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톡소플라스마증 (Toxoplasmosis)
병 원 체 : Toxoplasma gondii (단세포 기생충)
감염동물 : 고양이, 돼지, 포유류
증 상 : [고양이] 감염 초기의 어린 고양이는 설사, 성묘는 무증상.
[사람] 임신중에 처음 감염이 일어나면 유산, 수두증(水頭症) 등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예방방법 : 분변은 장갑을 착용하고 처리한다. 임신 전에 톡소플라스마 항체가를 측정하여 자기 관리를 행한다.
소독방법 : 분변의 처리는 신속하게 행하며, 장갑을 착용한다.
열 (70℃에서 10분, 100℃에서 1분)
0.1~0.5% 차아염소산나트륨 (배설물은 1%)
0.5~1.0% 크레졸비누액
치
료 : 증상이 없으면 치료 대상이 아니다. 임신 전에 음성이었다면 산부인과나 내과에서 상담한다.
개
요 :
고양이의 분변이나 완전히 열처리하지 않은 육류 속의 톡소플라스마가 사람의 입을 통해 체내로 들어오면 톡소플라스마증에 걸리는 것이다. 톡소플라스마의 감염률은 연령이 많을수록 높아지며, 성인의 약 30%는 이미 감염된 경험이 있다고 한다. 과거에 감염되었던 사람은
임신을 해도 문제가 없다. 임신 중에 처음으로 감염되었을 때 원충(原蟲)이 태아로 태아로 옮겨갈 가능성이 있으며, 태아가 감염되어도 이상을
나타내는 것은 낮다고 보고되어 있다.
유럽에서는 고양이의 분변으로부터의 감염보다도 톡소플라스마에 감염된 생육을 먹음으로써 감염되는 기회가 많다고 한다.
2. 파스퇴렐라증 (Pasteurellosis)
병 원 체 : Pasteurella
multocida 외
감염동물 : 개, 고양이, (토끼)
증 상 : [개, 고양이] 무증상
[사람] 물린 후 15분에서 몇 시간 사이에 물린
부위의 동통(疼痛)과 종창(腫脹). 얼굴을 긁혀서 부비강염에 걸렸다는 보고가 있다.
예방방법 : 긁히거나 물리지 않도록 취급에 주의하고, 손을 빨았다면 손을 씻고, 침실을 같이 사용하지 않는다.
소독방법 : 열수 (80℃, 10분)
0.02~0.1% 차아염소산나트륨
70~80% 에탄올
0.1~0.2% 염화벤잘코늄
0.1~0.5%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 (Chlorhexidine Gluconate)
치
료 : 외과를 방문하여 동물에 의한 사고(물림 또는 찰과상)에
대해 말하고 진찰을 받는다.
개
요 :
파스퇴렐라균은 건강한 개와 고양이의 입 속에 존재하는 세균(구강내 정상 세균)이다. 개는 75%, 고양이는
거의 100% 보균하고 있다. 개나 고양이에게 물린(교상[咬傷]) 뒤의 종창
원인균은 대개가 파스퇴렐라균이다. 또, 고양이는 발을 핥는
습성이 있어서 발톱에도 파스퇴렐라균이 존재하며, 긁혀도 감염이 된다.
사람은 물리거나 긁힌 후 수 십 분에서 24시간 사이에 격렬한 통증을 수반한 종창과 이취가
있는 침출액이 나온다. 또, 교상(물림)이나 소상(搔傷, 긁힘)에 의한 감염 이외에 취침 중에 얼굴을 핥아서 파스퇴렐라균을
흡입하여 심각한 부비강염(副鼻腔炎)이 발생했다는 보고도 있다.
※ 토끼의 파스퇼레라증
호흡기 질환은 토끼의 이환과 치사의 주요한 원인이다. 파스테렐라증(Pasteurellosis)은 집에서 기르는 토끼에게 영향을 미치는 일차적인 호흡기 질환이다. 1920년대 초, Webster와
Smith는 "토끼 호흡기 감염의 역학"에
대해 연구하였고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에 이 주제에 관한 11개의 논문을 출판하였다.
