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표한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0.78%입니다.
더 우울한 설문조사가 나왔습니다.
우리나라 20~30대 미혼여성중 4% 만이 결혼과 출산을 의무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엄마의 육아도 40%만 동의하고있습니다.
물론 노부모부양을 의무적으로 생각하는 응답자들은 거의 없었습니다.
합계출산율을 높일 대책은 없을까요?
More Korean women think marriage, childbirth unneccessary: survey
설문조사: 결혼, 출산을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여성증가
Surveys show Koreans' changing family values deeply rooted in societal trust
사회적 신뢰에 뿌리를 둔 한국인의 변화하는 가족가치 변화중
Lee Jung-youn 이정윤 기자
Published : Feb 26, 2023 - 15:26 Updated : Feb 26, 2023 - 17:30
Korea Herald
More than a half of women said that marriage and childbirth are not an essential part of their lives, a survey showed Sunday, suggesting a growing trend of women defying the expectations of traditional gender roles in Korean society.
일요일 발표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절반 이상이 결혼과 출산이 삶의 필수적인 부분이 아니라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한국사회의 전통적인 성역할에 한 기대를 거부하는 여성들의 증가 추세를 시사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a survey by the Korean Association for Social Welfare Studies, only 4 percent of the female respondents said marriage and childbirth are "mandatory," while 12.9 percent of male respondents answered the same.
한국사회복지학회 조사에 따르면 여성 응답자의 4%만이 결혼과 출산을 '의무적'이라고 답한 반면 남성 응답자는 12.9%에 그쳤다
In the survey conducted on 281 single men and women between the ages of 20 to 34, the ratio of women who participated was 45 percent.
20~34세 미혼남녀 28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에서는 참여한 여성 비율이 45%로 나타났다.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importance of marriage and childbirth appear to be connected to respondents' perception of Korean society.
이 연구는 결혼과 출산의 중요성이 응답자들의 한국 사회에 대한 인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제안했다.
Respondents who spoke highly of their quality of life and society tended to think marriage and childbirth are "important," the study said in its analysis of the survey. This implies that respondents with higher social trust and who believe that the community they live in is capable of providing more opportunities and equality tended view marriage and childbirth as attractive options, according to the association.
삶의 질과 사회를 높게 평가한 응답자들은 결혼과 출산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이 연구는 조사 분석에서 밝혔다. 협회에 의하면 사회적 신뢰가 높고 그들이 살고 있는 지역 사회가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믿는 응답자가 결혼과 출산을 매력적인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A separate study also showed that fewer people, both women and men, think of supporting one’s parents as a mandatory duty.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여성과 남성 모두 부모를 부양하는 것을 의무적인 의무로 생각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on a total of 7,865 households between March and July 2022, about 21 percent of respondents said that children should live with their parents and provide care, down from 52.6 percent 15 years ago.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022년 3∼7월 총 7,865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의하면 응답자의 약 21%가 아이들이 부모와 함께 살고 보살펴야 한다고 답해 15년 전의 52.6%보다 감소했다.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agreed with the statement that "young children should be taken care of by their mothers at home" has also gradually decreased over the past 15 years.
“어린 아이는 집에서 엄마가 돌봐야 한다” 말에 동의하는 비율도 지난 15년간 점차 줄었다.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said mothers should take care of their children was 64.7 percent in the 2007 survey, but decreased to 39.6 percent in 2022.
엄마가 아이를 돌봐야 한다고 답한 비율은 2007년 조사 때 64.7%였으나 2022년에는 39.6%로 줄었다.
Unlike in the past, when families carried the burden of supporting the elderly and children, the report suggested that more people see society and the state as responsible for providing care for these groups.
가족들이 노인과 아이들을 부양해야 하는 부담을 짊어졌던 과거와 달리 이 보고서는 더 많은 사람들이 사회와 국가가 이러한 집단을 돌볼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제안했다.
#가족 #결혼 #출산 #육아 #노인부양 #사회와국가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