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10 . 2 ~ 10. 5 중국 길림성
여기 중부에 벼를 베기 시작한 10월 초에 백두산 가느라구 서해를 건너 연길에 갔습니다.
비행기에서 내려다 본 중국 해안부터 공항까지 계속 아주 얕은 구릉이었는데
논처럼 보이는 경작지가 베어진 것이 아주 적은 부분이어서 의아했더니 내려서 보니 다 강냉이밭이에요!
강냉이.... 술을 빚고 가공으로 주로 많이 쓰인댑니다.
울 똘똘한 조선족 가이드 총각이 그러는데 중국 공산당 방식으로는 뭔가 유리한 작물이 있으면 "그거다!"고 화끈하게 때리심는댑니다.
산꼭대기까지 강냉이......
중턱까지 강냉이...
산만 빼고 강냉이........
근데 좀 걱정이 되는 거이, 보다시피 포플러와 전나무, 자작나무가 주종인 타이가 수림대인데
그러면 척박하고 얕고 습한 땅일 거인데 지력소모가 큰 옥수수만 오래도록 저렇게 때리심으면 토양이 무사할런지????
앗, 드넓은 콩밭, 그너머 강냉이...
또 강냉이.......
저 너머도 강냉이일 거...
강냉이
마을만 빼고 강냉이
냇물 건너도 강냉이
백두산 가는 길인데 이 동네는 왜 버려졌을까요? 혹시 뭔 집단농장 그런 거??
아마도........중국이 지금만큼 풍족하지 않았을 때 쓰던 걸로 보이는 온실 자리.
북쪽은 벽과 흙으로 막고 남쪽만 바라보면 겨울철 난방비를 많이 낮출 수 있다 하였습니다.
조선왕실에서도 북쪽을 높이 가리고 우묵 들어간 온실을 갖고 있었습니다.
중국식 볏단 쌓아두기
아~, 또, 구릉을 넘은 강냉이밭
용정 쪽으로 가다가, 강냉이밭을 내려다 보는 과수원.
용정 쪽은 산이 좀더 많습니다. 근디..... 땅 진짜 넓으네요...
출처: 산들바람여름 원문보기 글쓴이: 사발커피
첫댓글 엄청난 옥수수밭이네요.워낙 많은 인구를 먹여살리니 저렇게 대량으로 재배를 하는가봅니다.옥수수는 거름을 탐하는 작물이라 연작하기 힘들기는 하지요. 땅도 척박해지고...전에 제가 읽었던책에 북만주벌판이 이름난 흑토지대라 농사가 아주 잘된다고 들었습니다. 중국 전체농업 생산량의 30퍼센트 이상의 농산물을 공급할정도로요...땅이 늙어서 척박한 우리로서는 부럽지요..
와~~~~~
잡초의 재발견에는 옥수수와 해바라기를 같이 심으면 수확량이 훨씬 많아진다고 하네요. 정말 대단하네요.
어마어마한 옥수수밭이네요.연길의 강냉이~ 그 맛은 보셨는지?
밥상에도 강냉이가 조금 나오긴 했는데 여기 통통한 찰옥시기 분위기가 아녀서 집어먹지는 않았습니다.강냉이 좋아하시는 분들은 더러 집어다 드시더군요.
첫댓글 엄청난 옥수수밭이네요.
워낙 많은 인구를 먹여살리니 저렇게 대량으로 재배를 하는가봅니다.
옥수수는 거름을 탐하는 작물이라 연작하기 힘들기는 하지요. 땅도 척박해지고...
전에 제가 읽었던책에 북만주벌판이 이름난 흑토지대라 농사가 아주 잘된다고 들었습니다.
중국 전체농업 생산량의 30퍼센트 이상의 농산물을 공급할정도로요...
땅이 늙어서 척박한 우리로서는 부럽지요..
와~~~~~
잡초의 재발견에는 옥수수와 해바라기를 같이 심으면 수확량이 훨씬 많아진다고 하네요. 정말 대단하네요.
어마어마한 옥수수밭이네요.
연길의 강냉이~ 그 맛은 보셨는지?
밥상에도 강냉이가 조금 나오긴 했는데 여기 통통한 찰옥시기 분위기가 아녀서 집어먹지는 않았습니다.
강냉이 좋아하시는 분들은 더러 집어다 드시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