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amsung should be wary of Intel-like complacency
안주하려는삼성, 인텔사례를반면교사로삼아야
It is too cosy at the top of the memory-chip market
Apr 13th 2023
There is a good tale about Samsung’s entry into the silicon-chip business, which at the time—1983—was dominated by Japanese and American manufacturers. Lee Byung-chul, the founder of the South Korean chaebol, announced the new strategy in what he grandiloquently called the Tokyo Declaration. He said that though his country lacked raw materials such as oil, it had an educated and diligent workforce that was well equipped to turn its hand to chipmaking. As Geoffrey Cain recounts in his book, “Samsung Rising”, shortly afterwards some Samsung executives were sent on an overnight march across the mountains from Seoul to toughen them up for the challenge. They arrived at Samsung’s first semiconductor factory, built in a record six months, and signed a pledge before breakfast to make the business a success. Then, without sleeping, they put in a 16-hour work day.
1983년 시작된 삼성의 반도체 사업 진출에 관한 일화가 있다. 당시 반도체 산업은 일본과 미국 기업의 독무대였다. 창업자 이병철 회장은 이른바 ‘도쿄선언’을 통해 삼성의 새로운 전략을 발표했다. 이 회장은 한국에는 원유 같은 원자재는 부족하지만 반도체 산업에 뛰어들 준비가 된 교육을 잘 받고 근면한 노동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제프리 케인이 자신의 저서 ‘삼성 라이징(Samsung Rising)’에 기술했듯, 도쿄선언 직후 일부 삼성 임원이 도전에 대한 각오를 다지기 위해 서울에서 출발해 밤새 행군했다. 새벽에 도착한 곳은 단 6개월 만에 완공된 삼성의 첫 반도체 공장. 아침을 먹기도 전에 임원들은 반도체 사업을 성공시키겠다는 서약서에 서명했고, 이후 불철주야 하루 16시간씩 일했다고 한다.
Call it true grit or call it Samsung’s martial-style work ethic. One way or another the company force-marched its way past the competition to dominate the global market for memory chips. For more than 30 years, it has been the world leader in dram, used for memory storage in computers and servers, and for more than 20 in nand flash memory, used in mobile phones. Yet since 2021, memory chips have been at the forefront of a boom-bust cycle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which started with shortages, was followed by a surge in capital spending and has now become the worst slump at least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7-09. Samsung Electronics, which includes the conglomerate’s semiconductor, display and consumer-device units, is feeling the pain. On April 7th, while projecting a meagre first-quarter profit, it said it would cut memory-chip production. This is an attempt to help reduce oversaturation in the market.
‘근성’이라 해도 좋고 불굴의 투지라고 할 수도 있겠다. 삼성은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을 장악하기 위해 경쟁을 물리치며 힘차게 행진했다. 컴퓨터 및 서버 저장장치 D램 분야에서는 30여 년을, 모바일 기기 내장 메모리(낸드 플래시) 분야에서는 20여 년 동안 세계 최고의 자리를 지켜왔다. 그러나 메모리 반도체는 공급 부족 사태로 시작해 자본 지출 급증으로 이어져 지금은 2007-2009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최악의 침체를 맞은 반도체 산업 경기 사이클의 최전선에 위치해 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소비자가전 사업부를 둔 삼성전자도 반도체 업계에 부는 찬바람을 체감하고 있다. 4월 7일에는 1분기 실적 부진을 예상하며, 메모리 반도체 감산 계획을 발표했다. 시장의 과포화 상태를 완화하기 위한 조치로 볼 수 있다.
In the memory-chip business, Samsung’s lead has long been unassailable. Through regular market downturns, it has always been “the last man standing”, says Malcolm Penn of Future Horizons, an industry forecaster. Its size, with revenues last year of $240bn, gives it the economies of scale to ride out price declines for longer than its competitors. Its smartphone business, though not growing as fast as it once did, produces reliable cashflows to help it invest through the troughs of the chip cycle. When others struggled, it gobbled up their market share. That helped whittle down its large competitors from almost a dozen in the 2000s to only two today—sk Hynix of South Korea and Micron of America. Samsung has a cosy lead, with over 40% of global sales.
