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물두줄망둑 : Tridentiger bifasciatus Steindachner
► 외국명 : (영) Shimofuri goby, (일) Shimofurishimahaze (シモフリシマハゼ)
► 형 태 : 크기는 전장 12㎝ 정도이다. 몸은 짧고, 앞부분은 원통형이며 뒤로 갈수록 측편되었다. 머리는 위 아래로 약간 납작하며, 주둥이는 끝이 뭉툭하고, 아래턱이 위턱보다 약간 길다. 눈이 작으며, 머리 위쪽에 있다. 꼬리지느러미의 후연은 둥글다. 몸은 연한 갈색 바탕에 등과 몸 중앙에 2개의 암갈색 수평 줄 무늬가 있는데, 체측 중앙의 것은 주둥이 끝에서 미병부까지 길게 이어진다. 색체와 반문의 변이가 심하다. 줄무늬가 불분명한 개체들도 있다. 아가미뚜껑에는 밝고 둥근 점들이 흩어져 있으며, 이 점들은 두줄망둑에 비해 좀더 많이 배열되어 있다. 제2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가장자리에 노란색 띠가 있다. 고정하면 밝은 색으로 변한다. 산란기에는 제1등지느러미가 커진다. 산란기에 수컷은 온몸이 검은색으로 변한다. 산란기의 수컷은 주둥이와 아가미뚜껑 부위가 커져 불룩하며, 체측의 줄무늬는 선명하지 않다. 암컷에서는 뚜렷한 변화가 없다.
크기는 전장8~12㎝ 정도이다. 체측은 약간 측편되어 있으나 체형은 원통이며, 막대형이다. 두부 등 쪽과 체측 등 쪽은 진갈색이며, 체측은 연갈색이고 복부는 연황색이다. 안경에서 시작하여 가슴지느러미 기저상단에 안경 굵기의 진갈색 종대반문이 있다. 후두정부에서 시작하여 제1-2등지느러미 기저와 접하는 체측 상단부에 안경 굵기의 진갈색 종대반문이 있다. 가슴지느러미 상단부터 미병부 중간의 체측 중앙에 안경 굵기의 진갈색 종대반문이 있다. 안경 하단의 전새개부와 새개부에 작은 백색 반점이 산재되어 있다. 두부의 복부에 두부측면의 백색 소반점이 동일하게 산재되어 배열되어 있다. 제1등지느러미 1-2극에 진갈색 반점이 있다. 제2등지느러미의 연조에 진갈색 반점이 있어 점열형 종대반문이 기저와 인접한 연조에 있고 외연은 투명하다.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는 투명하다. 뒷지느러미는 투명하고 외연은 연갈색이다. 꼬리지느러미는 투명하거나 기저는 연갈색이다. 체색과 반문 변이가 서식처 별로 다양하다. 제1등지느러미의 기저 시점은 가슴지느러미 기저보다 훨씬 후방에 위치한다. 제1등지느러미 2극은 다른 극조에 비하여 약간 길며, 사상구조가 아니다. 제1등지느러미 외연은 둥글다. 제1등지느러미와 제2등지느러미는 분명하게 분리되어 있다. 제2등지느러미 기저 길이는 제1등지느러미 기저 길이보다 현저히 길고, 외연은 둥글거나 일직선이다. 가슴지느러미 상단에 유리연조가 없다. 가슴지느러미는 체측 중앙에 위치하며 외연은 둥글고 그 후단은 제1등지느러미 기저 후단에 이르지 못한다. 배지느러미는 흡반구조이며, 가슴지느러미 기저보다 약간 전방에 위치하고 가슴지느러미 후단을 지나지 못한다. 항문은 제2등지느러미 기저 시점에 위치한다. 뒷지느러미 기저 시점은 제2등지느러미 기저 시점보다 약간 후방에 위치하며, 외연은 둥글거나 일직선이다. 뒷지느러미 기저 길이는 제2등지느러미 기저 길이보다 약간 짧다. 뒷지느러미 기저 후단은 제2등지느러미 기저 후단과 동일한 위치에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절형이며, 외연은 둥글다. 주둥이의 상악은 하악보다 약간 전방에 있다. 상악 후단은 안경 후단을 지난다. 양안간격은 넓며, 약간 편평하다. 안경은 두부 중앙보다 상단에 위치한다. 전새개부와 새개부에 소극이 없다. 혀의 말단은 둥글다. 상하악에 이빨이 있으며, 서골과 구개골에 이빨이 없다. 체측에 즐린이 덮여 있다.
► 설 명 : 강 하구의 기수 및 담수역의 바위 바닥 혹은 개펄 바닥에 서식하는데 단단한 바닥을 선호한다. 폭 넓은 수온 차이와 염도 차이에 적응 능력이 있다. 주로 작은 갑각류(요각류, 등각류, 단각류, 보리새우 등), 따개비류 및 갯지렁이류를 먹고 산다. 산란기는 4~8월로 수컷이 빈 조개 껍질이나 돌 틈, 통나무 표면, 깡통이나 병 속 같은 물체에 둥지를 만들면 암컷이 둥지에 알을 낳으며 수컷이 알들이 부화할 때까지 그 자리에서 보호한다. 다른 수컷의 접근에 대해 심한 세력권을 보인다. 부화된 새끼는 1년 안에 성어가 되며, 수명은 2년 미만이다. 선박의 평형수에 의하여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에 이입종이 되었다. 식용하며, 관상용으로 사육하기도 한다.
제철은 봄이지만 가을의 개체도 식감과 맛이 떨어지지 않는다. 매우 작은 어류이므로 원칙적으로 통째로 이용한다. 비늘은 작고 부드럽다. 뼈도 부드러워서 조림이나 튀김으로 이용하면 부담없이 먹을 수 있다. 살아있는 것을 수분을 뺀 후 녹말가루를 묻혀 두 번 튀긴다. 살아있는 것을 기름에 넣을 때는 위험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통째로 먹어도 고소하고 살에 단맛이 있어 매우 맛이 좋다. 조림은 맛술, 간장, 물을 넣고 조리며, 설탕을 넣어서 단맛을 내어도 된다. 조직이 부드럽고 독특한 풍미가 있다.
► 분 포 : 한국(전국의 큰 강 하구 기수역과 담수), 일본, 중국, 타이완, 연해주 등지에 분포한다. 선박의 평형수를 통해 미국의 동중부 태평양 연안 지역에 이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