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記憶)은 이미지(image) !
부산 동래구 망월산 (望 - 바랄 망, 月- 달 월 山 - 달을 바라 보는 산) 전등사 극락교 밑 언덕에 30년( 김영순 교수님 차 인생 나이) 쯤 된 차나무에 꽃이 만발하여 향기가 온 산을 휘 감고서 숨을 헐덕이는 나그네를 포근히 반겨주었다. 중턱에 자리 잡은 전등사에는 수정 같은 맑은 옥천(玉泉)이 돌틈으로 샘 솟고 있었던 오늘 오후의 모습이 선 합니다.(촬깍~!)

2010년 12월 4일 부산 망월산 전등사 극락교 밑 언덕에 핀 차꽃!

현수님께서 좋아 하셨던 실화상봉수( 實花相逢樹- 꽃과 씨가 함께 만나는 나무)!

차(茶)는 식물(植物)이며, 식물은 탄소동화작용(炭素同化作用)으로 살아간다. 태양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식물이 태양을 중심이다. 즉 광합성(光合成)작용이 있기 때문에 차의 성분이 같은 차나무이지만 채취 시기에 따라 다르다.(예 :우전000,000원, 세작 00,000원, 대작00,000원)
차를 채취 하는 시기가 중요하다고 한 이유는 바로 식물의 성장 원리인 탄소동화작용을 이해하시고 즉 성분의 차이를 설명.
17,18,19 페이지는 16 페이지에서 중요하다고 한 이유를 나열하고 있습니다. 일찍 채취하면?
그리고 늦으면 차의 성분이 사라진다.(여기서 3 페이지에 관한 비유= 두릅과 두릅의 사포닌 설명) 19 페이지는 결론이지요? 그래서 곡우(穀雨)전 5일이 좋다고 했습니다. 이 때는 차의 생명인 카페인과 카테킨이 모두 함께 많다.

금정산(金井山)은 무엇으로 기억 됩니까? 글자 금정산이 아니고 이미지 (그림)으로 기억 됩니다. 머리(뇌)는 너무나 단순해서 이미지(그림 사진)은 금방 저장 해 둡니다. 그러므로 사진만 열심히 찍자! 500/1초 눈만 한 번만 촬깍! 그리고 숫자는 어떻게 기억 합니까? (예: 올해 수능은 16개 시도에서 1206개 고사장에서 72만2227명이 응시 했다.) 네 자리는 ? 그리고 세 자리는 ?(예 ; 금정산 해발 801m = ?) 또 지리산 천왕봉 1915m ? 치매는 우리 스스로가 만들지 않을 수 있다.

필기는 하시지 마시고 뇌에 이미지로 남겨야 영원히 기억 됩니다. 칠판의 글씨를 사진으로 찍고 계시나요? - 이 자리에 계시는 분들은 기억을 영원한 이미지로 저장시켜 활용 해 주세요!
한 번 들은 이야기는 생생하고,
한 번 강의 하는 것은 두 번 배우는 것이다.
오늘 참석 해 주신 회원님 그리고 교수님 고맙습니다.
자리를 준비 해 주신 김교수님 고맙습니다.
부족하고 서투른 내용 끝까지 함께 해 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첫댓글 머리의 기억은 이미지다. 잘 명심 하겠습니다. 지금부터 사진을 열심히 찍자! 500/1초!
뇌(腦)에서 기억(記憶)되는 것이 IMAGE(이미지)라는 아이디어로 한문을 누구나 쉽게 이해하도록 사진으로 읽는 다신전을출판 한 것에 자신감을 갖고 알차고 충실한 내용으로 독자들의 사랑에 보답 하겠습니다. 감사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