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꽃따라 바람따라 백두대간 20마일 ◈
⊙ 산 행 구 간 : 백복령 -석병산-삽당령-석두봉-화란봉-닭목령
⊙ 산 행 거 리 : 32.65 km.(20.28 mile)
⊙ 산 행 일 자 : 2015년 05 월 04 일(월 )
⊙ 산 행 팀 : 단독종주
⊙ 산 행 날 씨 : 봄바람이 상큼한 해파리 냉채 소스같이 살랑살랑 불며,
철쭉과 홀아비꽃대, 얼레지가 반겨준 햇볓 따스한 날...
⊙ 총 산행시간 : 16시간 00분/휴식 포함.
⊙ 산 행 경 비 :
백복령~삽당령~닭목령
구간 산행 경비 | 2015.05.04.월 무박 | |
집-강남터미널/시내버스 | 1 | 1,100 |
서울 강남-동해
심야우등(268.1km) | 1 | 27,200 |
동해- 백복령 택시 | 1 | 35,000 |
닭목재-강릉 507번
시내버스 | 1 | 1,170 |
이소부탄가스
230g(1g=13원)/사용량 46g | 1 | 600 |
환타 오랜지/1.5L | 1 | 1,900 |
게토레이 레몬/1.5L | 1 | 1,900 |
훈제오리 | 500g | - |
밥 | 300g | - |
아삭이 풋고추12ea | 160g | - |
오징어짬뽕 2개*124g | 248g | 1,560 |
환타 오랜지/1.5L | 1500g | 1,900 |
파인애플 | 500g | - |
포도 | 600g | - |
떡 | 740g | - |
합 계 | | 72,330 |
| | |
숙박비 | 0% | - |
식료품 | 11% | 7,860 |
교통비 | 89% | 64,470 |
합 계 | 100% | 72,330 |
⊙ 산 행 준 비 물 :
| | | | 백복령~삽당령~닭목령 구간 산행 장비 | 2015.05.04.월 무박 |
품 명 | 실중량 | 케이스중량 | 총 중량 | 제
조 사/원산지 | 모
델 명 |
버너 바람막이(10단) | 273g | 74g | 347g | Life Sports 상사/국산 | 10단 바람막이 |
숫가락 | 46g | 0g | 46g | | |
젓가락 | 21g | 0g | 21g | | |
락&락 1.5L 통 | 0g | 239g | 239g | | |
알리스틴 과도 | 40g | 7g | 47g | Liveon industrial co.ltd /중공 | 알리스틴 과도 9cm/핑크 |
카메라 삼각대 | 683g | 0g | 638g | aria | aria? |
이소 부탄가스 | 230g | 0g | 230g | 코베아㈜ | KG-0140 |
멘소레담 로션 | 48g | 0g | 48g | 한국멘소레담㈜ | 75ml LB156006 |
라이터 | 13g | 0g | 13g | | |
알카라인 예비건전지
1.5V | 70g | 0g | 70g | 듀라셀차이나엘티티 | |
후라이팬 | 257g | 19g | 276g | 코베아㈜ | Ø19.5mm |
코펠 | 313g | 0g | 313g | 코베아㈜ | Ø17mm |
보온통 | 333g | 51g | 384g | THERMOS | SK3000 |
접사렌즈 | 622g | 0g | 622g | pentax rico | smc pentax F 100 marcro 1:2.8 |
광각 줌 렌즈 | 540g | 0g | 540g | pentax rico | pentax DA17-70 F4 |
카메라 | 832g | 0g | 832g | pentax rico | pentax K-3 |
카메라 밧데리(예비용)1개 | 77g | 0g | 77g | pentax rico | D-L190 7.2V 1860mAh |
핸드폰 | 180g | 78g | 258g | pantech | VEGA 팝업노트 IM-A920S |
카메라 가방 | 767g | 0g | 767g | Lowepro | potho Runner |
지갑 | 162g | 0g | 162g | | |
EPI gas파워
차저(A-6802) | 64g | 0g | 64g | EPIGAS | (A-6802) |
배낭카바 | 129g | 0g | 129g | Halfdome | HALFDOME(L) |
배낭 45L | 1750g | 0g | 1750g | GREGORY/chaina | Z45 |
등산화 (중) | 1984g | 0g | 1984g | Millet | ? |
스틱 | 223g | 0g | 223g | Nepa/italy | Trekking duralumin 7001 light |
