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iding high
The lessons from America’s astonishing economic record 잘나가는 미국, 그 교훈은?
The world’s biggest economy is leaving its peers ever further in the dust
Apr 13th 2023
If there is one thing that Americans of all political stripes can agree on, it is that the economy is broken. Donald Trump, who saw trade as a rip-off and his country in decline, came into office promising to make America great again. President Joe Biden is spending $2trn remaking the economy, hoping to build it back better. Americans are worried. Nearly four-fifths tell pollsters that their children will be worse off than they are, the most since the survey began in 1990, when only about two-fifths were as gloomy. The last time so many thought the economy was in such terrible shape, it was in the throes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정치 성향에 관계없이 모든 미국인이 동의할 수 있는 한 가지가 있다면, 그것은 바로 ‘경제가 파탄 났다’라는 것이다. 무역을 ‘바가지 거래’로 보고 미국이 쇠퇴하고 있다고 생각한 트럼프는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겠다는 약속과 함께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바이든 대통령 역시 2조 달러 규모의 경제 재건 사업을 추진하고 나섰다. 그러나 국민은 우려하고 있다. 거의 80%의 미국인은 자식 세대가 자신들보다 더 못살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990년 첫 조사가 실시된 이래 최악의 수치이다. 당시 조사에서 이러한 부정적 응답자 비율은 40%에 그쳤다. 경제 상황에 대한 부정적 견해가 이렇게 높게 나온 가장 최근 조사는 글로벌 금융 위기 때였다.
Yet the anxiety obscures a stunning success story—one of enduring but underappreciated outperformance. America remains the world’s richest, most productive and most innovative big economy. By an impressive number of measures, it is leaving its peers ever further in the dust.
그러나 이러한 불안감이 미국의 놀라운 성공 스토리를 가리고 있다. 지속적인 독보적 성과가 저평가되고 있는 것이다. 미국은 GDP와 생산성, 혁신 면에서 여전히 세계 1위의 경제 대국이다. 여러 지표상에서 다른 선진국을 큰 격차로 앞서고 있다.
Start with the familiar measure of economic success: gdp. In 1990 America accounted for a quarter of the world’s output, at market exchange rates. Thirty years on, that share is almost unchanged, even as China has gained economic clout. America’s dominance of the rich world is startling. Today it accounts for 58% of the g7’s gdp, compared with 40% in 1990. Adjusted for purchasing power, only those in über-rich petrostates and financial hubs enjoy a higher income per person. Average incomes have grown much faster than in western Europe or Japan. Also adjusted for purchasing power, they exceed $50,000 in Mississippi, America’s poorest state—higher than in France.
먼저, 경제 성장을 가늠하는 척도인 GDP를 보자. 1990년에 미국은 시장 환율 기준으로 전 세계 GDP의 4분의 1을 차지했다. 30년이 지난 지금도 그 비중은 거의 그대로이다.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이 커졌는데도 그 수치는 여전하다. 선진국 진영에서의 위상은 놀라운 수준이다. 선진 7개국(G7) 전체 GDP에서 미국의 GDP 비중은 1990년 40%에서 58%로 오히려 증가했다. 구매력 기준 1인당 GDP가 미국을 앞선 나라는 일부 산유국과 금융 허브 국가밖에 없다. 평균 소득은 서유럽 국가와 일본보다 떠 빠르게 늘었다. 구매력 기준으로 미국에서 가장 가난한 미시시피주의 평균 소득도 5만 달러대로 프랑스보다 높다.
The record is as impressive for many of the ingredients of growth. America has nearly a third more workers than in 1990, compared with a tenth in western Europe and Japan. And, perhaps surprisingly, more of them have graduate and postgraduate degrees. True, Americans work more hours on average than Europeans and the Japanese. But they are significantly more productive than both.
여러 경제성장 요인도 인상적이다. 미국의 경제활동 인구는 1990년보다 거의 3분의 1이 늘었다. 서유럽과 일본은 10분의 1이 늘어나는 데 그쳤다. 미국 노동력은 대졸 이상 학력자 비율이 높고 평균 노동 시간이 더 길다. 게다가 생산성은 훨씬 더 높다.
