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홍열(Scarlet fever)
[베타용혈성연쇄구균(Group A β-hemolytic Streptococci)의 발열성 외독소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
신고범위 : 환자
신고시기 : 지체없이 신고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성홍열에 합당한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면서, 다음 검사방법 등에 의해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자
- 검체(인두도말, 혈액 등)에서 균 분리 동정
신고방법 : 별지 제1호 서식(부록2-1)을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및 웹(http://is.cdc.go.kr) 등의 방법으로 신고
Ⅰ. 환자 및 접촉자관리
1. 환자관리
성홍열은 감염된 환자의 배액 및 분비물을 통해 전파되기 때문에 항생제 치료 시작 후 24시간 동안 격리하여야 하며, 환자의 대변 등 배액 및 분비액과 사람이나 음식물 등이 오염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하고, 오염된 물품을 소독하여야 합니다.
2. 접촉자 관리
성홍열 환자와 접촉 후 증상이 있는 사람은 배양검사를 실시하고, 고(高)위험상황과 유행이 발생할 경우에는 보균자를 찾아서 치료해야 합니다. 참고로 성홍열 발생의 고위험 상황이란 가정이나 학교 내에서 류마티스열이나 급성 사구체신염이 집단으로 발병한 경우 등이 해당합니다.
Ⅱ. 역학적 특징
1. 세계현황
세계적으로 온대지역에서 흔하게 발생하며 아열대지역에서 발생하기도 하지만 열대지역에서는 드물게 발생합니다.
2. 국내현황
주로 6세~12세에 주로 발생하며 이후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며 일년 내내 발생할 수 있고 늦겨울과 초봄에 호발합니다. 국내에서는 1990년 이후 매년 100여건 내외의 발생이 보고되며 있으며 감시 현황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3. 전파경로
성홍열은 주로 환자와 보균자의 비말이나 분비물과 직접 접촉에 의해 전파되지만 드물게 식품을 통해서 전파되기도 합니다. 성홍열은 주로 사람사이의 긴밀한 접촉이 흔한 학교, 어린이 보호시설, 군대 등에서 유행발생이 가능합니다.
Ⅲ. 임상적 소견
1. 잠복기
성홍열의 잠복기는 감염 후 1일에서 3일까지이며, 인두 부위의 통증에 동반되는 갑작스런 발열(39~40℃), 두통, 구토, 복통, 인두염 등을 보이게 됩니다.
2. 임상증상
성홍열의 임상증상으로는 심한 인후충혈, 연구개 및 목젖의 출혈반, 딸기혀, 편도선이나 인두 뒤쪽 부위에 점액 농성의 삼출액, 경부 림프절 종창 등이 나타납니다.
성홍열의 특징적인 발진은 발열, 인두통, 구토 증상이 생긴 후 12시간~48시간에 발생하고, 몸통의 상부에서 시작하여 팔다리로 퍼져나가는 미만성의 선홍색 작은 구진으로 압력을 가할 때 퇴색하는 것이 특징적인데, 발진 후에는 겨드랑이, 손끝, 엉덩이, 손톱 기부 등에서 피부 박탈이 일어납니다.
3.합병증
성홍열의 합병증은 감염 후 1주 이내에 생기는 화농성 합병증과 감염 2~3주 후에 생기는 비(非)화농성 합병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화농성 합병증 : 중이염, 경부 림프절염, 부비동염, 국소 농양, 기관지 폐렴, 수막염, 골수염, 패혈증성 관절염
- 비(非)화농성 합병증 : 급성 사구체신염, 류마티스열
Ⅳ. 진단검사의학 소견
성홍열의 진단은 환자의 인두 분비물, 혈액 등에서 균을 분리 동정하거나 항원 검출법을 통해 진단을 하게 됩니다.
Ⅴ. 치료
성홍열의 치료는 경구용 아목시실린을 몸무게에 따라(15 kg 미만 : 125mg 1일 3회, 15 kg 이상 : 250 mg 1일 3회) 10일간 투여해야 하며, 주사용 페니실린(27 kg 미만 : 60만 단위, 27 kg 이상 : 120만 단위)을 1회 근주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최근 에리스로마이신에 대한 내성균주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감수성이 있는 약제로 치료하였을 경우에도 임상증상의 호전이 지연되는 경향을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첫댓글 좋은 정보 감사드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