 있으며 그 사이에는 가는 간늑이 있다. 껍질 내면은 짙은 보라색이다.
설 명 : 조간대의
바위나 자갈밭에 서식한다.
분 포 : 한국(전 연안), 북해도, 연해주
◇ 꽃고랑따개비 : Siphonaria (Mastosiphon,
Anthosiphonaria) sirius (Pilsbry)
외국명 : (영) Siphon snail, (일) Kitanokaramatsugai
형 태 : 각경 3cm 정도.
외관은 테두리고둥을 닮았지만 소형이며, 내면에는 방사늑이 있고 백색이며 그
외는 흑색이다. 사진의 좌측은
흰고랑따개비, 우측은 국화고랑따개비이다.
설 명 : 조간대의
암초 위에 서식한다.
분 포 : 일본(북해도 이북), 연해주
비 고 : 크기는
본 종과 비슷하나 각색이 흰 것을 흰고랑따개비(S. acmaeoides Pilsbry)라고 부른다.
물달팽이科 Lymnaeidae
◇ 애기물달팽이 : Bakerlymnaea viridis
(Quoy et Gaimard) (= Lymnaea parvia (v.Martens))
외국명 : (영) Pond snail, (일) Himemonoaragai
형 태 : 물달팽이보다
작고 나탑은 尖形이고 높다. 각구는
난형이다.
설 명 : 전국의 호소나 연못에 서식한다.
분 포 : 한국(전국)
◇ 물달팽이 : Redix auricularia coreana
v.Matens (= R. auricularia (Linné))
방 언 : 짠물우렁이, 명주우렁, 고운명주우렁, 쨈물우렁
외국명 : (일) Chosenmonoaragai
형 태 : 껍질은
애기물달팽이보다 크고 굵으며, 각구는 넓고 개체에 따라서는 체층이 크게 발달하여 각구가 아주 넓게 되고
축순은 크게 反曲한다.
설 명 : 소나
말에 기생하는 간디스토마의 중간숙주로 알려져 있다.
분 포 : 한국
담수삿갓조개科 Ancylidae
◇ 담수삿갓조개 : Ferrissia nipponica
(Kuroda)
외국명 : (영) Ancylidae, (일)
Kawakozaragai
형 태 : 각장 4.5mm 정도.
삿갓모양의 유일한 담수패류이다. 각정은 다소 후방에 편재한다.
설 명 : 연못의
수초, 낙엽 등에 부착하여 생활한다. 때로는 어항 속에서도 크게 번식한다.
분 포 : 한국(전역), 일본, 대만
또아리물달팽이科 Planorbiidae
◇ 또아리물달팽이 : Gyraulus hiemantium
(Westerlund) –
둥근고둥
외국명 : (영) Land snail, (일) Hiramakimizumaimai
형 태 : 각고 1.8mm, 각폭 6mm 정도. 나탑은 4.5층이나 또아리모양으로
생겼기 때문에 등과 배를 구별하기 어려운 미소 담수패류이다. 각질은 얇고 반투명하며 황갈색이다.
설 명 : 연못이나
유수지의 수초에 붙어 살며 수면에 떠 다니기도 한다.
전국에 널리 분포하며 때로는 집단발생을 한다. 근사종으로는 수정또아리물달팽이가 있다.
분 포 : 한국(전국)
收柄眼目 Systellommatophora
항문이 몸의 뒤끝에 열린다. 뒤쪽 폐낭을 가지는 것과 폐가 없는 것이
있다. Onchidium,
Vaginulus 등이 이에 속한다.
柄眼目 Stylommatophora
2쌍의 촉수를 가지는데, 위쪽의 쌍은 끝에 눈을 가진다. 육상에서 산다. 껍데기가 없는 것도 있다. 달팽이(Acusta despecta
siboldiana), 대고둥(Allopeas kyotoensis), 민달팽이(Incillaria confusa) 등이 있다.
평지달팽이아재비科 Pleurodiscidae
◇ 울릉도평지달팽이아재비 : Pyramidula kobayashii Kuroda et Hukuda
외국명 : (일)
Kobayashinatanemodoki
형
태 : 각고 1.2mm, 각폭 1.9mm 정도.
봉합구는 깊고 나관은 원형이다. 제공은 넓고 나탑은 4층이다. 울산산보다는 조금 크다.
분
포 : 한국(울릉도)
비
고 : 이보다 조금 더 작은 쇠평지달팽이아재비(P. micra Pilsbry)가 있다.
이빨번데기고둥科
Vertiginidae
◇ 각시모래고둥 : Gastrocopta coreana Pilsbry
외국명 : (영)
Land shell, (일) Chosensunagai
형
태 : 각고 2.3mm, 각경 1.2mm 정도.
나탑은 5층이다. 패각은 장난형이고 백색이며 반투명한 명주 광택이 난다. 각 나층은 잘 발달하고 봉합은 깊다. 각구의 외순내부에는 강한 활층융기물이
있다. 제공은 뚜렷하며 깊은 편이다.
분
포 : 한국(동해안, 울릉도)
비
고 : 본 科에는 모래고둥, 번데기고둥, 울릉도이빨번데기 등 모두 8종이 알려져 있다.
실주름달팽이科 Valloniidae
◇ 실주름달팽이 : Vallonia tencra Reinhardt (= V. costata (Müller))
외국명 : (영)
Land snail, (일) Mijinmaimai
형
태 : 각고 1mm, 각폭 1.8mm 정도.
나탑 3.5층 정도의 미소종으로 제공이 넓고 반투명한 백색이다. 각구는 큰 편이고 순연은 넓게 反曲한다.
분
포 : 한국, 일본
◇ 참실주름달팽이 : Zoogenetes tyosenica Kuroda et Hukuda
외국명 : (일)
Makizomegai
형
태 : 각고 4.2mm, 각폭 2.8mm 정도.
나탑은 4.5층이다. 각 층은 발달이 좋고 봉합은 깊다. 껍질은 얇고 반투명하며 농갈색이고 각피는 약한 명주 광택이 있다. 제공은 깊게 열려 있다. 체층에 있는 肋脈은 뚜렷하고 그 수는 22줄 정도이다.
분
포 : 한국(울릉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