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기(其)자는 키의 모양을 상형(象形)한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농경생활 시대에 가장 보편적으로 흔하게 사용하던 기구가 키입니다. 키를 나타내다가, 보통 늘 사용하는 도구이니까 ‘그것’이라고 지시하게 되었습니다. 차차 문명이 발달 되어 키가 하나의 도구로 변화하자, 키를 만드는 재료인 대 죽(竹)자를 더하여 키 기(箕)자가 생기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그 기(其)자는 여전히 전주(轉注)된 ‘그것’이라는 의미만 가지게 되었습니다. 기(其)자 아래에 여덟 팔(八)자는 키를 까불 때 두 손(手)으로 잡고 까붑니다. 여덟 팔(八)자는 키를 잡은 두 손(手)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기실(其實) 기부(其夫) 기녀(其女) 기여(其餘) 기소(其所) 기처(其處)
경기 기(畿)자는 의부(義符)로 밭 전(田)자에 성부(聲符)로 작을 요(幺)자 두 개에 창 과(戈)자를 한 글자를 했습니다. 틀 기(機), 기미 기(幾)자는 작을 요(幺)자에 창 과(戈)자를 한 글자가 있어서 ‘기’로 읽습니다. 경기라는 말은 임금 직할지역이라는 말입니다. 경기(京畿) 기전(畿甸) 기내(畿內) 기백(畿伯) 기정(畿停) 기보(畿輔) 기현(畿縣)
빌 기(祈)자는 의부(義符)로 보일 시(示,礻)자에 성부(聲符)로 도끼 근(斤)자를 했습니다. 도끼 근(斤)자는 도끼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물 이름 기(沂), 경기(京畿) 기(圻), 산 곁에 놓여 있는 돌 기(岓), 쌀바구미 기(蚚)자들은 도끼 근(斤)자가 들어 있어서 ‘기’로 읽습니다. 또는 크게 천지신명에게 빌 때에는 깃대를 세워 깃발을 날리며, 수레를 많은 제물을 실어다 진설하고 빌었다는 표시를 했습니다. 기도(祈禱) 기원(祈願) 기구(祈求) 기우(祈雨) 기청(祈晴) 기념(祈念) 기망(祈望)
말 탈 기(騎)자는 의부(義符)로 말 마(馬)자에 성부(聲符)로 기이할 기(奇)자를 했습니다. 기이할 기(奇)자는 사람을 표시하는 큰 대(大)자 아래에 옳을 가(可)자를 해서, 사람의 개성을 존중하는 글자입니다. 사람마다 다른 기이한 것이 바로 개성이며, 그것은 옳은 것이라는 글자입니다. 기마(騎馬) 기사(騎士) 기수(騎手) 기승(騎乘) 기병(騎兵) 단기(單騎) 철기(鐵騎)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