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시선 0120∣2023년 1월 10일 발간∣정가 12,000원∣B6(128×208)∣88쪽
ISBN 979-11-91897-46-3 03810∣바코드 9791191897463 03810
(출판사 서평)
오 촉짜리 전구 같은 사람을 만나
뜨거워서 데일 일 없는 사랑을 하고 싶다
[늦게 오는 사람]은 첫 시집 이후 십 년 만에 펴내는 이잠 시인의 두 번째 신작 시집으로, 「히말라야 소금」, 「파묘」, 「늦게 오는 사람」 등 42편의 시가 실려 있다. 이잠 시인은 충청남도 홍성에서 태어났으며, 1995년 [작가세계]를 통해 시인으로 등단했다. 시집 [해변의 개] [늦게 오는 사람]을 썼다.
“시인의 말대로 오직 사랑하는 자만이 앓는다(“언제나 앓는 것은 사랑이었다”, 「흙집」). 그러므로 시인의 슬픔은 시인의 사랑에서 시작된 것이다. 사랑은 세계를 놓지 않게 만들고 세계를 아파하게 한다. “나는 그가 아프다”는 롤랑 바르트(R. Barthes)의 고백은 사랑을 가진 모든 자의 고백이다. 사랑에서 연유된 슬픔이 오래 지속될 때, 시인은 “더 잃을 것 없는” “빈집”이 된다.(「흙집」) 슬픔의 정련이란 이런 것이다. 시인은 그런 집을 그녀의 마지막 거처라고 생각한다.
시인이 표제작 「늦게 오는 사람」을 시집의 마지막 페이지에 배치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이 시는, 말하자면, 이 시집의 결론이다. 그녀에게 중요한 것은 슬픔의 시간성이다. 그녀에게 슬픔은 하이데거(M. Heideggar)적 의미의 ‘기재성(旣在性, Gewesenheit)’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과거의 어느 때에 시작되어 현재까지 오래 지속되어 온 것이다. 시간성이야말로 그녀의 존재를 의미 있게 만드는 ‘지평’이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시간성에 대한 사유는 죽음을 선험적으로 인식하게 하며, 미래의 죽음에 대한 사유는 기재성을 돌이켜보고 선구적 ‘결의성(決意性, Entschlossenheit)’을 갖게 한다. 결의성이란 “현존재가 양심의 부름에 힘입어 자신의 존재에 대한 책임을 걸머지기로 결의한 상태”를 말한다. 이런 맥락에서 「늦게 오는 사람」을 읽어 보면, 슬픔의 시간성, 슬픔의 기재성에 대한 인식 이후에 오는 그녀의 결의성은 ‘사랑’이다. 그 사랑은 슬픔의 오랜 기재성 다음에 아주 “늦게 오는 사람”으로 형상화된다. 그 사랑은 “오 촉짜리 전구”같이 검박하지만, “살아온 날들 하도 추워서” 쏟을 ‘눈물’을 “온기로 뎁혀” 주기에 충분하다. 이런 사랑이야말로 그녀가 “다 울고 난 뒤에 말개지는” 지점이 아닐까.”
(이상 오민석 문학평론가의 해설 중에서)
(추천사)
이잠 시인의 이번 시집은 헨리 밀러의 “쓰면서 나는 독을 빼내고 있었다”라는 말을 떠올리게 한다. 십 년 전 그는 속수무책 절망 속에서 세상과 유리된 채 몸과 마음의 통증에 시달리고 있었다. 그는 그를 찌르고 있었고 그런 자신을 쓰고 있었다. 그리고 다시 만난 두 번째 시집에서 비애와 분노를 자기 것으로 체화하면서 ‘상처 입음에서 온전함으로’의 시도를 엿볼 수 있었다. 시적 삶이 문득 내적 성찰로 전환된 계기가 무엇이었을까, 나는 굳이 묻고 싶지 않다.
“누가 나뭇가지에서 기어 다니는 유충에게 장래의 먹이 이야기를 할 수 있겠습니까? 또 누가 땅바닥에 놓인 고치 속 유충이 여린 껍데기를 깨뜨리는 걸 도울 수 있겠습니까? 때가 오면, 저 스스로 밀고 나와서 날개 치면 서둘러 장미의 품 안으로 가지요.”([괴테, 치유와 화해의 시])
시인에게 있어 시는 내가 어디에 있고, 어디에 있었고, 어디로 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존재론적 자기 성찰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는 시인의 근거이며, 상처에 대해 뒤늦게 조문하는 마음의 발견일 것이다. 어떤 시인도 시를 벗어날 수 없고 시로부터 도망칠 수 없다. 그의 시는 다시 살고 더 오래 견디기 위해, 이제 헤아리고 보듬고 스스로를 돕는다. “비로소 풀려나 아무것도 아닌 영원”을 말한다(「조막단지」). 반갑고 고맙다. 삶을 구원하기 위해 글을 쓴다는 것은 틀림없는 진실이다. 그는 내내 어려운 길을 가는 사람이다. 그는 쓸수록 그가 될 것이다. 언제나 이미(always already).
