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사도행전 1:12-14
"12 제자들이 감람원이라 하는 산으로부터 예루살렘에 돌아오니 이 산은 예루살렘에서 가까워 안식일에 가기 알맞은 길이라 13 들어가 그들이 유하는 다락방으로 올라가니 베드로, 요한, 야고보, 안드레와 빌립, 도마와 바돌로매, 마태와 및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 셀롯인 시몬, 야고보의 아들 유다가 다 거기 있어 14 여자들과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와 예수의 아우들과 더불어 마음을 같이하여 오로지 기도에 힘쓰더라"
내용분해 : A. 제자들이 감람산으로부터 예루살렘으로 돌아옴(12절)
1. 제자들이 예수님의 승천 장소인 감람원으로부터 예루살렘 시내로 돌아옴(12a절)
2. 이 길은 안식일에 가기 적당한 거리인 대략 1km 정도 되는 거리였음(12b절)
B. 이 땅에 남게 된 제자들이 한 다락방에 모임 (13-14a절)
1. 열한 사도가 당시 머물고 있던 다락방에 올라가 모임 (13절)
2. 열한 사도 외에도 여자들과 예수님의 모친 마리아와
예수님의 친동생들이 모두 함께 모였음 (14a절)
C. 그들이 합심하여 끊임없이 기도에 힘씀(14b절)
오늘도 행복한 주일 아침입니다. 새날을 허락해 주시고, 오늘도 여전히 우리에게 소망을 주시는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성령을 받으라고 말씀하시며, 그 방법은 오직, 끊임없이 기도에 힘쓰는 것이라고 말씀해 주시는 하나님이십니다. 이제 우리 다함께 합심하여 끊임없이 기도에 힘씀으로 말미암아, 성령 충만을 받는 복된 날들을 살아가십시다. 그리고 오늘 이시간, 우리에게 성령을 보내 주시고 끝까지 우리의 길을 인도해 주시는 하나님을 전심으로 찬양하십시다. 하나님 사랑합니다. 하나님 감사합니다. 하나님 사랑합니다. 하나님 감사합니다. 할렐루야~! 아멘, 아멘, 아멘!!!
오늘 아침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말씀은 사도행전 1:12-14절 말씀으로, 성령 강림을 기다리는 제자들의 합심 기도에 대한 말씀입니다. 사도행전 전체의 내용은 1:8의 주님의 선교 지상 명령에 따라 전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도행전은 크게 3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먼저 1부는 1-7장까지로 예루살렘에서의 초대 교회의 설립과 복음의 확장에 관한 내용을 보도합니다. 이어 2부는 8-12장까지로 유대와 사마리아 및 팔레스틴 전역과 수리아 안디옥까지의 복음의 확장에 관한 내용을 보도합니다. 그리고 끝으로 3부는 13-28장까지로 수리아 안디옥으로부터 제국의 수도 로마까지의 복음의 확장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중 1:12-2:47 은 1부 1-7장까지의 일련 기사의 일부로서, 본서의 도입부라고 할 수 있는 1:1-11의 내용 이후 사도행전의 내용이 본격 전개되기 시작하는 부분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내 용은 오순절 성령 강림 (the Coming of the Holy Spirit at Pentecost) 사건을 중심으로 예루살렘 초대 교회가 설립 (設立)되는 장면을 보도하고 있습니다.
내용을 문단별로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우선 1:12-26의 두 문단은 주님의 명령에 따라 성령 강림을 대망하며 합심 기도하는 제자들의 모습을 우선 제시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가룟 유다를 대신할 새 사도 맛디아를 선출하는 과정을 보도하고 있습니다. 가룟 유다의 배신은 제자들의 가슴에 해결되지 않는 혼란과 의문으로 자리잡고 있었을 것입니다. 어째서 주께서 친히 택하신 사도가 자기들의 무리를 떠나, 배반과 죽음의 길로 가게 되었던가? 새로운 신약 공동체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이 문제와 관련한 의문이 해결되어야만 했습니다. 이에 베드로는 시편을 근거로 가룟 유다의 배반이 성경의 예언이 성취된 사건임을 설명하고, 또한 성경의 예언대로 유다를 대신하여 사도의 직분을 대신할 새 사도의 선출을 제안하였고(1:20, 21), 그리하여 맛디아가 새로운 사도로 선출되었습니다.
