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둥치科 Leiognathidae
○ 주둥치 : Nuchequula nuchalis (Temminck and Schlegel) (= Leiognathus nuchalis)
► 외국명 : (영) Spotnape ponyfish, (일) Hiiragi (ヒイラギ )
► 형 태 : 크기는 최대 전장 25㎝까지 자라지만 대개는 전장 14㎝ 정도이다. 몸이 나뭇잎 모양이며 몸 높이가 높다. 체색은 청색을 띤 은백색이다. 머리 뒤와 등지느러미 가시에 현저한 흑색 반점이 하나 있다. 몸 길이는 높이의 1.7~2.0배이며 머리 등쪽 외곽은 복면 외곽보다도 더욱 많이 올라와 있다. 아래턱은 35~45℃의 각도로 위로 향해졌고 구열이 시작한 곳은 눈의 하연의 아래쪽과 동일 수평선상에 있다. 비늘은 떨어지기 쉬우며 머리에는 비늘이 없다.
크기는 체장 12㎝ 정도이다. 두부와 체측은 좌우로 심하게 측편되어 있으며, 체형은 장난형이다. 두부 등 쪽 사면은 진갈색이며, 두부와 체측은 은백색이다. 후두정부에 안경 크기의 흑색 반점이 있다. 측선상단의 체측 상단부는 연한 은청색이다. 등지느러미 연조부 기저와 인접한 체측 상단부에 희미한 횡대반문이 수개가 흔적적으로 있거나 없다. 등지느러미 2-5극의 기저에 안경 크기의 흑색 반점이 있고 다른 부위는 투명하다. 가슴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투명하다. 뒷지느러미 극조부와 연조부의 전반은 황색이거나 투명하다. 꼬리지느러미의 상하엽 외연과 후단의 외연은 진황색이고 다른 부위는 투명하다. 등지느러미의 기저 시점은 가슴지느러미 연조 중앙에서 시작한다. 등지느러미 1극은 흔적적이며, 2극은 다른 극조보다 약간 길다. 등지느러미 극조부와 연조부는 결각 없이 연속적이다. 등지느러미 연조부 기저 길이는 극조부 기저 길이보다 현저히 길다. 등지느러미 극조부 외연과 등지느러미 연조부 외연은 일직선이다. 가슴지느러미는 체측 중앙에 위치하며 외연은 약간 둥글고 후단은 등지느러미 극조부의 기저 후단에 이른다. 배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 기저보다 약간 후방에 위치하고 가슴지느러미 후단을 지난다. 항문은 체측 전반부에 위치하며, 배지느러미 중앙에 위치한다. 항문과 뒷지느러미 기저 시점의 거리는 가슴지느러미 연조 길이보다 짧다. 뒷지느러미 기저 시점은 등지느러미 연조부 기저 시점에 위치한다. 뒷지느러미 연조부의 기저 길이는 등지느러미 연조부의 기저 길이와 유사하다. 등지느러미 기저 후단은 뒷지느러미 기저 후단과 동일하다. 꼬리지느러미는 정형이며, 외연은 내만되어 있다. 양안간격은 약간 볼록하다. 주둥이는 전방으로 약간 뾰족하며, 상하악은 전방으로 길게 돌출가능하다. 주둥이의 상악은 하악보다 약간 전방에 있다. 상악 후단은 안경 후방에 이르지 못한다. 안경은 두부 측면의 중앙에 위치한다. 새개부 후단에 소극이 없다. 전새개부의 하단 외연은 작은 거치형이다. 상하악에 작은 이빨이 있다. 비늘은 원린이며 두부는 비늘이 없고 체측은 비늘이 덮여 있다. 배지느러미에 부속비늘이 있다. 측선은 완전하며, 아가미 후단에서 시작하여 등 쪽으로 약간 휘어져 미병부까지 이른다.
► 설 명 : 내만에 흔하나 때로는 하천으로 올라온다. 단각류, 다모류, 기타 저생동물, 해조 등을 먹는다. 전장 8㎝로 성숙한다. 산란기는 5~7월이며, 연안의 해조가 우거진 곳에 산란한다. 식도를 둘러싼 주머니가 있으며, 내부에 발광 박테리아가 공생하고 있어 그 빛이 몸의 측면과 복부의 근육을 투과해서 빛난다. 본종은 상악 전골과 액골을 마찰시켜서 발음하는 습성이 있다. 자망이나 정치망에 들어온다. 낚시의 대상도 된다. 찌개 등으로 이용한다.
제철은 봄부터 여름까지이다. 대량으로 점액을 내기 때문에 가시를 조심하면서 먼저 점액을 빼고 요리를 하는데 소금을 사용하면 점액을 제거하기 쉽다. 비늘은 신경을 써지 않아도 되며, 껍질은 얇고 약하고, 뼈도 연하다. 살은 투명감이 있는 백색이며, 혈합육은 적다. 생선회는 전갱이과 어류와 비슷한 감칠맛이 있으며, 그러면서도 담백하고 고급스러운 지방의 단맛과 감칠맛이 있어서 맛이 매우 좋다. 감칠맛이 있어서 끓여도, 구워도 맛이 좋다. 튀기, 국, 찌개, 조림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한다.
► 분 포 : 한국(남해안, 제주도), 일본(혼슈우 중부 이남 연안), 대만, 중국(남지나해), 베트남, 말레이시아, 필리핀, 호주 등 북서태평양 연안에 제한적으로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