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물상]
어느 댓글
“양곡법 강행 의원들 월급은 쌀로”
초등학교 시절, 담임선생님이 매일 도시락
검사를 했는데 보리 섞인 밥이 아니라 쌀밥
위에 깨를 뿌린 ‘가짜 혼식’ 도시락을 내놨다가
혼이 났다.
1970년대 정부가 대대적인 혼·분식
장려정책을 펼 때였다.
일제강점기, 6·25전쟁을 거치면서 반찬
없어도 쌀밥 한 그릇이면 진수성찬이라는
게 할머니 소원이었다.
그래서 우리 집은 흰 쌀밥만 먹었다.
그 대가로 학교에서 혼·분식 단골 위반자가
돼야만 했다.
▶쌀은 반만년 넘게 한국인의 주식이라고
하지만 실제 우리가 쌀밥을 풍족하게 먹게
된 건 40~50년밖에 안 된다.
1960년대부터 쌀 생산이 크게 늘었지만
보리밥 대신 쌀밥을 마음껏 먹겠다는 국민들
수요가 급증하면서 여전히 쌀 부족에
시달렸다
쌀을 덜 먹게 하려고 정부가 온갖 조치를
내놨다.
작은 크기의 밥공기를 보급해 고봉밥 대신
‘공기밥’ 시대가 열렸다.
정부가 식당들 조리법까지 관여했다.
탕반류에 쌀 함량을 반으로 줄이고,
잡곡 4분의 1, 국수 4분의 1을 내도록 했다
설렁탕에 소면 넣어 먹는 식습관도 이때
생겼다.
1969년엔 매주 수요일과 토요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 쌀로 만든 음식을
팔지 못하는 무미일(無米日)까지
등장했다.
▶다른 먹거리가 풍성해지면서 한국인의
열렬한 쌀밥 사랑도 빠르게 식어갔다
지난해 쌀 생산은 376만t. 1977년의
600만t에 비하면 3분의 2도 안 되는데도
쌀이 남아돌아 걱정이다.
1인당 쌀 소비량이 계속 줄어 30년 전에
비하면 절반도 안 먹기 때문이다.
쌀 소비량이 하루 평균 한 공기
반꼴이다.
▶남아도는 쌀을 국민 세금으로 몽땅
사들여야 한다는 거대 야당의 입법에
대통령이 취임 후 첫 거부권을 행사했다.
쌀 수급 관리 및 농업 발전에 도움 안 되는
생색내기용 포퓰리즘 입법이기 때문이다.
민주당의 ‘양곡관리법’ 개정안 기사 밑에
한 시민이 이런 촌철살인의 댓글을
달았다.
“그 의원들한테는 세비를 쌀로 지급하자.”
조선 시대에는 국민들이 세금을 쌀로
내기도 했다.
▶작년 기준 국회의원 세비(월급)가
월 1285만원이다.
최근 여야 청년 정치인들이
“받는 돈은 세계 최고 수준인데 일도
그만큼 하느냐”
고 반성했다.
그러지 말고 남아도는 쌀로 세비를 받아가는 건
어떻겠나.
마트에서 10㎏들이 쌀 한 포대가 3만원
안팎이니 매달 428포대이다.
그렇게 농민을 위한다니 국민 세금 퍼주기에
앞서 농민 사랑을 직접 실천해보라는 것이다.
실현 불가능하겠지만 무책임한 선심
입법을 보며 이에 동의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을 것 같다.
강경희 논설위원
[출처 : 조선일보]
[100자평]
atom
더듬당 국회의원 세비를 쌀로? 정말 신박하다
대찬성이다.
어사박문수
맞다. 귀가찬 아이디어다.
민주당 국견놈들에게는 세비로 1285만원치 만큼
호남쌀로 주어라.
쌀밥만 먹고 살아보라고.
묘향산 도사
강제할 순 없으니 국회의원들에게 쌀과 돈 중에서
선택하라고 해보자
정일
거 듣던 중 좋은 아이디어다.
이재명이 그토록 퍼 주어 민생의 십자가를
지려하던 데. 솔선수빔하여 그 어려운 농가의 쌀을
세비로 받으면. 진정성을 약간 인정하겠다.
당장. 시행하길~
상식이 통하는
속이 시원해지는 촌평입니다.
덜렁이
세비를 쌀 지급 찬성합니다.
오는10년이가장중요
천재적인 발상이다. 다음 회기 국회의원으로
추천한다.
곰다이버
격한 찬성이다.
민들레2
더듬당 국회의원들은 국민을 너무 사랑해서
양곡법을 강행하니 월급을 쌀로 준다고하면
감동할겁니다
그렇게합시다
양곡법주장하고 쌀받는거 싫다는 사람들은 재봉틀로
입을 꿰메야됩니다
율리시즈
농업국가에서 탈피한지 오래다. 쌀농사선택은
그들의 몫이다.
자영업자들 혹은 중소기업 제품 재고도 국가가
사주는가
왜 쌀농사꾼만 국가가 구제해줘야 하는지 형평성
문제도 따져보자.
1111
발의 및 찬성한 의원들 보좌관까지 세비와 각종
수당 모두 쌀로 지급하도록 하는 법안까지 함께
입법 했겠지요?
영웅호걸
대한민국에서 생산되는 공산품 중에서 재고가 있어
남아도는 품목은 전부 정부가 구매하여
창고에 보관하라
눈꼿벚
더듬당 미친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