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안녕하세요!! 채용때부터 현재 승진까지 계쏙 선생님책으로 공부하여 합격하였습니다.
바쁘시더라도 이해할 수 있는 답변 좀 부탁드릴게요ㅜㅜ
질문게시판 중에
1. 책임을 범죄인에 대한 비난가능성으로 이해한다면 책임능력은 곧 범죄능력을 의미한다."
김원욱쌤
2024.04.02
첫댓글책임은 사람이 나쁘다 입니다
따라서 책임능력이 있다는건
판단력이 있으므료 범죄능력도 있다늣 논리가 됩니다~^^
이렇게 답글을 달아주셨는데요, 그럼 저 지문이 맞는 지문인가요???
비난가능성으로 이해한다는 건 규범적책임론이 되고, 규범적 책임론은 규범적책임론, 순수규범적책임론이 있는데 규범적책임론으로 본다면 책임능력이 구파에 의하여 범죄능력이 되지만, 순수규범적책임론으로 보면 신파가 되니 형벌능력으로 봐야하는데 답을 맞다고 할 수 있나요??
보통 나오는 기출유형이나 출제유형이 책임능력을 물어볼때는 구파와 신파를 구별하는 문제 일 때 범죄능력과 형벌능력을 구별하는데 저렇게 나오면 많이 틀릴거 같은데 문제를 풀 때 어떻게 포인트를 잡아야 하나요?
2. 사시16년도 문제에서 (추가질문)
"책임은 비난가능성이다"라고 이해하는 견해에 의하면 갑은 정신병으로 인해 자신이 자신이 하는 행위가 법질에서 위반되는지 여부를 분별 할 수 없으며, 따라서 적법행위가 기대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책임을 인정할 수 없다. 그러나 이 견해는 책임평가의 대상과 그 대상의 평가를 일치시킨다는 점에서 체계모순에 빠져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O)
맞는 지문인데요, 여기서도 기대가능성이 있다는 건 규범적책임론과 순수규범책임론이 나올 수 있는데 왜 순수규범책임론은 생각하지 않고 규범적책임론으로 봐서 맞는다고 하는걸까요?
1번 2번 문제들을 보니 즉 "비난가능성"이 있다고 하면 모두 규범적책임론으로 풀었는데 ,
문제를 풀다며보면 규범책임론과 순수규범책임론을 구분하는'평가의 대상'과 '대상의 평가'를 구분하는 문제가 나와서 엄연히 구별해서 풀어야 되는게 이렇게 문제가 나오면 어떻게 기준을 잡고 풀어야 하는제 모르겠습니다.ㅠㅠ
첫댓글 1. 맞습니다.
구파 신파라는 언급이 나오면 그에 맞게 범죄능력 또는 형벌능력이라고 풀어야 합니다..^^
2. 위 지문은 이상이 있는 지문입니다.
앞 뒤 문맥이나 문제에서 별다른 언급이 없었다면 출제오류입니다.
규범적 책임론 전체가 모두 평가의 대상과 그 대상의 평가를 일치시키지는 않습니다.
어느 문제집에 있는 문제인지 모르겠는데, 교수님께서 직접 쓰지 않고 연구원이 작성한 교재가 아닌 듯 추측합니다.
그 교재는 안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