American firms own more than a fifth of patents registered abroad, more than China and Germany put together. All of the five biggest corporate sources of research and development(r&d) are American; in the past year they have spent $200bn. Consumers everywhere have benefited from their innovations in everything from the laptop and the iPhone to artificial-intelligence chatbots. Investors who put $100 into the s&p 500 in 1990 would have more than $2,000 today, four times what they would have earned had they invested elsewhere in the rich world.
해외 출원 특허의 5분의 1 이상은 미국 기업이 보유하고 있다. 중국과 독일을 합친 것보다 더 많다. R&D 투자 상위 5개 기업 모두가 미국 기업으로 이들 기업의 지난해 R&D 투자액은 2,000억 달러에 이른다. 전 세계 소비자는 노트북과 아이폰에서부터 인공지능 챗봇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미국 기업의 혁신의 혜택을 누리고 있다. 1990년 대비 미국 증시는 200배나 성장했다. 다른 선진국 증시 성장률의 4배가 넘는다. 예컨대, 1990년에 주식에 100달러를 투자했다면 현재 가치는 2천 달러가 넘는다는 의미이다.
One retort to this could be that Americans trade higher incomes for less generous safety-nets. America’s spending on social benefits, as a share of gdp, is indeed a great deal stingier than other countries’. But those benefits have become more European and, as the economy has grown, they have grown even faster. Tax credits for workers and children have become more generous. Health insurance for the poorest has expanded, notably under President Barack Obama. In 1979 means-tested benefits amounted to a third of the poorest Americans’ pre-tax income; by 2019 these came to two-thirds. Thanks to this, incomes for America’s poorest fifth have risen in real terms by 74% since 1990, much more than in Britain.
높은 국민 소득은 빈약한 사회안전망을 맞바꾼 것이라는 반박이 있을 수 있다. GDP 대비 사회 복지 지출이 다른 나라에 비해 훨씬 적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미국의 복지 혜택은 점점 더 유럽화되었고,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복지 혜택도 더욱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노동자와 그 자녀에 대한 세금 공제 수준은 훨씬 높아졌고 빈곤층 대상 건강보험은 특히 오바마 행정부 때 확대되었다. 1979년 자산기준 복지 급여는 최저소득계층의 세전 소득의 3분의 1 수준이었지만 2019년에는 3분의 2로 증가했다. 그 덕분에 소득 하위 5분위 소득은 1990년 이후 실질 기준으로 74% 증가했고 이는 영국보다 훨씬 더 높은 수치이다.
For the world as a whole, America’s outperformance says much about how to grow. One lesson is that size matters. America has the benefit of a large consumer market over which to spread the costs of r&d, and a deep capital market from which to raise finance. Only China, and perhaps one day India, can boast of purchasing power at such scale. Other countries have sought to mimic it. But even those in Europe, which have got the closest, have struggled to become a true single market. Differences in bankruptcy laws and contractual terms, together with a variety of regulatory barriers, prevent bankers, accountants and architects from touting services across borders.
세계 전체로 볼 때, 미국의 약진은 성장 방식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많다. 첫 번째 시사점은 규모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미국은 R&D 비용을 분산시킬 수 있는 거대한 소비 시장과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유동성이 풍부한 자본 시장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 정도 규모의 구매력을 자랑할 만한 곳은 현재 중국밖에 없다. 흉내라도 내기 위해서 다른 나라들이 애를 써 왔지만 그나마 가장 근접한 유럽 국가들조차 진정한 단일 시장이 되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다양한 규제 장벽과 함께 파산법과 계약방식의 차이는 금융, 회계, 건설 부문 전문가들이 국경을 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The size and the quality of the workforce matters, too. America was blessed with a younger population and a higher fertility rate than other rich countries. That may not be easily remedied elsewhere, but countries can at least take inspiration from America’s high share of immigrants, who in 2021 made up 17% of its workforce, compared with less than 3% in ageing Japan.
