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고사항(3조 기준)
0. 담주 3학년 없음 일정변동및 세부사항 변동 가능, 3학년과 함께하기 전에 작성된 오티 참고
1. 화요일 서영성 교수님 외래는 12시되어야 마침
2. 출석부에 김대현교수님 이름 쓰라고 하셨음
3. EBM은 반드시 meta analysis 된것 조사할것(교수님은 상관 안하시나, EBM검사 맡을 의국장쌤이
meta가 아니면 검사해주시지 않습니다.)
4. 가정의학과 인사는 안가셨죠 ^^ 월요일날 바로 의국실로 가면됨
EBM에 대한 3조 오티 시작
- 찾는법 두가지 정도 ㅋㅋ
1. pubmed 에서 limit 잘 걸고, 검색어 입력하지 말고 엔터치거나 go 하면 다양한 주제가 나옴
그중에서 잘 골라본다. 아래 그림이 limit 눌러서 들어가면 볼 수 있는 화면입니다. 빨간줄 친거 잘
이용하세요. 그중 meta analysis 랑 systemic review 는 필수로 체크
2. 모법 저널로 아래 예시된 곳으로 들어가서 meta analysis 된, pubmed에는 올라와 있지 않을지
모르는 논문을 보물찾기한다.
- 논문 주제
김대현쌤께서는 우리가 정말 궁금한걸 찾길 바라십니다. 그래서 쌩뚱맞은 주제 발표하면 그게
왜 궁금했지? 2단계(논문검색)부터 하고 주제 정한거 아닌가? 라고 하십니다.
그러나 어쩔수 없죠 ㅜㅜ 최대한 잘 골라주세요.
- 형식은 1. 2. 3. 4. 로 끝나도록 저희 조 한거 대로 하셔야 하구요.
- 1번 에서는 주제 선정의 이유를 주절주절 적습니다. 여기는 자기가 궁금했다라고 적는 부분이니까
EBM 찾은 후 어느정도 배경지식을 알아 가셔야 합니다. 김대현 교수님이 뭍으심
예를 들어 asthma에 관해 궁금하다고 EBM 조사해 갔다면, asthma의 진단, 치료등
개괄적 지식은 알고 있어야 그 중에 궁금한게 있지 않느냐는 식입니다.
- 3번 result 부분은 통계적 지식이 필요합니다. 최대 난감한 부분이기도 하구요.
- 4번 application 은 단순한 결과 해석 정리가 아닙니다.
예를 들면))) EBM 바탕으로 이런 환자가 왔을때 이런 치료를 하겠다. 말겠다. 확실히 밝히고
그리고 그 치료는 당연히 자세히 용량, 용법...... 을 적어야 하죠
- 김대현 교수님 앞에서 EBM 발표할때는 미리 서로 질문 준비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쌤이 당연히 질문이 있어야하는거다. 모르는거 가만히 있으면 안된다라고 다그치십니다.
우리가 질문 안하면 쌤이 질문 하십니다.
-----------------------------------------------------------------------------------
이 아래부터는 군대 군데 빨간색으로 첨가 해서 적죠.
<EBM이란?>
이거에 대해서 오티를 해주라고 하시는데 저도 잘 모릅니다 ㅎㅎ
아는 범위내에서 설명하자면,
일단 의문점이 생기면 PICO를 설정합니다. PICO에 대해서는 밑에 첨부한 오티자료를 보시고,
이때!!! 자신에 의문점에 아주 딱 들어맞는 PICO를 설정해야 한다는 겁니다. 이중에서도 가장 중요한것은 outcome으로 오티자료에서 outcome부분을 읽어보고 들어가세요. 예를 들어, 걷기와 심혈관계 위험과의 관계가 궁금한데 outcome이 mortality of CVD인지 morbidity of CVD인지 정확히 표시해야합니다. 그냥 두리뭉실하게 risk of CVD이래 표현하다간 김대현 쌤이 발라주십니다. ㅋㅋ
어째뜬 말로 설명하기 힘드니 저희조 발표용 자료를 보시던지 앞조에 발표용 자료를 보고 연구하세요.
어째뜬 이렇게 PICO를 설정하고, 논문을 검색해서 보셔야합니다.
논문은 원래 cochrane에서 검색을 해서 봤는데, 요새 안되는거 아시죠?
