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산법어》(蒙山法語)는
원나라의 고승 몽산의 설법을
고려의 나옹이 1350년에 편찬한 것이다.
원래 이름은 《몽산화상법어약록》이다.
1460년 조선의 혜각이 한글로 번역하여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를 지었다,
한글판의 동국대 소장본은 보물 제767호로 지정되었다.
간화선의 교과서로 불린다.
현대 한국 불교에서 지혜제일로 평가받는 전강의 《몽산법어》 육성법문이 시판 중이며, 조계종에서 새로운 한글판을 출판하기도 했다.
근현대 한국 불교를 일으킨 경허의 《선문촬요》에도 수록되어 있다.
공부를 짓되 영리심을 가장 두려워할지니,
영리심은 약기가 되느니라.
터럭만치라도 범하면 비록 참약이 나타나더라도
능히 구제하지 못하리라.
만약 진정한 참선객일진댄 눈은 소경 같고
귀는 귀머거리 같으며 생각이 겨우 일어날때
마치 은산철벽에 부딪히는것 같으리니,
이와 같은 즉 공부가
비로소 서로 응하게 되리니.
첫댓글 일체중생의 영원한행복 바른깨달음을 발원합니다
_()_
옴 아비라 훔 캄 스바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