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e 2023 JAMA Network Open
영국 바이오뱅크 데이터에서 간 병력 없는 205057명을
스타틴 복용 56109명(평균61세)과 복용하지 않는 컨트롤 148948명(평균 60세) 두 그룹으로 분류한 후
평균 11.9년간 스타틴과 간질환 관련 사망위험과의 관계를 알아본 전향적 코호트 연구
스타틴을 복용하면
새로운 간질환 위험률 15% 감소함
특히 간세포암 위험률 42%나 낮았고 간관련 사망위험률도 28% 감소
*스타틴은 HMG-CoA 환원효소 작용을 억제하여
암세포 증식 전이 침윤및 혈관신생을 막고 전구세포에서 세포사멸(암세포 죽임)을 촉진하고
암세포의 혈관형성 억제와 면역조절 작용 등
의존적 독립적 메카니즘을 통해 간세포암 위험을 줄인다는 것을 발견함
*스타틴은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해
저분자량 G단백질의 지질화를 억제하는데 이를 통해 간 염증을 줄여줌
*저밀도콜레스테롤LDL(나쁜 콜레스테롤)를 낮춰서 지방증이 있는 간에 보호효과를 낼 수 있지만
좀더 과학적 근거evidence가 필요함
* 혈액을 장에서 간까지 전달하는 문맥(대정맥)에 발생하는 고혈압에 효과적일 수 있음
* 또한 내피의 산화질소 합성 활성을 띠게 하고
산화질소 가용성을 향상시켜 내피 기능 문제를 개선해준다고 함
* 생리적 활성을 띠게 하는 GTP결합 단백질 RhoA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RhoA 키나제의 활성을 줄여 혈관수축을 해소함
* 간세포암 뿐만 아니라 유방암 폐암 위암 대장암 췌장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전립선암도
스타틴 복용으로 사망위험 저하 기대할 수 있음
*스타틴을 표준치료와 함께 병용요법으로 효과를 알아보는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라고 함
* 대표적인 스타틴 고지혈제로는 메바로친정/리포바스정/로콜정/리피토정 등이 있지만
개인적으로 크레스논정 추천함 복용초기 약간의 팔저림 있을 수 있음
*다만 0.01% 빈도로 횡문근융해증(근육이 녹는 증상)이 부작용으로 보고 되었으며
2023년엔 중증근무력증이 추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