2:1-4에서는 오순절 성령 강림이라는 역사적 사건이 보도되고 있는데, 제자들이 모여 기도하는 곳에 하늘로부터 급하고 강한 바람 같은 소리가 내려와 온 집에 가득하고, 불의 혀 같은 것이 각 사람 위에 머물렀으며, 모인 무리 전원이 성령의 충만함을 받아 다른 방언 (other tongues)으로 말하게 되었습니다. 이어 2:5-13 에서는 성령의 충만함을 받은 제자들이 다른 방언, 곧 자기 나라 말이 아닌, 세계 각국의 방언으로 하나님의 역사를 선포하는 것에 대한 유대인들의 반응을 보도합니다. 세계 각국에 흩어져 살던 대다수 디아스포라(Diaspora) 유대인들은 갈릴리인들이 자기들의 출신 지역 언어로 말하게 되는 것을 보고 기이히 여기지만, 적대적인 유대인들은 이를 새 술에 취한 것일 뿐이라고 조롱하기도 합니다.
이어 2:14-41 의 두 문단에서는 베드로의 오순절 대설교 및 그에 따른 유대인들의 회개의 역사를 각각 보도하는데, 설교에서 베드로는 먼저 오순절 성령 강림의 의의를 먼저 설명하고, 제자들이 새 방언으로 말하는 것은 술 취한 것이 아니라 구약 요엘의 예언의 성취에 따라 성령의 강림으로 인한 것임을 밝힙니다. 더 나아가 베드로는 다윗의 시편에 기록된 그리스도의 구속 수난과 부활에 대한 예언을 언급한 후, 바로 유대인들이 죽인 예수님이 그 예언을 성취한 그리스도이심을 선포합니다. 예수님이 주와 그리스도이심을 선포한 베드로가 유대인들에게 회개를 촉구하자, 무려 삼천 명이나 회개하고 세례를 받아 제자의 무리에 가입하게 됩니다. 이로써 마침내 새로운 신약 선민 공동체인 교회 (the Church) 가 태동하게 된 것입니다. 마지막 2:42-4 7.에서는 오순절 성령강림 이후 형성된 새로운 신약 선민 공동체인 예루살렘 초대 교회의 아름답고 헌신적인 생활 모습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오순절 성령 강림 사건에 대해서는 그 중요성이 충분히 인식되고 있고 그 역사적 의의에 대한 신학적 설명들도 풍부합니다. 그러나 여기서는 오순절을 직접 체험한 사도 베드로의 직접적 설명에 근거하여, 오순절 성령 강림 사건의 의의를 몇 가지 정리해 보기로 합니다.
첫째, 오순절 성령 강림은 예수님의 수난과 부활 및 승천에 따른 연속적인 구속 사건이라는 것 입니다. 사도 베드로는 오순절 성령의 강림 사건을 부활 승천하신 성자 예수님께서 성령을 성부 하나님으로부터 받아, 제자들에게 부어 주신 사건으로 선포하고 있습니다(2:33). 이는 오순절 성령 강림 사건이 별개의 구속 사건이 아니라, 그리스도께서 수난을 당하시고 부활하사 승천하심으로써 비로소 이루어지게 된 사건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그리스도의 십자가 대속 수난과 부활로 인류의 구속이 성취되었다면, 승천하신 그리스도께서 성령을 부어주심으로써 그 성취된 구속의 효력이 만민에게 확대되고 적용되게 된 것입니다. 즉, ‘수난→부활→승천→성령 강림’은 각각 하나로 떼어서 생각할 수 없는 일련의 연속적 구속 사건인 것입니다.
둘째, 오순절 성령 강림 사건 이후로 성령은 모든 믿는 자에게 차별 없이, 제한 없이 부어지게 되었습니다. 구약 시대와 예수님 시대에도 성령은 계셨으며 사역하셨습니다. 사실 성령은 삼위 일체 하나님 가운데 3위 하나님으로서 성부, 성자 하나님과 더불어 영원히 존재하십니다. 그러나 성령께서는 오순절 사건 이전에는 극히 제한된 소수에게만, 그것도 항구적이 아니라 일시적으로 임재하셨을 뿐입니다. 그러나 이제 요엘의 예언대로(욜 2:28-32) 하나님의 영이 예수님을 주로 믿는 ‘모든 육체’ 에게 부어지게 되었습니다 (2:17). 예언을 하고, 환상을 보고, 꿈을 꾸는 것은 구약 시대에는 일부 선지자들에게만 계시의 수단으로 주어진 것이었지만, 오순절 사건을 기점으로 젊은이, 노인, 남녀 구분 없이 예수님을 주로 믿는 자는 누구든지 성령의 계시와 조명을 받아 구원의 진리를 깨달을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셋째, 오순절 성령 강림 사건 이후로 구원받은 공동체의 개념이 구약 선민 이스라엘에서 신약 교회로 전환되었습니다. 즉 오순절 성령 강림 이후로는 ‘누구든지’ 주의 이름을 부르는 자는 구원을 얻게 되었습니다 (2:21). 회개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으면 죄사함을 얻게 되고 성령을 선물로 받게 됩니다. 이 구원의 은총은 유대인에게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먼 곳의 이방인들, 곧 하나님이 그의 주권으로 부르시는 모든 인간을 대상으로 베풀어지게 된 것입니다 (2:38.39).