―고영민(시인)
(시인의 말)
슬픔이 지나갈 때마다 환해졌다.
터져 나오는 비명이 시가 되는 때가 있었다.
이제는 다 울고 난 뒤에 말개지는 시를 쓰고 싶다.
지구 표면 1㎝의 흙이 쌓이려면 200년이 걸린다는데
몰라서 그렇지 대개는 느리게 온다.
늦게 오는 사람이 있다.
느려서 그렇지 오기는 온다.
가장 환한 얼굴로 나의 사랑, 나의 삶.
***************************
느린 거로는 챔피언 먹을 자신 있어요!
17년 만에 첫 시집을 냈고요, 10년 만에 두 번째 시집을 냈습니다.
스무 살부터 주춤거리며 망설이며 되새김질하며 느릿느릿 걸어온 시의 길 놓지 않고 여기까지 걸어왔네요. 느려서 그렇지 끝까지 가긴 가요.
제 우묵한 시들이 미발표작으로 묻히지 않고, 시집『늦게 오는 사람』으로 묶여 세상에 나오게 되어 기쁩니다.
꿰뚫어 보는 눈으로 해설을 써 주신 오민석 선생님, 오래전부터 제 시를 지켜보고 애정 어린 추천사를 써 주신 고영민 시인, 밤으로 낮으로 구석구석까지 살펴 좋은 책으로 만들어 주신 파란 대표 채상우 시인께 머리 숙여 감사드립니다.
저는요, 더욱 정진해서 좋은 시 쓰는 시인으로 거듭나겠습니다.
어스름이 깊어가는 겨울 저녁에 혼자 가만가만 시집에 돛대를 세우고, 그 꼭대기에 돛을 달아 펄럭이게 한 다음 시집을 있는 힘껏 밀어 세상을 향해 떠나보냅니다.
“잘가라, 세상에 나가서 씩씩하게 살아남기 바래. 안녕, 안녕.” (이잠)
(김부회의 시가 있는 아침 – 김포신문 230526)
접사(接寫)/ 이잠
옛집이 무너져 내릴 때 안방에 살던 거미는 어찌 되었을까
밥을 먹다가도 자려고 누웠다가도 불쑥 생각난다
바다도 먼데 희한하게 게를 닮았던 거미
사방 무늬 천장에서 대대로 새끼 치며 살았을 털 난 짐승
다시 못 볼 사람처럼 나는 자꾸 그놈만 찍어 댔지
다시 못 볼 것은 그것만이 아니었는데
숱한 기억들이 은거하던 마당의 넓적돌 밑 쥐며느리 굴
닳고 닳은 마룻장에서 쭈뼛거리던 녹슨 못들
벽지 안에서 부풀었다 꺼지기를 반복하던 한숨들
침묵 속에서 깜빡이던 별빛들
가장 추운 날 저녁의 경쾌한 숟가락질 소리
하늘과 땅과 내가 마주 잡았던 온기
끝내 간직하고 싶었던 것들 정면에 담지 못하고
천장 귀퉁이에 매달린 거미만 찍었지
다시 못 볼 것을 알기에 낱낱이 다 아름다웠지
집은 순식간에 무너져 내리고 거미는 어디로 갔을까
(시집/ 늦게 오는 사람 중)
(시감상)
기억을 더듬다 보면 내 기억의 어딘가에, 나도 모를 저장소에 가만히 숨어있던 단편들이 불쑥 밖으로 나올 때가 있다. 까마득히 먼 날의 나와 동거하던 이름들, 사람들, 풍경들, 그리고 나를 사람답게 만들었던 情과 관계들. 살다 지친 어느 날, 노을에 기대 커피 한 잔을 마시면 커피잔 속에 가득 찰랑거리는 다시 못 볼 줄 알았던 것들. 부러 외면하고 산 것은 아니지만 외면하고 산 것이 되어버린 어떤 날의 일상이 눈 시리게 그리울 때가 있다. 잃어버린 풍경을 접사하며 산다는 것. 가슴속 추억을 우려내는 방법이다. 아주 진한 차의 풍미를 더하듯, 깨끔 발을 들고 바라보던 아름다운 온기들이 새삼 그립다. 시인의 눈이 잔잔한 독백처럼 茶香을 우린다. (글/ 김부회 시인, 평론가)
(이잠 프로필)
충남 홍성, 1995 작가세계 등단, 시집 (해변의 개)(늦게 오는 사람), 2023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학나눔 도서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