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해본보다 못한 조계종 표준 우리말 금강경(2)
대심거사 조현춘 010 9512 5202 합장
역자 | 9장 4절 우리말 번역 |
언해본 1464 | ----‘가며 옴’이 없으므로, ----------------- 이 이름이 사다함인 것입니다. |
해방 정국 | 용성스님 | ----왕래함이 없을 새 ----------------- 이 이름이 사다함이니이다. |
백성욱 | ----함이 아니기 때문에 ----------------- 그런고로 이름이 사다함입니다 |
탄허스님 | ----실로 왕래함이 없을 새 -------------- 이 사다함이라 이름하나이다. |
조계종 2009 | ----돌아옴이 없는 것을------------ 사다함이라 하기 때문입니다. |
무비 대심 : 2012 | 사다함을 이루었다 생각하지 아니해야---참으로∼ 이루었다 말할수가 있습니다. |
혜거스님 2016 | ----왕래함이 없기 때문에 -------------- 이를 사다함이라 이름합니다 |
***조계종 본은 다른 여섯 본과도 다르고, 논리적으로도 틀렸습니다. 이 부분은 금강경 전체 흐름과 관련이 있습니다. 질문(수보리 장로님 어찌 생각하십니까? ‘나는 이제 사다함을 온전하게 이루었다’ 사다함이 이런 생각한다 할 수 있습니까?)을 생각하면, 너무나 명백한 것입니다. 답은 두 가지 밖에 없습니다.
1) 그런 생각을 하면 제대로 된 사다함이 아닙니다.
2) 그런 생각 아니 해야 제대로 된 사다함입니다.
조계종 우리말 금강경 9장 4절이 이렇게 된 것은 <<불교를 잘 모르는 서양 사람이 산스끄리뜨어를 영어로 번역하고, 영어를 잘 모르는 우리나라 학자가 영어를 우리말로 번역하는 과정을 거쳤기 때문>>으로 봅니다.
대강백 무비스님·대심거사 조현춘 공역
(책: 운주사)
1. 가사체 불교경전과 한글세대 불교경전
2. 가사체 금강경과 교감본 한문 금강경
3. 가사체 금강경과 조계종 금강경
4. 한글세대 불교경전 (휴대용 시리즈 출간예정)
금강경 ① (영어와 우리말 가사체)금강경 ②(한문과 우리말 가사체)
금강경 ③(영어와 한문)
대강백 무비스님·대심거사 조현춘 공역
(CD: 정혜거사 독송)
1. 가사체 금강경
2. 가사체 아미타경과 아미타 정근
3. 가사체 관음경과 관음 정근
4. 가사체 반야심경 10회반복
유튜브( 가사체 금강경, 가사체 반야심경),
음성제공( 아미타경, 아미타정근, 관음경, 관음정근)
독송회
가사체 금강경 독송회가 발족되지 않은 사찰의 도반님들을 위해서 지역 독송회를 열고 있습니다.
1. 서울 독송회 (매월 첫째 일요일 오후 2, 홍은동 현성정사)
2. 대구 독송회 (매주 금요일 저녁 7시, 대명1동 이태영치과 4층)
3. 대구 다사 독송회 (넷째 토요일 저녁 7시 30분, 다사 불광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