그래서 pubmed를 이용해야하는데,
검색하기 전에 반드시 limit에 들어가서 systematic review와 meta-analysis를 클릭하시고 검색하세요. EBM이 자기가 궁금한점을 실험해서 알아보는게 아니라, 여러 정보를 종합하여 결론을 내리고, 그에 따라 나는 치료를 어떻게하겠다라고 하는것이기 때문이라네요..헐헐 절대 단순한 논문은 안됨
그래서 자기가 찾고자하는 주제에대한 논문을 검색하고 PICO, result는 초록 빼끼고, 대충 논문한번 읽어보면 교수님 질문에 대응할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김대현 선생님이 저널의 impact도 상당히 중시하시기 때문에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이나 lancet, jama 등등 믿을만한 저널을 찾아가시면 좋아합니다.
jama에 괜찮은 논문들이 쫌 있는거 같던데 jama는 논문 볼려면 sign in하라고 그럽니다.
아뒤는 kmmed고 비번은 dongsan입니다.
jama자료 대부분 앞조에서 해서 찾기 어려우니 BMJ도 괘안코 그냥 American journal들 괘안을 듯 합니다..
- PICO란 것도 저널들 초록에 보면 이런 내용들이 다 나와있습니다. 그러나 그런것을 그냥 적기를 원하시는게 아니라 본인이 궁금했던 것을 바탕으로 저널을 찾아낸다는 것이 원칙이다 라고 강조하셨고 그러므로 만약 본인이 생각했던 PICO랑 저널의 PICO랑 다르면 다른점을 언급하시면 되겠습니다.
잘못된 예 : patients - FAP 환자 150명
<-- 내가 생각하는 단계에서는 이렇게 환자몇명 이런식으로 나올수가 없죠. 이건 저널의
연구집단을 그대로 쓴 결과입니다. 옮게 고친다면 'FAP환자'가 정답이겠죠??
다른 (P)ICO도 마찬가지 입니다.
교수님: 김대현교수님, 서영성 교수님
레지던트 샘 : 안성우 (의국장쌤) 등등
<<미리 준비할 것>>
1) EBM OT 한글파일(pk실습 자료집 이라는 파일 ,걍 OT 정리 텍스트만봐도 됨 ) - EBM의 기본적인 내용 숙지할것
- PICO 문자적 의미가 무엇인지, EBM 왜 하는지, 단계 즉 1.의문점 추출, 2.논문 검색, 3.논문 내용해석정리 4.적용 등의 순서와 내용 이해하고 갈 것. 월요일 아침 물어보십니다. - 우린 안물었음 숙지 안해도 되었습니다. ^^
2) EBM할때 진짜 궁금해서 했는지 아님 대충 논문 검색하다 괜찮겠다 싶어서 고르고 난 다음에 question을 만들었는지 등...굉장히 꼼꼼히 살펴보십니다. 몇명을 대상으로 실험한 건지(표본수가 많아야됨 30명정도면 싫어하심), 대조군과 차이가 있다면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 등등을 물어봅니다.
그러므로! 발표할때 자신이 말하는 거에 대한 거는 대충 이해를 하고 있어야 합니다.
**하나 팁이 있다면 올해 엑셀과는 겹치지 않아야 됩니다! 하지만 2006년꺼는 참조하면 괜찮겠죠?ㅎㅎ 영 참신한것 생각이 안나시면 참조하는것도 괜찮을듯 ㅋㅋ
이라고 오티되고 있지만, 의국장쌤께서 이 전에 했던건 왠만하면 하지말라고, 그리고 2006에 했는지 2007에 했는지 정확히 기억 못하실테니, 2006에 발표한거라도 동일주제로 처리, 다시 해야할 수 도 있습니다.
<<일정 및 참고사항>>
* 월요일 *
1) 오전 9시/ 가정의학과 의국실/ 의국장쌤의 가정의학과 OT 받습니다.
-병원2층 인턴숙소로 가는 통로 하시죠 거기 통로 지나자 마자 왼쪽으로 틀면 바로 입니다.
화이트 보드에 조장 폰번호 적어두시고 포스트 잍에 조원들 전화번호 적어서 화이트 보드에 붙여 두세요 목욜날 가게 되는 일차의료원 파견에 대해서 누가누가 어디어디 가는지 말씀해 주십니다
오티 잘 받았냐고 물어보시니까 센스! 발휘해 주시고요~^^
2) 오전 9시 30분/ 김대현쌤 외래
- 병원 6층 외래. 피부과 외래 옆.