스틱 | 261g | 0g | 261g | Leky/italy | Makalu
titanium |
비비비니(black) | 50g | 0g | 50g | H&M/sweden | made in china |
장갑(스마트 터치 ) | 31g | 0g | 31g | ROCK MASTER/국산 | 스마트 터치
울 글러브 80 |
양말 (예비) | 88g | 0g | 88g | | |
SOTO이동식 가스연소기
2800cal/h | 88g | 57g | 145g | SOTO/japan | SOD - K310 |
타올 | 157g | 0g | 157g | | |
반팔 T셔츠 상의 | 170g | 0g | 170g | | |
산악자전거용 팔꿈치 보포대
(좌,우) | 278g | 0g | 278g | | |
산악 자전거용 무릅보호대
(좌,우) | 444g | 0g | 444g | | |
락&락 통 4L | 0g | 317g | 317g | | |
모자 | 72g | 0g | 72g | | |
신송쌈장 | 145g | 0g | 145g | 신송㈜ | 재고80g |
식수2000ml | 2000g | 63g | 2063g | | |
게토레이 레몬/1.5L | 1500g | 68g | 1568g | ㈜롯데칠성음료 | 재고 1병 |
훈제오리 | 1000g | 0g | 1000g | 중공산 | 재고 500g |
밥 | 300g | 0g | 300g | | |
아삭이 풋고추12ea | 260g | 0g | 260g | | 재고 100g |
오징어짬뽕 2개*124g | 248g | 0g | 248g | ㈜농심 | 재고2개 |
환타 오랜지/1.5L | 1500g | 63g | 1563g | 코카콜라 음료㈜ | |
파인애플 | 500g | 0g | 500g | 필리핀 | 재고 250g |
포도 | 600g | 0g | 600g | 칠레 | |
떡 | 740g | 0g | 740g | 국산 | 재고200g |
합 계 | 20089g | 1036g | 21080g | | |
⊙ Camera : Pentax K-3
⊙ Lense : Pentax DA 1:4 17-70 SDM, smc Pentax DA 1:4-5.8 55-300 ED
smc Pentax F100 marcro 2.8
◈자동차 이동 거리:
☞갈 때(03 시간 40 분 소요) :
강남 고속버스터미널 - 2시간 50분-동해고속버스 터미널- 35분- 백복령
◐ 2015.05.03.월 23 시 30분 동부고속 소속의 현대차에서 만든
Universe Xpress NOBLE 우등 버스 3번 좌석 승차
◐ 2015.05.04.월 02 시 20분 동해고속버스 터미널 도착
◐ 02 시 50 분 백두대간 전문 택시 심화진 기사님의 도움으로 백복령 도착
☞올 때 :
닭목령 - 강릉-강릉 동아호텔 찜질방
◐ 19 시 12 분 강릉행 507번 동진버스 소속의 시내버스 승차
◈구간대별 소요시간◈
◐ 03 시 05 분 백복령 출발
◐ 04 시 57 분 생계령(640m)-백복령5.4km
◐ 05 시 43 분 노송지대
◐ 06 시 47 분 - 07시 05분 931m봉
◐ 08 시 08 분 고병이재
◐ 09 시 25 분~45분 석병산(1055m)-이번 구간 최고의 조망처
◐10 시 32 분 ~11시 12분 두리봉(1033m) .
두리레스토랑에서 점심을 즐기다
◐ 12 시 53분 삽당령(680m)
◐ 13 시 36 분 임도차단기
◐ 13 시 52분 승기봉(862m)
◐ 14시 27분 방화선 시작
◐14 시 46분 방화선 끝
◐ 15시 06 분 독바위봉(978.7m)
◐ 15 시 27 분 석두봉 206계단 중 첫번째 계단.
◐ 15 시 34분 ~15시 51분 석두봉(982m)
◐ 17 시 36분 큰용수골 갈림길
◐ 18 시 04 분 닭목령-화란봉 갈림길
◐ 18 시 08 분 화란봉(1069m)
◐ 18 시 15 분 닭목령-석두봉-화란봉 갈림길 복귀
◐ 18 시 24분 전망바위
닭목령이 내려다 보이는 명당조망처이나,우회 등로을 새로 만들어 두어서대간 초짜는 모르고 그냥 통과할 수 있음.
◐ 19 시 05분 닭목령(700m)
19시12분 강릉행 507 버스를 타고 강릉으로 이동.

▲ 백두대간 전도▲

▲ 백두대간 진행 현황▲

▲ 산 행 구 간 지 도▲

▲ 산 행 구 간 고 도 표 - 1▲
백복령-삽당령

▲ 산 행 구 간 고 도 표 - 2▲
삽당령-닭목령
산 행 추 억
▲1. 현대의 고급 버스, 유니버스..
2006년 첫 선을 보인뒤, 부분적인 개편을 거친 차종인데..
일단 크게 두가지의 분류로 나눌수 있다.
