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 사무엘하21장15~22절
제목 : 꺼지지 않는 등불이 되어
사무엘하 21장~24장의 내용은 사무엘하 부록입니다.
다윗이 통치했던 사건들을 모아놓은 것입니다.
이 세장의 말씀을 통해 이것만은 기억하라는 주님의 음성을 듣게 됩니다.
본문은 다윗의 용사들이 블레셋과 싸운 이야기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대적의 위협에서 ‘이스라엘의 등불’인 다윗 왕을 지킨 네 용사들이 소개 됩니다.
다윗의 용사들은 왕에게 충성을 다하며 다윗의 나라를 든든히 세워갑시다.
1. 다윗의 용사 아비새(15~17절)
1) 다윗이 그의 부하들과 함게 블레셋 사람과 싸웁니다(15절).
“[15] 블레셋 사람이 다시 이스라엘을 치거늘 다윗이 그의 부하들과 함께 내려가서 블레셋 사람과 싸우더니 다윗이 피곤하매”
블레셋 사람이 다시 이스라엘을 치거늘. - 본 구절로부터 본장 마지막 절(22절)까지는 다윗 왕을 도와 큰 전공을 쌓은 영웅들의 위업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블레셋 사람들이 다시 처 들어 왔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전쟁이 계속되던 그러한 상황 가운데 이야기라는 것입니다.
여기(15-22절)에 나타난 영웅들의 이야기들은 '여호와의 전쟁기'(Book of the Wars of Yaweh)에서 본서 저자가 인용하였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내려가서는 유다 산지에서 블레셋 평지로 내려갔음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2) 거인족의 아들 이스비브놉이 다윗을 죽이려 합니다(16절)
“[16] 거인족의 아들 중에 무게가 삼백 세겔 되는 놋 창을 들고 새 칼을 찬 이스비브놉이 다윗을 죽이려 하므로”
거인족의 아들. -여기서 '장대한 자'에 해당하는 히브리어는 '라파'입니다. 이 '라파'는 거인족(巨人族)이었던 르바임의 원주민들을 가리킵니다(Keil, The Wycliffe Bible Commentary; 신 2:11; 3:11, 13; 창 14:5).
그리고 이들의 명칭 때문에 그들이 살던 근처 계곡을 '르바임 골짜기'라 부른 듯합니다.
삼백세겔 중 되는 놋창. - 1세겔(Shekel)이 11.4g이므로, 삼백 세겔은 약 3.4kg에 해당합니다.
새 칼을 찬. - 여기서 '새 칼'는 형용사형으로 '새 것'이란 의미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스비브놉이 허리에 찬 무기가 칼(Vulgate, A.V.)인지 철퇴(LXX)인지 단정지을 수 없습니다.
이렇게 볼 때 이 말은 '새 무기를 찬'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이스비브놉.은 '고지대의 거주자'란 의미를 갖습니다(Keil, Gesenius).
따라서 '이스비브놉'은 본래의 이름이 아니라 후에 붙여진 별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에게 이러한 별명이 붙여진 까닭은, 아마도 그가 아무도 접근할 수 없는 고지대의 성(城) 또는 바위 틈에서 살았기 때문일 것입니다.
3) 아비새가 다윗을 돠와 그 블레셋 사람들을 쳐 죽입니다(17절).
“[17] 스루야의 아들 아비새가 다윗을 도와 그 블레셋 사람들을 쳐죽이니 그 때에 다윗의 추종자들이 그에게 맹세하여 이르되 왕은 다시 우리와 함께 전장에 나가지 마옵소서 이스라엘의 등불이 꺼지지 말게 하옵소서 하니라”
스루야의 아들 아비새. - '아비새'(Abishai)는 다윗 왕의 조카이자 요압의 동생입니다(2:18; 10:10; 18:2; 20:6).
이스라엘의 등불이 꺼지지 말게 하옵소서. - 여기서 '등불'은 타오르는 '생명'과 '번영' 및 '영광'을 상징합니다.
따라서 다윗 신하들의 이 말은 이스라엘의 번영과 안정 및 영광의 핵(核)이신 다윗 왕이 위험과 죽음이 도사리고 있는 전쟁터에 참전하는 것을 막는 말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욥 18:5, 6에서는 '등불의 꺼짐'이 곧 '죽음'과 '파멸'을 상징하는 말로 사용되었습니다.