- 미리 들어가셔서 앉아 있기 ^^ (이 부분에서 담주는 3학년이 없으니 외래에 4명 자리가 충분한 불상사가 발생 그러므로 바로 외래 참관하다가 거기서 EBM 발표할지 or 이번주와 동일하게 금연방에서 기다리다가 쌤이 중간중간에 오셔서 EBM 발표할지는 모르겠습니다. )
(예전 3조 때까징 내용)
- 월요일 일정은 3학년과 4학년 공통입니다. 외래는 너무 좁으니 그 맞은편방 금연 클리닉
에서 할 것입니다. 일단 교수님 만나뵈면 어떻게 하라고 하실거 같네용. 교수님 외래 보시다 중간중
간 들어오셔셔 EBM을 발표시킵니다. 발표 후 조원들에게 궁금한거 없냐고 물으시는데...
각자 질문들을 좀 생각해 만 너무 신경써서 할 필요는 없습가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12시 안으로 외래는 끝이 납니다.
3) 오후 3시/건강증진센터(버거킹 앞에)/ 또 EBM 하나 발표하러 가는 겁니다.
- 시간은 오전 외래때 김대현 교수님이 정해주십니다. 오전 외래 좀 일찍 마치고 빈 시간에 오후까징EBM 하나 더 찾아오라고 하셨습니다. (월요일에는 일단 저희가 1개 찾아가는 걸로 알고 계시는듯) 보통 3시반까지 오라시고 이부분에서 오후를 대비해서 미리 EBM 을 주말에 2개 (오전,오후 용 ㅋㅋ)찾아두면 좋겠죠 ^^
- 병원 식당옆에 건강 검진 센터라는 건물쪽으로 올라가시면 됩니다.(소장실에 계신다고 함...)
or 간대입구에서 나오자 마자 건물안에 유리로 안이 훤히 보이는 계단 하나 보셨죠 (설명어려움)
그리로 내려가서 문 열면 바로 건강검진센터 나옴 편함
- 들어갈때 입구에 있는 신장에서 스레빠 갈아신고 들어가세요.
화요일 부터는 모닝 컨퍼런스가 있으니 오전 7시까지 가셔야 합니다. 절대 늦지 마세요!!!
* 화요일 *
1) 7시 / 의과대학 PBL 1번방/모닝 컨퍼런스
- 논문집을 들고 가야합니다 . 3학년도 2부 있으니 총 4부. 2명이서 한부씩 봐도 될겁니다. 또한 던트쌤
들이 한글로 번역한 프린트도 나눠 주십니다. 탁자에는 당연히 던트쌤 이상 , PK는 벽면에 붙어 준비된 의자에 ^^
2) 오전 9시 30분 / 서영성 교수님 외래 참관
-제2진료실에는 앉아있을 의자가 없으니까 금연 클리닉실에 있는 작은 의자 4개를 미리 들고 들어갑니다.
- 간단한거 질문하시면 좋아하십니다.
편하게 외래 참관하시고, 질문을 주고 받는...시간을 가지시면 되겠슴다. 굉장히 편하게 대해주십니다.
* 수요일 *
중요한 것은 아침을 먹지 않고 오는겁니다.;
수요일 아침에 채혈을 해야 하기에.
1) 오전 7시 / 모닝 컨퍼런스/ PBL 1번방
모닝 컨퍼런스가 끝나면 외래에서 채혈하게 될겁니다.
서로서로 피를 10cc정도 뽑아 드리면 됩니다(용도는...가정의학과에서 하는 연구에 쓰인다고 합니다).
뽑고나면 던트쌤과 아침을~주로 버거킹 가는거 같네용...ㅋ 저희 때 쌤이 그냥 알아서 크로아상
2) 오전 9시 30분/ 김대현 교수님 외래
김대현교수님께서는 시간이 날때마다 EBM발표를 시키십니다(EBM 매니아...) 역시 금연방에 있게 될지 아니면 외래에 들어가서 EBM을 발표하게 될지 모르겠네요.
저희는 3학년과 공통시간이라 금연방에서 월요일과 같이 전부 대기타면서 기다렸음...
3)오후 1시 30분 /비만클리닉-건강증진센터(버거킹 앞 건물)
1시 반까지 건강증진센터 건물 2층에 가서 실내화 갈아신고 들어가서 앉아있으면 간호사 쌤들이 알아서 해주십니다.
-키 몸무게로 부터...BMI...체성분 분석해서 현재 몸 상태가 어떤지...분석지 가지고 서영성 교수님과 여러 이야기를 나누게 됩니다. 역시 즐거운 한때를 보낼 수...있습니다...결과가 좋다면야 뭐...ㅋㅋ
- 3시에 끝납니다.
쌤께서 딱하나 질문 하십니다.
