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제사 지내는 날짜에 대하여
◈ "기제사(忌祭祀)"라는 말은 돌아가신 날인 기일(忌日)에 지내는 제사(祭祀)다.
그러므로 돌아가시기 전날 지내는 것이 아니라 바로 돌아가신 날에 지내야 된다.
1. 축문의 첫줄에 ○○월(삭일일진) ○○일(일진)이라고 날짜를 쓰는데,
이 난에는 돌아가신 날을 적는다. (바로 제사 지내는 날은 돌아가신 날 이다.)
2. 기제사의 축문에 보면 "휘일부림(諱日復臨)"이라는 문구가 있는데
이것은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다"라는 뜻.
그러므로 돌아가신 날에 제사를 올려야 마땅하다.
3. 혹시 사정이 있어 제사에 축문이 없을 경우라도,
제사는 반드시 기일에 지내야 한다.
◈제사 지내는 시간에 대하여
기제사를 지내는 시간은 돌아가신 날의 자시(子時:전날 23시~기일 01시)에 지낸다.
실제로는 돌아가시기 전날 음식을 준비하여,
밤 12시가 지난 다음 첫 닭이 울기전인 돌아가신 날 새벽에 지내게 된다.
1. 제사 지내는 시간에 관하여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설이 있다.
가) 궐명(厥明:날이 밝을 무렵)과 질명(質明:날이 샐 무렵) 사이에 지낸다.
나) 자시(子時;전날23시~기일01시)에 지낸다.
다) 제사는 산 날 들어서, 돌아가신 날 지낸다.
라) 12시가 너머 지내되, 새벽 첫 닭이 울기 전에 지낸다.
( 닭이 울면 신이 떠나가 버린다는 속설 때문이라 함.)
2. 최근의 실제 상황을 보면,
가) 기일 전날 제사를 준비하여, 밤 12시를 기다리지 않고,
초저녁 일찍 혹은 밤늦게(밤12시 이전) 제사를 지내는
경향이 날로 더해 가고 있다.
이는 현대 주거의 여건 및 다음 날의 직장이나 생업의 문제 때문에
일어나는 부득이한 사정이라고 생각한다.
나) 제사 지내는 시간이 점점 이른 저녁으로 가는가 하면,
이젠 아예 제사 지내는 날을 돌아가신 기일 전날에 지내는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다) 위와 같은 사정으로 인하여 제사를 밤 12시가 아닌 초저녁에
지낼 형편이라면, 기일 전날에 지낼 것이 아니라,
차라리 돌아가신 날인 기일의 저녁에 지내는 것이 옳다.
(새로 제정된 가정의례준칙과 동일함.)
◈기타
"우리집안은 대대로 하루 전날 지내 왔으므로,
제사는 돌아가시기 전날 지내는 것이 맞는다."는 말이나,
"돌아가시기 전날인 살아계신 날에 제사를 지내야 조상이 음식을
잡수실 수 있지 돌아가신 날 제사를 올리면 못 잡수신다."는
말이 있는가 하면, "이 바쁜 세상에 잊지 않고 제사를 지내 드리는
것으로도 족하지 않느냐?"라든지 등 무수한 의견들이 많으나,
"남의 제사에 감 놓아라, 배놓아라 하지 말라."는 말처럼,
누가 옳고 그르다고 감히 말할 수 없다.
남이야 무어라 하든, 각자 자기 집안의 조상 대대로의 내력을 따라
제례를 행하면 된다.
◈결론
1. 돌아가신 날이 음력 10월 25일 이라면,
10월 24일 저녁에 제사를 준비하여,
밤 12시가 지난 다음(25일 이른 새벽)에 제사를 올려야 하며 .
2. 사정상 밤 9시에 제사를 올리고자 한다면,
음력 25일 밤 9시에 제사를 올리는 것이 합당하다.
追遠齋(추원재)
추원재라는 이름은 무슨 의미일까?
논어 학이편에 공자의 제자인 증자께서 하신 말씀에
曾子 曰 愼終追遠이면 民德이 歸厚矣리라.
증자 왈 신종추원이면 민덕이 귀후의리라.
뜻은 장례를 신중히 하고 먼 조상을 잘 추모하면
백성들의 덕이 두텁게 돌아오리라 인데 좀 더 쉽게 설명하면
장례를 정성스럽게 하고 조상들의 제사를 잘 지내면
후손들의 덕이 커질 것이다. 라는 의미이다.
그래서 재실의 이름을 추원재(追遠齋) 라고 하는 곳이 많다
돌아가신 조상 정성을 다하여 모시는게
살아있는 자의 도리가 아닐까요.
첫댓글 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스크랩해서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