한편, 그런데 다윗 왕이 이스라엘의 등불이 된 것은 여호와께서 그의 등불이 되심으로 말미암은 것이었습니다.
즉, 다윗은 본서 22:29과 시 18:28에서 여호와께서 나의 등불이시며 나의 흑암을 밝히시리라고 고백했던 것입니다.
이 말은 다시 말해서 여호와께서 자신을 비천한 곳에서 존귀와 영광의 자리로 높여주셨음을 고백한 말입니다.
2. 다윗의 용사 십브개, 엘하난, 요나단(18~22절)
1) 후사의 사람 십브개는 거인족의 아들 중의 삽을 쳐죽였습니다(18절).
“[18] 그 후에 다시 블레셋 사람과 곱에서 전쟁할 때에 후사 사람 십브개는 거인족의 아들 중의 삽을 쳐죽였고”
곱- '곱'(Gob)에 대하여는 성경 전체에서 본 구절과 19절에만 언급되어 있을 뿐이며, 그 위치가 어디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1) 혹자는 곱을 '게셀'이라고 주장하며(Thenius)
(2) 어떤 번역본은 '가드'라고 번역하였다(LXX).
(3) 그러나 '곱'이 18절과 19절에 연이어 언급되었다는 점에서, 이를 다른 지명으로 볼 수 없으며, 아마도 게셀 근처의 작은 소읍으로 보는 것이 타당한 듯합니다(Keil, Lange).
후사 사람 십브개. - '십브개'(Sibbechai)는 다윗의 30인 용사 중 한 사람입니다(대상 20:4).
그는 23:27절에 등장하는 후사 사람 '므분내'(Mebunnai)와 동일 인물입니다(Smith).
따라서 '므분내'는 '십브개'의 오기(誤記)임이 분명합니다(Fay).
즉, 필사자의 착오로 십브개를 므분내로 잘못 기록한 것입니다.
왜냐하면 히브리어 철자상 '십브개'와 '므분내'는 상당히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한편 '십브개'는 대상 27:11에 따르면, 이만 사천 명을 지휘하는 제 8부대의 지휘관이었습니다.
또한, '후사 사람'(the Hushathite)이란 말은 유다의 족속인 후사의 자손이란 의미입니다(대상 4:4)
장대한 자의 아들 - 16절 주석 참조.
삽 - '삽'은 '이스비브놉'과 마찬가지로 거인족인 르바임 족속의 용사
로, 대상 20:4에는 '십배'라고 소개되어 있습니다.
2) 엘하난은 가드 골리앗의 아우 리흐미를 죽였습니다(19절)
“[19] 또 다시 블레셋 사람과 곱에서 전쟁할 때에 베들레헴 사람 야레오르김의 아들 엘하난은 가드 골리앗의 아우 라흐미를 죽였는데 그 자의 창 자루는 베틀 채 같았더라”
야레오르김의 아들 엘하난은 가드 골리앗의 아우 라흐미를 죽였는데.
같은 내용을 기록한 대상 20:5에는 '야일의 아들 엘하난이 가드 사람 골리앗의 아우 라흐미를 죽였는데'라고 되어 있습니다.
즉 본 구절의 '야레오르김'은 역대기에서는 '야일'로, 그리고 대상 20:5과는 달리 본 구절의 원문에는 '...의 아우 라흐미'란 말이 빠져있습니다(한글 개역 성경에 있는 이 말은 첨가된 것입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두 구절의 상이한 기록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주장들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1) 대부분의 주석가들은 역대기의 기록을 옳은 것으로, 그리고 본서(삼하)의 기록을 오기(誤記)로 봅니다.
(2) 반면, 다른 소수의 학자들은 본서의 기록을 옳은 것으로, 그리고 역대기의 기록을 오기라고 주장합니다(Ewald, Bertheau, Bottcher).
즉 이들은 골리앗이란 이름의 사람이 실제로 둘이었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주장은 억측입니다.
(3) 혹자는 다윗과 엘하난을 동일 인물로 봅니다(Jerome, Targum). 즉 '다윗'이란 이름은 본래 이름이 아니라 왕명(throne name)이었으며, 그의 본래 이름은 '엘하난'이었다는 주장입니다.
특히 '엘하난'(Elhanan)이 '하나님은 은혜로우시다'란 뜻을 지닌다는 사실은 이같은 주장을 입중해 준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같은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본 구절의 배경이 되는 장소, 곧 엘하난이 골리앗을 죽였다고 하는 곳은 '곱'이지만, 다윗이 골리앗을 죽인 장소는 엘라 골짜기이기 때문입니다(삼상 17:19).