차근차근 대략 적어드리면 fat이 많으면 여러가지 합병증이 많다. 그런데 서양사람들에 비해서
동양 사람들은 같은 fat이 많은 사람인데도 더 않좋다. 왜 동양사람들이 fat이 많을때 더 안좋을까????
순서대로 설명하면
1. 서양인은 팔다리길고 몸통이 차지하는 부분이 작다. 동양인은 몸통이 많이 차지한다.
2. 팔다리에 있는 fat과 몸통에 있는 fat은 다르다.
3. 몸통에는 이른바 visceral fat & --- fat 이 많고, 팔다리에는 ---fat 이 많다.
4. visceral fat은 분해가 더 잘된다. 이로써 free fatty acid가 많아지고
5. free fatty acid 많아지면 liver로 가서 각종 LDL, TG..... 을 많이 만들어낸다.
6. 그러므로 몸통이 많아 visceral fat이 많은 동양인이 안좋다. ㅋㅋ
--- 부분에는 각각 기억이 안나는 단어가 있습니다. ^^
4) 목요일날 갈 외부실습 병원에 전화해서 간다고 말씀드리고, 가운등을 가져가야되는지 등을 미리
여쭈어본다.
* 목요일 *
1) 오전 7시 / 모닝 컨퍼런스/ PBL 1번방
- 3학년 PK들이 EBM 발표 했던 시간인데, 담주는 어떻게 될지 모르겠네요.
2) 9시반/ 의국실 / 레지던트 선생님과 발표할 저널에 대해서 검사
지금까지 김대현 쌤 앞에서 발표한 EBM 발표한 거랑 다 합해서 3개이상의 EBM 정리한 것을 자기 것만 스테플러 찍어서 의국으로 가지고 가시면 됩니다.
주제 고르기가 쉽지 않습니다. 반드시 meta analysis 된것, 그래도 앞조에서 잘 피하고, 조원 끼리 안겹치게 하시고, 유의한 결과가 있는 것과, 뭔가 유익할 것 같은 주제를 것을 고르셔야 합니다
excel 파일 존재하지만 의국장쌤께서 발표한적이 있다고 하시면 끝입니다. excel에 없는거라고 방심하시면 당황할수 있으니 조심 2006년에 발표된 것이라도 조심할 필요가 있음
그렇지 않다면 오후에 파견 나갔다 와서도 계속 의국장 쌤과 씨름을 해야할수도...;;;
그리고 뭔가 되게 꼼꼼하게 질문하시니까...뭐 대상이 된 환자군은 몇명인지...약을 쓰는 연구였다면 증상의 호전과 같은 결과 뿐 아니라 부작용은 어떤게 있고 얼마나 생기고, 대비책은 있는지... 연구의 디자인은 어떻게 해서 placebo는 어떻게 했고 약제간의 비교는 뭐를 어떻게 비교 했는지 등등등등등등등등... 혹시라도 본인 생각에 괜찮은 주제 같아서 밀고 싶은 거 있으면 그거 하나라도 좀 잘 알고 가셔야 할 듯 합니다. 그래야 우겨서라도 그거 하죠...ㅋㅋ
근데 뜻밖의 논문이 채택될 수도 있으니 다른 것들도 살짝 읽어두세요,,
어렵고 유의하지 않은 결과들이 많은 논문이라면 하라실때 반대해야지
정해지고 나서 황당해집니다.~
초록만 보고 해 뒀다가 실제 내용보면 limitation 크고 그럼 곤란해짐
암튼 이렇게 금욜에 발표할 주제를 하나 받으셨다면...발표 준비 하셔야 겠죠...물론 파견 갔다 와서...^^
3) 2시/ 일차의료기관 실습
원장님 마다 다르겠지만, 간단히 가정의학이나 개원가에 대해서 궁금했던 점을 해소할 수 있는 시간이라 생각하시고 질문 몇가지 생각해 두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우리조는 두팀(2, 2 나눠서 갑니다) 한 두시간 정도 하고 마칩니다.
* 금요일 *
1) 오전 7시 / PBL 1번방/ EBM발표
=== 오전 7시부터 발표를 시작!! 해야 하니까 7시 전에 미리 가서 준비하세요!!!!
준비사항 : 1. EBM정리 한 것 3부(2분 교수님+의국장쌤)
2. 논문 원본은 1부만 출력해 가시면 되겠습니다.
3. 한 USB에 네명 발표자료를 모아서 가지고 가세요
RRR, ARR, NNT정도는 발표본에 들어있으면 파악하고 가시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교수님들 보기 편하시도록 4명것을 한묶음으로 해서 3묶음으로 나눠서 두세요.