"유니버스 스페이스" 와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스페이스는 보급형 차종이라 할 수 있겠고, 익스프레스는 고급형이라 하면 되겠는데...
스페이스에는 "컴포트" "클레식" "엘레강스" "럭셔리" 네가지 트림이 존재한다.
제일 낮은 사양의 "컴포트"의 기본가격만 무려, 109,300,000
컴포트와 클레식, 엘레강스 세가지 트림에서는 380마력의 H엔진이 기본으로 장착되며,
엘레강스의 경우, 직행좌석용이나 광역버스로 쓰이는등의 CNG차량의 경우 340마력의 Q엔진이 장착된다.
스페이스 차종에서, 제일 트림이 높은 "럭셔리"의 경우에는 위에 나온 엔진을 모두 장착할 수 있으며,
425마력의 파워택 엔진을 선택할 수 있다.
익스프레스는 스페이스처럼 트림이 난잡하지가 않다.
"프라임" "노블" 두가지인데, 프라임보다는 노블을 흔히 고속버스등에서 볼수 있다.
CNG 차종을 제외하고는(Q엔진) 이전에 선택할수 있던 H엔진이나 Q엔진(디젤)은 선택할 수 없으며,
파워택 380과 425 두가지 중에서만 선택할 수 있는데...
역시 파워택이 조금 더 우수한만큼, 고급사양에서 선택할수 있다.
특히, 고속버스용으로 쓰이는 우등좌석차량은(28석) 기본가만 1억 6천을 호가한다.
5월 3일 일요일 밤 23시30분 서울 강남 고속버스 터미널에서
동부고속 소속의 Hyundai Universe Noble 버스를 타고 동해로 달린다..
지난주 답습을 하지않을려고 일찌감치 지난 목요일에 버스표 예매를 해두었다.
다행히 일요일밤 터미널 매표소에 카드를
내미니 예매해둔 동해행 차표는 무사히
잘 있었다. 이번에도 2주전과 동일한 좌석번호 3번 으로 예약했다.
.
반드시 안전띠를 착용해야하는 좌석이지만
전망이좋은 최고의 조망처이다.
아마 좌석에 프리미엄이 붙는다면 제일 비싼 자리가 아닐지 ..ㅎ
집에서 버스 출발시간을 착각하는 바람에 1시간이나 일찍 나왔다.
의자에 앉아 대합실에 지나 가는사람
오는사람 구경하니 참 재밋다.
바퀴달린 큰 가방을 한 손으로 도르륵 끌고가는 처자....
자전거를 즐기다가 오는 배불떼기 라이더 아저씨...
현금 자동 지급기에서 돈 찿는 처자...
[원주-강릉-동해-삼척 ~~ 안 가십니까? ]라고 큰소리로 외치며 승객을 모집하는 택시기사 아저씨..
피곤에 지친 듯 의자에 앉아 자부리는 아줌마
떨어질세라 두 손을 꼭 붙잡고 가는 젊은 연인들...
출발하려는 버스를 놓칠세라 뽀족구두를 신고 냅따 뛰는 아가씨...
그렇게 터미널의 밤은 깊어만가고 본좌가
타고갈 동해행버스도 출발시간이 9분앞으로 다가온다.
2015년 05월 03일 일욜밤 23시30분 출발하는 동부고속
강원71아1176 심야우등 31인승 버스에 오른다.
새로 설치된 검표단말기에 승차권을 놓으면
단말기에서(처리되었습니다)라고맨트가 나온다. 이제 검표하던 아저씨의 일자리가
검표단말기에 밀려 없어지는 비운의 직업이 되어 버린다.
그리고 대망의 백복령~삽당령~닭목령까지 장장
31km 에 이르는 대간종주 역사상 최고의
장거리 구간길에 오른다
▲2. 동해터미널에 하차하여 잠결에 비틀거리고
있으니 누군가가 다가와 인사를 건네는데,
출발전 예약해둔 백두대간 동해지역 택배전문 택시기사인 심 화진 기사님이셨다.
택시는 국도7호선을 달려 삼척에서 국도42호선으로 들어선다.
2주전 댓재갈때 이용했던 택시인데
기사님은 나를 알아보지 못했다.
돈벌이에 급급해서인지 백두대간 10년단골도
알아보지 못하는 서글픈 현실이 눈앞에 펼쳐졌다.
어두운 밤에만 택시를 타고 산행을하러 다니다 보니 얼굴을 볼 기회가 없어서 그렇다고 하며 웃으며 위기를 넘겼다.
그러면서 백두대간 운행 일지를 쓰라고조언을 해드린다.