Pasteurella multocida를 원인체로서 정립한 이 고전적 연구에서 발견되는 점들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적절하며 돌아볼 가치가 있다. Webster와 Smith는 Rockfeller Institute for Medical Reserch의 연구실 토끼 군체에서 흔했던, 토끼의 상부 호흡기 질환(upper respiratory disease ;
USD)을 가리켜 "snuffles"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군체 내 토끼의 약 60%가량이
P. multocida의 보균자로 나타났다. 이어지는 실험 과정에서 보균자의 40%가 URD로 발전하였으나, 감염
및 병으로부터의 자발적인 회복은 약 8% 일어났다. 군체로부터 100마리의 토끼를 부검한 결과 58%가 URD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P. multocida는 URD에 걸린 55마리의 토끼의 콧구멍과 정상 콧구멍을 가진 8마리의 토끼 및 폐렴을
가진 토끼 2%, bacteremia를 가진 토끼 4%에서
분리되었다. 비염을 가진 40마리의 토끼 콧구멍의 조직병리학적
조사에서 35마리가 비갑개에 erosion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섬유소성 흉막염(fibrinous pleuritis), 심막염(pericarditis), 농양(abscesses), 폐경화(lung consolidation) 또한 발견되었다.
이염(otitis) media는 종종, 그러나
항상은 아니며, 이도(ear canal) 깊숙히 사경(torticollis) 또는 화농성 삼출(purulent exudate)과
관련되거나, 비염에서 사례의 절반 가량과 관련되었다.
오직 P. multocida만이 질병과 일관되게 관련되었다.
Webster와 Smith는 불특정하게 선택된 77마리의 토끼의 비강을 면봉으로 채취한 것을 모아서 토끼의 호기성 비강 세균총을 연구했고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빈도순) : Moraxella catarrhalis, P.
multocida, Bordetella bronchiseptica, 다른 그람음성구간균, 그람양성구균. 5% 토끼 혈액을 첨가한 신선한 혈액한천배지에서 P. multocida를
성공적으로 분리했다. Webster와 Smith는 같은 양으로
다른 경로로 투여된 P. multocida와 B.
bronchiseptica의 다양한 균주로 실험적인 연구를 실행했다. 비강내로 투여한 B. bronchiseptica는 증상이 없는 보균 상태에 이어서 일시적인 점액성 콧물을 유발했다. 더 독성이 강한 type D 비점액성 균주는 점액성 균주가 만성적인
감염을 유발하는 데 비해서 좀더 심각한 급성 질환을 유발하거나 치유되는 경향이 있었다. 비강, IV, SC, 고환내로 투여된 한 독성 균주는 지속적으로 흉막폐렴(pleuropneumonia)과
관계있었다. Webster와 Smith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렸다.
토끼는
(1) 감염된 토끼와 함께 수용된 토끼는 감염에 저항할 수 있다.
(2) 자연적으로 감염이 줄어들 수 있다.
(3) 만성적 보균자가 될 수 있다.
(4) 급성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다.
(5) bacteremia나 pneumonia으로
발전할 수 있다.
(6) 만성 질환이 될 수 있다.
병인은 숙주 저항과 P. multocida 균주의 독력에 좌우된다. 역학적인 연구는 토끼의 호흡기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나타냈다. 종에
따른 감수성의 차이가 발견되었고, 봄과 가을에 snuffles의
발병율이 높았다. 실험적으로 온도의 변동에 노출된 토끼는 감염의 전파와 발병이 증가하였다.
건초와 귀리의 기본 사료에 신선한 채소를 첨가하였을 때 채소를 급여 받은 토끼들 사이의 감염의 전파가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실험에 사용하기 위한 감염되지 않은 토끼를 얻기 위해,
Webster와 Smith는 P. multocida가
없는 군체를 만들고 유지하였다. 종축은 기본적으로 snuffles 증상이
없고 비강 채취물 세번에서 P. multocida 음성인 중에서 선택되었다. 인간의 출입은 깨끗한 옷과 깨끗한 손에 주의한 사람에 한정되었다. 방의
온도는 68℉로 유지되었고 케이지는 매일 청소했다. 음식은
언제나 신선했고, 토끼에게 "상당한 양의 개별적인
주의"가 주어졌다. Webster와 Smith의 연구 이전에는 B. bronchiseptica와 Staphylococcus aureus는 토끼에서 URD를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snuffles는 실험적으로 다른 것을 투여하여 발생시키지 못했었다. 그러나 실험적, 자연적으로 발생한
B. bronchiseptica에 대한 노출로 인해 비강, 동, 기관지에 일시적인 유출물이 있었다. 많은 토끼들이 콧구멍에 B. bronchiseptica와 Neisseria (Moraxella) 종을
모두 가지고 다닌다. 감염의 전파는 한 각 토끼집단별로 다양하지만
pasteurellosis가 유행하는 집단 내에서 토끼의 연령이 증가하면 전파도 증가한다. 토끼에서 B. bronchiseptica와 P. multocida 감염 사이에는
역의 관계가 있다. 이유기에는 B. bronchiseptica에
높은 감염율을 가지는데 비해 성체가 되면 보통 P. multocida가 우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