이상과 같은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우리는 본 구절이 잘못된 오기(誤記)이며, 역대기의 기록이 원문에 일치하는 올바른 기록임을 인정해야만 합니다.
따라서 본 구절은 역대기의 기록에 맞추어 '...의 아우 라흐미'를 첨가하여 읽어야 합니다(Keil).
결론적으로 다윗은 '골리앗'을 죽였고, 엘하난은 '골리앗의 아우'를 죽인 것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삼상 서론, No. 7. 사무엘서에 대한 고등 비평 비판' 부분을 참조하라. 한편, 본 구절의 '엘하난'은 다윗의 30인 용사 중의 한 사람인 도도의 아들 '엘하난'(23:24)과는 다른 인물입니다.
3) 다윗의 형 삼마의 아들 요나단이 거구를 죽입니다(20,21절)
“[20] 또 가드에서 전쟁할 때에 그 곳에 키가 큰 자 하나는 손가락과 발가락이 각기 여섯 개씩 모두 스물 네 개가 있는데 그도 거인족의 소생이라[21] 그가 이스라엘 사람을 능욕하므로 다윗의 형 삼마의 아들 요나단이 그를 죽이니라”
키 큰 자(이쉬 마딘) - 굉장한 '거구'(巨軀)로서, 싸움을 잘하는 '용사'를 가리킵니다.
매 손과 매 발에 가락이 여섯씩 모두 스물 네 가락. - 이러한 육손과 육발은 일종의 유전적 성격을 띠는 기형인데, 플리니(Pliny)의 'Natural History'에도 이와 유사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는 아주 드문 기형(奇型)은 아닌 듯합니다.
삼마의 아들 요나단. - '요나단'은 암논의 교활한 모사(謀士) '요나답'의 형제입니다(13:3).
한편 '삼마'는 다른 곳에서 '시므아'라고 기록되기도 하였습니다(13:3;대상 2:13).
4) 네 사람 가드의 거인족의 소생이 다윗의 손과 그의 부하들의 손에 다 넘어졌습니다(22절)
“[22] 이 네 사람 가드의 거인족의 소생이 다윗의 손과 그의 부하들의 손에 다 넘어졌더라”
본 구절은 앞의 기록(15-21절)을 한 마디로 요약해 주는 후기(後記)에 해당합니다.
여기서 '거인족의 소생'이란 가나안의 거인족(巨人族) 원주민 '라파'의 후손들을 가리키는 말입니다<21:16>.
따라서 이 네 사람은 라파 족속의 남은 생존자들로서, '가드'(수 11:22; 13:3)에서 태어나 블레셋의 용병(傭兵)으로 활약해 왔던 자들이었습니다.
한편, '다윗의 손과 그의 부하들의 손에 다 넘어졌더라'란 말은
(1) 다윗이 이스비브놉과 맞서 싸웠던 사실을 내포하고 있으며(Keil), (2) 또한 다윗 신하들의 승리가 곧 다윗의 승리임을 나타내 주는 말입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 다윗의 이러한 승리의 개가는 다윗의 치적과 영광을 돋보이게 하기 보다는, 다윗 왕국의 승리와 번영을 주도하셨던 하나님의 도우심의 손길을 보여 주려는 것입니다.
22장에 나타나고 있는 구원을 감사하는 다윗의 노래가 바로 이같은 사실을 증명해 줍니다.
따라서 여기 나타난 함축된 승리의 전쟁 기사(15-22절)는 22장의 감사와 찬미의 역사적 배경을 설명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오늘 말씀은 계속되는 어려움을 어떻게 이겨 낼 수 있느냐라는 것입니다.
첫째, 하나님의 약속을 신뢰해야만 합니다.
이 사건들은 압살롬의 반란이 일어나기 전 다윗이 나이 들었을 때 일어난 일입니다.
요압에 있던 군사적 정권은 또한 아비새에게 점차 이양됩니다.
중요한 사실은 이때 다윗은 점점 쇠퇴하기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다윗은 늙어 있고, 오랜 전쟁에 피곤해 졌습니다.
언제든지 적들의 창과 칼에 죽을 수 있는 연약한 왕으로 전락한 것입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다윗은 끝끝내 성공합니다.
다윗의 능력이 아닌 하나님의 언약 변하지 않는 약속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다윗의 왕국을 약속대로 지켜 주셨습니다.