메모리 반도체 사업에서 삼성의 독주는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일반적인 시장 침체기에도 “최후의 승자”는 늘 삼성이었다는 것이 퓨처호라이즌스(Future Horizons)의 말콤 펜(Malcom Penn) CEO의 설명이다. 작년 매출 2,400억 달러를 기록한 삼성은 규모의 경제를 통해 경쟁사보다 더 오랫동안 가격 하락을 견뎌낸다. 스마트폰 사업은 예전만큼 빠르게 성장하지 않고 있지만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고 있어 반도체 주기의 저점기에 투자가 가능하다. 남의 불행은 나의 행복이라 했던가…경쟁 기업이 어려움에 허우적거릴 때 삼성은 그들의 시장 지분을 흡수했다. 그 결과 2000년대에 12개에 달했던 대형 경쟁사는 현재 SK 하이닉스와 미국 기업 마이크론(Micron) 단 두 곳으로 줄어들었다. 삼성은 전 세계 매출의 40% 이상을 차지하며 여유로운 선두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In the latest cycle, it had long held out against production cuts. Its capitulation came months after beleaguered sk Hynix and Micron said they would curb output. What was curious, however, was the impact. Samsung’s share price, as well as those of the two rivals, surged. The simple explanation for the rally is that whenever the market leader throws in the towel, it is a sign that the bottom of the slump is nigh. Yet there is a subtler one, too. Samsung’s position at the top of the memory triumvirate may be so cushy that it has no desire to grab more business from its rivals. That might bring stability to the market. It would also signal a sense of complacency that would make Lee blanch.
최근 반도체 경기 주기에서 삼성은 반도체 감산은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하지만 궁지에 몰린 SK 하이닉스와 마이크론이 감산을 발표한지 몇 달 만에 삼성도 결국 항복을 선언했다. 여기서 흥미로운 것은 감산 발표의 영향이었다. 삼성전자의 주가는 물론 두 경쟁사의 주가도 나란히 급등했다. 시장 리더의 항복 선언은 침체의 저점이 가까워졌다는, 즉 이제 반등할 일만 남았다는 신호로 풀이된 것이다. 그러나 좀 더 미묘한 이유도 존재한다. 반도체 3강 구도에서 너무나 안정적으로 선두 자리를 유지하고 있기에, 삼성은 경쟁사로부터 사업을 욕심낼 마음이 없는 것이다. 이는 시장에 안정을 가져올 수 있지만, 고 이병철 회장이 무덤에서 펄쩍 뛸 만한 안일함의 신호일 수도 있다.
There was a hint of that complacency in a presentation to investors last November. Han Jin-man, head of memory sales, acknowledged that memory chips are sometimes seen as commodities, their price swinging in response to volatile capital spending. But he insisted that capital expenditure had stabilised over the past decade, the dram trio were investing rationally and the market was now better-balanced. In other words, Samsung seemed content to ride the growth in the overall dram market, which it expects to triple to almost $300bn by 2035, rather than go after its competitors’ market share.
그 안일함의 기운은 지난 11월 임시주총 프레젠테이션에서 엿볼 수 있었다. 한진만 메모리사업부 부사장은 메모리 반도체가 때로는 원자재로 간주되고 있으며 자본 지출 변동에 따라 가격이 요동친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그러나 지난 10년 동안 자본 지출이 안정화되었고 DRAM 반도체 3사는 합리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시장도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강조했다. 경쟁 기업의 시장 점유율을 쫓는 대신 2035년까지 거의 3,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전체 D램 반도체 시장의 성장에 편승하는 것에 만족한다는 의미로 읽힌다.
Un-Lee-like self-satisfaction is on display in other areas, too. Samsung has lost some of its innovative edge in dram and nand manufacturing technologies to sk Hynix and Micron, reckons Pierre Ferragu of New Street Research, an advisory firm. “When you are not fighting for your life any more, you become complacent,” he says. A similar sentiment knocked Intel, America’s chipmaking champion, off its pedestal in the late 2010s, when it began losing ground in leading-edge “logic” chips for processing data to tsmc of Taiwan and to Samsung itself.
