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인구가 현재 추세로 줄어든다면 10년 후부터는 부산 경제성장률 감소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예측이 한국은행에서 나왔다. 특히 부산 경제를 떠받치고 있는 40, 50대 중·장년층, 일명 '베이비붐 세대'가 퇴직기를 맞으면 이는 인구 감소와 함께 '더블 악재'로 작용, 민간소비와 주택수요에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분석이다. 부산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는 그동안 여러 차례 문제점으로 지적됐으나 이것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그 시한이 구체적으로 제시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인구 감소와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한국은행 부산본부가 8일 발표한 '부산지역 인구변화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 인구는 지난 1995년 385만2000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2005년 현재 360만5000명으로 줄었다. 2030년 추정치는 323만7000명이다.
통계청의 정의에 따르면 '베이비붐 세대'는 1955~1963년생이다. 2006년 현재 만 43~51세에 해당하는 사람들이다. 부산은 다른 대도시에 비해 이 연령대의 인구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2005년 현재 40대는 17.6%, 50대는 13.3%로 전국 평균보다 0.6~2.6%포인트 높다. 이들이 대거 퇴직하면 그때는 부산이 '일할 사람'도, '돈 쓸 사람'도 없는 도시로 전락한다는 것이 이번 보고서의 요지이다. 한국은행은 그 시기를 2015년 전후로 봤다.
▲민간소비가 제일 먼저 위축·2013년부터는 경제성장률도 감소=부산지역 민간소비는 1997~2004년 8년간 전국 평균(2.5%)의 절반에도 못 미치지만 그나마 연평균 1.1%씩 성장해왔다. 인구 감소에 따른 소비 감소요인을 소비력이 왕성한 40, 50대가 떠받쳐온 덕분이다. 그러나 2011년부터는 인구 감소가 민간소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본격화된다는 게 한국은행의 예측이다. 이 기간 민간소비의 감소폭은 연평균 0.4~0.5%포인트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부산경제에서 민간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전국 평균(50.7%)을 크게 웃도는 68.5% 수준이기 때문에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인한 민간소비 위축은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2013년부터는 경제성장률이 연평균 0.7~1.0%포인트씩 하락할 전망이다.
▲고용공급과 주택수요도 감소=노동공급은 2013년부터 감소세로 돌아서 2015년부터는 빠른 속도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주택수요 역시 주력 주택수요계층인 40~64세 비중이 당분간은 커지면서 2020년까지는 연평균 0.2~0.5%포인트 늘어나다 이 계층의 비중이 정체되는 2021년부터 0.4%포인트씩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은행 부산본부 경제조사팀 이주영 과장은 "경제성장 민간소비 주택수요 고용 등 네 가지 지표를 모두 종합하면 부산은 앞으로 10년이 고비"라며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경제활력을 떨어뜨리고 다시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가는 악순환의 고리가 고착되지 않으려면 산업기반 확충 등 보다 적극적인 인구증가 대책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