이제는 대충 RR이나 odds ratio, hazard ratio 등에 대해선 다 알겠지~라면서 질문 안하십디다. 그래도 혹시 모르니 한번쯤 훑어보고 들어가는 센스!! 참, 제가 발표할때 NNT에 대해 잠시 언급 하니까 아니나 다를까 역시 질문 들어오셨습니다. 요즘은 pk쌤들 잘 모르고 들어오데~ 이런말씀 있으셨는데 미리 공부좀 해가세요~ㅎㅎ (보건통계학 이런 책보면 나옵니다)
그리고 application도 잘 적어야 합니다. 논문에서 도출된 결론을 바탕으로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적으세요. 안그러면 가차없이 질문 들어옵니다. (8줄 이상! 상세히! 궁금해서 찾아본 항목인데 당연히 그것을 임상에 적용하는데에 대해서 할말이 많아야 겠죠..?-_-;;;)
2) 오전 9시 / 의국실
EBM발표 끝나면 학교 피씨실 와서 EBM의 PICO와 이고그램 수치 엑셀입력하고 EBM발표한파일 16개를 한USB에 모아서 출석표(김대현교수님),성적표를 들고 의국실로 ㄱㄱ씽~ 이고그램 출력해서 표시한 용지도 같이 들고가요~이고그램 첨부한 PK실습지 중간에 있습니다
괜히 의국가서 밍기적 대면 쿠사리 먹습니다. 아예 학교 전산실서 모든 것을 마치고 의국 가서는 그냥 파일 복사해서 옮기기만 하고 일찍 나오세요.
엑셀 옮기기? 기억 안나네요-_-;; 보면 알듯ㅋㅋㅋ이전 엑셀있을테니 옮겨놓은후에 이전거는 지우세요
EBM 파일 12개 (4명*3) 옮기기? --폴더 070608(9조) 일케 만들면 되겠네요ㅎ
EBM 한글 파일은 "EBMOO pkXX조 이름" 의 형식인 것 같으니까 미리미리 이름 고치세요.
파일 이름 형식은 제꺼 EMB 파일 참조하세요. 내용은 그다지ㅋㅋ
3) 오전 9시 30분/ 김대현교수님 외래(면담기법)
- 외래가 끝나야 비로소 모든 일정이 종료됩니다. 금요일은 환자와의 면답기법에 대해서 강의해 주십니다
<<과제 및 제출할 내용>>
1) EBM
- 월, 수,목 총 3를 만들어야 합니다.
- 월욜,수욜 김대현 쌤과 만나는 시간마다 하나씩 발표(2개 발표, 1개는 따로 더). 금욜은 젤 잘만든 것 발표.
- 3개는 EBM1 처럼 약식으로 만들구요, 나머지 1개는 EBM발표 처럼 표도 넣고 꼼꼼하게 만듭니다.(첨부파일 참고)
- 엑셀파일 참조해서 앞에 한 것과 안겹치게 해야 합니다.
- abstract 긁고, PICO는 참고해서 직접 쓰면 되구요(간단히 적으세요. 마치 논문 보기전에 이런 것들이 궁금했고 그래서 실험군, 대조군을 직접 설정한 것처럼...-0-). application은 이런 결론을 바탕으로 자기 환자에게 어떻게 적용할지 쓰는 겁니다.
- 정식 발표용은 표...나 그래프 넣으세요. 모조리 넣지는 마시고...초록에 나오는 results에서 언급된 항목 정도만 해도 됩니다. 대신 발표때 말로 하거나 글로 적혀있거나 해야겠죵..?^^
논문수가 생각보다 적어서 궁금한거 찾으려 하다보면 실망하게됩니다.
주제가 겹치는게 하도 많다보니 4주차부터 서로서로 겹치는게 나오는데...
찾다가 힘들면 작년꺼 참고하셔도 상관없을듯 합니다.
교수님이 kmle풀다가 모르겠는거 있으면 그걸 주제로 찾아보라고 하시는데
잘 찾아보면 나오긴 나옵니다.
2) 이고그램테스트
- 한부 뽑아서 제출하고 엑셀에 입력하고.(미리 해가세요)
엑셀은 발표 자료실에 EBM정리 파일과 같이 올려놨음.
아래에 첨부된 파일들이 많습니다. 다 확인하시구요
|
첫댓글 고마워요!! ^^
우리조 1조 각자 마이너 자료실에 EBM 자료 붙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