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남동구 구월농산물시장의 남촌동 이전 계획이 재원조달 방안을 찾지 못하고 수 개월째 답보상태다. 수천억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에 대해 시행을 맡은 인천도시개발공사가 사업을 포기하는 방안까지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국비 등 외부 자금을 끌어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골몰하고 있지만 뾰족한 수가 없는 상황이다.
13일 인천시와 인천도시개발공사에 따르면 1994년 구월동 일대 6만㎡에 조성된 농산물 도매시장을 2013년까지 남촌동 일대 28만1천441㎡로 이전할 계획이다.
시는 인천도개공이 현 구월동 부지를 개발하는 조건으로, 새 도매시장 이전 및 조성비용을 부담하기로 협의했다. 시가 추산하는 구월동 종전 부지의 공시지가는 약 2천억원으로 인천교통공사와 각종 상가시설 등이 밀집해 있어 인천에서도 ‘노른자’로 통한다.
도매시장 이전에는 용지매입비 및 공사비를 합쳐 약 4천19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시는 판단하고 있다.
인천도개공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방식으로 사업자를 공모해 종전 부지에 초고층 복합상가시설을 짓는 계획을 세웠다.
시와 인천도개공은 지난해 9월 그린벨트인 이전 예정지에 대한 그린벨트 해제 작업에 돌입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재원조달에 대한 방안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지난해까지만해도 사업 추진에 의지를 가졌던 도개공의 사정이 지난 몇 달새 급변했기 때문이다.
송영길 시장 뿐 아니라 국가 전체가 공기업의 재정 건전성을 강화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는 마당에 이번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인천도개공이 또 다시 빚을 내야 하기 때문이다. 또 국내 PF발생 여건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구월보금자리주택 조성 계획에 따라 종전 부지 개발의 수익성도 크게 줄어들 것으로 인천도개공은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천도개공은 그린벨트 해제를 위한 용역을 시행하면서도, 이 사업을 수행해야 할지 여부를 심각히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감사원도 최근 도개공의 재정 여건을 감안했을 때 사업 추진 여부를 다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는 인천도개공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계획을 구상하는 한편, 국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시는 최근 인천 출신인 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을 통해 공사비의 일부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건의했다.
그러나 리모델링이 아닌 신축 비용을 국비로 받는데는 지원 근거에 한계가 있어 이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될지 여부는 미지수다.
인천시 관계자는 “국비를 일부라도 지원받을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며 “단계적 이전 등 인천도개공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계획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