실로 그리스도의 구속 사건은 인류에게 엄청난 결과를 야기시켰습니다! 하나님의 신인 성령이 우리와 같이 육체를 가진 인간에게 차별 없이 ‘부어진다 (pour out)’ 는 것은 지금이 엄청난 은혜의 시대라는 것을 역설해 주고 있는 것입니다. 지금은 성취된 구원의 복음이 선포되어야 할 때입니다. 먼데 있는 자에게나 가까이 있는 자에게나 아무 차별이나 제한 없이, 주의 이름을 부르면 구원 얻게 됨을 전파해야 할 때인 것입니다. 주님은 모든 사람의 주가 되사 저를 부르는 모든 사람에게 부요하십니다(롬 10:12). 사도 바울의 외침이 귀에 생생합니다. "보라 지금은 은혜 받을 만한 때요 보라 지금은 구원의 날이로다" (고후 6:2).
그렇다면 오늘 본문을 통해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시고자 하시는 말씀은 무엇일까요?
그건, "우리는 주님을 떠난 유다가 아니라 주님 언약 속에 남아 있는 유다가 되어야 한다"는 말씀입니다. 오늘 본문 13절은 주님의 승천 후, 성령의 권능을 받기 위하여 마가의 다락방에 모여 기도에 힘쓰던 제자들의 명단입니다. 누가는 이미 복음서에서 사도들의 명단을 밝힌 바 있습니다(눅6:13-16). 그런데 여기서 다시한ㅂ전 그 명단을 밝히고 있는 것입니다. 이는 앞으로 기독교 내에서의 그들의 위상을 강조하기 위함일 것입니다. 이들은 주님의 3년간의 공생애와 그의 죽으심과 부활과 승천하심을 목격한 자들이요(4절), 초대 교회의 핵심이 될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런데 주님은 원래 12명의 제자들을 사도들로 택하셨습니다. 그 사도들 중에는 ‘유다’ 라는 이름을 지닌 이들이 두 명이 있었습니다. 하나는 본문에 나오는 야고보의 아들 '유다’ 입니다. ‘다대오’ 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던 사도로 작은 야고보의 형제입니다(마10:11). 그러므로 본문의 '야고보의 아들’이란 사실은 ‘야고보의 형제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다른 유다는 바로 주님을 배신하고 자살한 '가롯 유다’ 입니다.
성도 여러분, ‘유다’라는 이름은 ‘주님의 찬송’ 이라는 아름다운 뜻을 지닌 이름입니다. 그런데 보십시오. 한 유다는 끝까지 사도들 중에 남아 있고, 다른 한 유다는 주님과 영원히 분리되었습니다. 누가가 말하는 다락방은 주님이 성만찬을 제정하신 그 다락방입니다(막14:12-16). 또 부활하신 주님이 첫번째로 제자에게 그 영광의 모습을 보이신 그 다락방입니다 (눅24:33-43 ;요20:19). 또 사도와 제자들이 기도하다가 성령 세례를 받은 그 다락방이요(행 2:1-3), 예루살램 초대 교회의 요람이 된 그 다락방 입니다. 이 다락방에 두 명의 유다가 있어야 할 것인데, 한 명의 유다만 남아 있는 것입니다. 똑같은 이름으로 주님께 사도로 선택받았으나, 한 유다는 주님을 배신하고 영원한 불행의 길로 가 버렸고, 한 유다만 주님의 언약 안에 거하고 있는 것입니다. 참으로 비극이 아닐 수 없습니다.
성도 여러분, 우리 성도들은 하나님께 유다, 즉 하나님의 찬송이라는 별명을 얻은 존재들임을 아시기 바랍니다. 바울 사도는 모든 성도들이 하나님의 찬송이 되기 위해 하나님께 부름받았다고 증언합니다(엡1:12). 그러므로 우리 성도들은 ‘유다’ 라는 별명을 받은 사람들입니다. 하나님을 섬기고 찬송하는 궁극적인 사명을 받은 사람들이요, 영원히 천국에서 하나님을 찬송하는 영생의 언약을 받은 복된 사람들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주님을 떠난 어리석은 가룟 유다가 되어서는 안됩니다. 끝까지 주님의 언약 안에 남아서 그 언약의 성취를 누리는 복된 유다들이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지금도 우리를 유다라 불러주시는 사랑의 하나님이십니다.
함께 기도드리시겠습니다.
<참고 문헌>
"손에 잡히는 구약개론"IVP
"성경개관 구약편" 부흥과개혁사
"ESV스터디바이블" 부흥과개혁사
"위드바이블" 바이블넷
"옥스퍼드 원어 성경대전" 제자원 바이블네트
"구약개론"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구약총론" 생명의말씀사
"두란노How주석시리즈"두란노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