우리 역시 고난의 때에 하나님의 약속을 신뢰해야만 합니다.
어떤 약속입니까?
결단코 떠나지 않으며, 궁극적으로 승리하게 하신다는 임마누엘의 약속입니다.
바로 이 약속의 증거가 십자가입니다.
십자가를 의지하는 한 우리는 이긴 사람입니다.
하나님의 능력으로 감당할 수 있는 사람들인 것입니다.
이 변치 않는 하나님의 약속을 붙드시기 바랍니다.
둘째, 믿음의 동역자들과 함께 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결코 문제만 주지 않으십니다.
함께 감당할 수 있는 믿음의 동역 자들을 반듯이 보내 주십니다.
모세에게는 아론과 미리암이 있었고, 이후 돕는 장로들을 붙여 주셨습니다.
다윗 역시도 혼자 전쟁을 감당하게 한 것이 아닙니다.
동역 자들이 있었습니다.
오늘 말씀에서 다윗이 위기를 맞이합니다.
거인들이 다윗을 죽이려 하는 것입니다.
그때 다윗의 동역 자들은 다윗을 어려움에서 구해 냅니다.
다윗은 전쟁을 결코 혼자 감당 할 수 있다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럴 때 주변의 동역 자들은 그를 도왔고, 또한 승리 할 수 있었습니다.
혹시 힘든 상황에 있으면서도 주변 동역 자들과 나누지 못했다면 이제 혼자만의 전쟁은 끝내시기 바랍니다.
함께 할 때 이길 수 없는 전쟁도 이기게 됩니다.
꺼져가는 등불이 꺼지지 않는 등불이 되게 됩니다.
이런 믿음의 동역함이 있는 복된 날이 되시길 간절히 소망합니다.
내게 주시는 교훈은 무엇입니까?
1) 사울 왕은 기브온 거민과 언약을 어겨 이스라엘에 재앙을 초래했지만(1~14절), 다윗의 용사들은 하나님께서 세우신 ‘이스라엘의 등불’인 다윗 왕을 지키며 이스라엘을 구원합니다.
이스라엘에는 하나님께 충성(헤세드)을 다하는 왕이 있었고, 그 왕에게 충성(헤세드)을 다하며 하나님 나라를 세워가는 용사들이 있었습니다.
이처럼 그들을 더욱 빛낸 것은 화려한 전적이 아니라 신실한 충성입니다.
우리도 서로 부족하더라도 서로의 필요를 돌아보고 서로에게 경청하고 협력하면서 하나님께 충성할 때 우리를 통해 하나님 나라는 든든히 서 갈 것입니다.
2) 블레셋과의 전투 중 다윗은 스루야의 아들 아비새의 도움으로 가까스로 위기를 모면합니다(15~17절).
이에 다윗의 부하들은 그가 더 이상 전장에 직접 출정하는 것을 만류합니다.
이는 다윗이 단순히 연로하거나 기력이 쇠한 까닭이 아닙니다.
그의 죽음은 '이스라엘의 등불이 꺼지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다윗처럼, 곁에 선 존재만으로 힘이 되어주는 사람이 있습니다.
함께하는 것만으로 어두운 밤하늘에 등대와도 같은 사람이 있습니다.
오늘 우리 모습도 누군가의 쉼과 힘이 되어주는 또 하나의 등불이기를 소망해봅니다.
3) 다윗이 떠난 전장을 다윗의 용사들이 지켜냅니다(18~22절).
후사 사람 십브개는 거인족의 아들인 삽을, 베들레헴 사람 엘하난은 골리앗의 아우 라흐마를, 삼마의 아들 요나단은 거인족의 장수를 넘어뜨립니다.
그들은 블레셋의 '장대한 자들'을 두려워하지 않고 목숨을 걸고 나라를 구합니다.
용맹한 다윗의 부하들에게서 블레셋의 골리앗을 상대하던 예 소년 다윗의 외침(삼상17:47)과 용맹이 고스란히 전해집니다.
그들도 다윗처럼 싸움의 승패가 그들의 손에 들린 무기가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능력(손)에 달려 있음을 의심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다윗은 환난 중에 반석과 방패가 되신 '하나님의 구원하심'을 찬양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22장).
사방이 호의적이지 않을 때에라도 나의 힘이 되어 나를 구원하시는 하나님을 의지하는 하루하루를 사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