창업자 정신에 어긋난 자기만족은 다른 분야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삼성은 메모리 반도체(DRAM & NAND) 제조 기술의 일부 혁신 우위를 SK 하이닉스와 마이크론에 빼앗겼다는 것이 시장조사업체 뉴스트리트리서치(New Street Research)의 애널리스트 피에르 페라구(Pierre Ferragu)의 분석이다. 또한 “더 이상 목숨을 걸고 싸우지 않으면 현실에 안주하게 된다”라고 지적했다. 2010년대 후반 반도체 강자 인텔이 ‘비메모라(로직IC) 반도체’ 분야에서 TSMC와 삼성에게 밀려 1위 자리를 내주게 된 것도 바로 이러한 ‘안일함’ 때문이었다.
Samsung’s stated goal of becoming number one in contract manufacturing of logic processors by 2030 does not look on track, either—likewise for reasons familiar to Intel. Sales of non-memory chips are the most valuable component of the world’s $575bn semiconductor market. They are also the most strategically important, with many governments throwing their weight behind chipmaking to serve national-security interests. Last month South Korea’s government announced plans to build the world’s largest semiconductor cluster in Yongin, near Seoul.
2030년까지 세계 시스템 반도체(파운드리) 1위 기업이 되겠다는 삼성의 목표는 제 궤도에 오르지 못하는 모습이다. 이유는 인텔의 경우와 비슷하다. 비메모리 판매는 5,750억 달러 규모의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많은 정부가 국가 안보 이익을 위해 반도체 제조에 힘을 쏟는 등, 전략적으로도 가장 중요하다. 실례로 지난달 한국 정부는 용인에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Chipping away won’t cut it
This may not be enough to lift Samsung’s share of logic-chip contract manufacturing above 16%, where the firm has been stuck despite being equal to tsmc in manufacturing prowess and maybe ahead in chip architecture. Rivalling tsmc, which controls up to 58% of that lucrative market, may require a more radical change to Samsung’s model of making semiconductors for itself as well as for others. The potential conflicts of interest scare off customers such as Apple, whose smartphones compete with Samsung’s.
이 계획만으로는 삼성의 비메모리 파운드리 점유율을 16% 이상으로 끌어올리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대만의 TSMC와 생산능력 면에서 비슷하고 반도체 설계(architecture) 면에서는 더 앞서 있는데도 삼성의 시장 점유율은 요지부동이다. 파운드리 시장의 최대 58%를 장악하고 있는 TSMC와 경쟁하려면 반도체 생산 모델(자체 소비용 반도체/위탁생산)에 보다 근본적인 변화를 줘야 한다.
Mr Ferragu does not expect Samsung to forsake its leading position in memory as Intel did in logic. It is the first dram-maker to bet heavily on extreme-ultraviolet technology, an advanced manufacturing technique. In logic and memory, it has pledged a combined $230bn in capital spending on new factories over the next 20 years. Still, Samsung would do well to rediscover its inner Lee. Otherwise it risks succumbing to the sense of entitlement that comes with being a national champion. Just look at Intel.
페라구 애널리스트는 인텔이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그랬던 것처럼 삼성이 메모리 반도체 분야 선두 자리를 포기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삼성은 D램 제조사로는 처음으로 반도체 기술의 끝판왕이라 할 수 있는 극자외선 노광기술에 막대한 투자를 했다. 메모리 및 비메모리 분야에서 향후 20년 동안 신규 공장에 총 2,3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성은 이병철 선대 회장의 정신을 되찾을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한국의 ‘대표 기업’이라는 타이틀에 취해서 안주해버리는 위험에 빠질 수 있다. 인텔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반도체 용어 간단 정리
1) 메모리 반도체 (저장)
2) 비메모리 반도체-시스템 반도체(로직 칩)
3) 팹리스(Fabless): 설계 중심
4) 파운드리(Foundry): 수탁 제조
|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