노동력의 규모와 질도 중요하다. 다행히 미국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젊은 층 인구가 많고 출산율도 높은 편이다. 이 문제는 쉽게 해결되지 않을 수 있지만 적어도 2021년 기준 전체 노동인구의 17%를 차지한 미국의 이민자 비율에서 무언가 느껴지는 바가 있을 것이다.
Another lesson is the value of dynamism. Starting a business is easy in America, as is restructuring it through bankruptcy. The flexibility of the labour market helps employment adapt to shifting patterns of demand. Already many of the workers in America who were laid off from Alphabet and other tech firms at the start of the year are applying their sought-after skills elsewhere, or setting up their own businesses. In continental Europe, by contrast, tech firms are still negotiating lay-offs, and may think twice about hiring there in future.
또 다른 시사점은 바로 역동성의 가치이다. 미국에서는 파산을 통한 구조조정만큼이나 창업이 쉽다. 노동 시장이 유연해 수요 양상 변화에 맞춰 고용을 조정할 수 있다. 올해 초 알파벳(Ahpahbet) 등 테크 기업에서 해고된 많은 노동자는 이미 자신의 전문성 필요로 하는 다른 기업에 취업했거나 사업체를 차렸다. 반면 유럽에서는 해고를 하려면 협상을 해야 하고 향후 채용은 고민해 봐야 하는 상황이다.
Americans should find the economy’s performance reassuring. If history is a guide, living standards will continue to go up for the next generation, even as the country bears the costs of decarbonising the economy. Yet, resilient as the growth record has been, there are shadows. The middle class has seen its post-tax incomes rise by less than those of both the poorest and the richest. A group of people have fallen into hard times. The share of prime-age American men who are not in work has been rising for years and is higher than in Britain, France and Germany. And life expectancy in America lags shamefully behind others in the rich world, mainly on account of too many younger people dying from drug overdoses and gun violence. Tackling such problems should be easier when the economy as a whole is growing. But America’s poisonous politics are no help.
미국인은 자국의 경제적 성과에서 마음의 평화를 얻어도 된다. 역사적으로 볼 때, 미국이 경제 탈탄소화 비용을 부담하더라도 생활 수준은 다음 세대에도 계속 향상될 것이다. 그러나 명(明)이 있으면 암(暗)도 있는 법이다. 중산층의 세후 소득은 소득 하위 그룹과 소득 상위 그룹보다 적게 증가했다.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사람들이 있는 것이다.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장년층 미국 남성의 비율은 수년 동안 증가하고 있으며 영국, 프랑스, 독일 보다 높은 편이다. 마약 남용과 총기 사고로 사망하는 젊은이들이 너무 많다 보니 미국인의 기대수명이 다른 선진국보다 더 짧다는 점은 창피한 일이다. 경제가 전반적으로 성장하고 있어 이러한 문제 해결은 더 쉬워질 것이다. 그러나 미국의 ‘독소 정치’도 문제이다.
In addition, the more that Americans think their economy is a problem in need of fixing, the more likely their politicians are to mess up the next 30 years. Although America’s openness brought prosperity for its firms and its consumers, both Mr Trump and Mr Biden have turned to protectionism and the politics of immigration have become toxic. Subsidies could boost investment in deprived areas in the short term, but risk dulling market incentives to innovate. In the long run they will also entrench wasteful and distorting lobbying. The rise of China and the need to fight climate change both confront America with fresh challenges. All the more reason, then, to remember what has powered its long and successful run.
미국인들이 자국 경제가 손봐야 할 문제라고 생각할수록 정치인들이 향후 30년을 망칠 가능성이 높아진다. 미국의 개방성이 국내 기업과 소비자에게 번영을 가져다주었지만, 트럼프와 바이든은 보호주의로 돌아섰고 이민 정책은 독이 되었다. 보조금은 단기적으로 낙후된 지역에 대한 투자를 촉진할 수 있지만 혁신에 대한 시장 동인을 약화시킬 위험이 있다. 장기적으로는 낭비적이고 왜곡된 로비 활동을 양산할 것이다. 중국의 부상과 기후변화 대응의 필요성은 미국에 새로운 도전 과제를 안겨주고 있다. 미국의 오랜 성공의 원동력이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해야 하는 이유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