모년 모월 모시에 어디사는 누구를 어디서 어디까지 모셔다드렸다...라는 일지를
쓰보라고 했더니 기사님은 좋은생각이라고 하셨다.
그렇게 꾸불꾸불 국도42호선 백복령가는 길을 택시는 힘든 내색 없이 씩씩하게 잘도 올라간다.
▲3.예상외로 바람이 잠잠한 백복령 고갯마루에는
대낮같이 밝은 가로등이 꾸벅꾸벅 졸고있다.
택시기사님은 본좌가 산행준비를 마치고
출발 할때까지 옆에서 지켜 보고계신다.
그리고 산행준비가 완료되자 비로소 택시에올라 차를돌려 유유히 사라진다.
백복령 정상에서 임계방향으로 조성된 작은 공원에 설치된 사각쉘타
옆으로 연결된 산문으로 들어선다.
▲4. 생계령
갑자기 렌턴불빛이 어두워지기 시작하여,
시력에 이상이생겼나?. 하고 걱정을 했지만,
렌턴이 배낭속에서 혼자 켜져 있어서 방전되기 일보직전 이었다.
예전에는 백복령 정상석 뒤로 산길이 열려있었는데 정치적인 사유가 있는지 대간길이 쉘터 쪽으로 개설되었다.
로프가 등로와 같이 나무와 나무사이로 연결되어 있고 잠시후 라빠즈 삐에르(돌)공장
차량 세정장 입구로 떨어진다.
실낱같이 남아있는 렌턴 빛이 생명을 다하기전에 배낭에서 튼튼한 예비 건전지를 꺼내 교체를 하는데
컴컴한 새벽에 건전지 교체작업도 고난도의 기술력이 필요했다.
만약 엄동설한에 이런 건전지 교체 작업이 있었다면 분명 손가락에 동상이 걸렷을게 뻔했다.
렌턴의 건전지를 교체하니 주변이 대낮처럼 밝아왔다
. 대간길은 라파즈 삐에르(돌)공장 으로 들어가지않고 돌공장진입로를 가로질러 산속으로
들어선다. 아마 돌공장측에서 새로 만들어놓은 대간길이 아닌가 하는 추측을 해본다.
▲5. 생계령에 도착하자날이 밝아지기 시작한다.
▲6. 철쭉은 바람에 흔들리고..
▲7. 바람은 나무들을 흔들어 놓는다.
▲8. 렌턴 불빛에 의지하여 진행을 하는데
어둠속에서도 산 아래 마을의 불빛들이 보인다.
행여 지구의 자전축이 고장이나서 또는
햇님이 몸이 아파 병원 간다고 날이 밝아오지
않고 어둠이 계속된다면 어찌 될까? 하는
부질없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9.
생계령에 이르를 무렵 새벽닭 울음소리가
들리고 날이 희미하게 밝아오는 듯 하지만
그리 깔끔한 새벽하늘은 아니다.
▲10. 노송지대를 지날무렵 동쪽하늘에서 희리끼리한 태양이 올라오지만
잡목숲에 가려 그 마저도 조망하기 어렵다.
▲ 11. 태양빛에 노송은 붉게 빛이 난다..
태양이 조금 더 붉게 떠오른다면....
▲12.
▲13.
▲14.
▲15.
▲16.
▲17.
▲ 18.
▲19. 자병산은
하얀 눈물(채석작업 과정에 골짜기로 흘러내린 파쇄석)을 흘리고 있었다.
이제 주변의 이름없는 무명봉보다 높이가 낮아져 그 흔적 조차 찾기어려운 비운의 산 자병산~~~
이제 백두대간 자병산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있었다. 인간 생활의 필요에 따라 산 하나쯤은
제물로 희생해도 되어야 할까?
그 해답을 풀기에는 본좌의 능력으로는
도저히 어떤 도움도 줄 수가 없었다.
▲20.
▲21.
▲22. 물박달나무에도 어김없이 봄이 찿아왔다..
껍질이너덜너덜 벗겨진 물박달 나무의 표피
▲23.한방에서는 [세신]이라고 부르는 족도리풀
뿌리는 독성이 강하여 먹으면 꽥~~~
하고 사망할 수도 있다고 한다...
▲24.
▲25.
▲26. 피나물
▲27. 홀아비꽃대
▲28. 잎이 알록달록 하다고 [알록제비꽃]
▲29.줄딸기
▲30. 제비꽃
▲31.노랑무늬붓꽃
▲ 32. 도토리의 이파리
▲33. 층층나무의 이파리
▲ 34.아침이슬이...
▲35. 보석처럼.....
▲36. 알알이 맺혔네....
▲37.단풍나무의 새순에도 이슬이 맺히고..
▲ 38.
그만그만한 봉우리를 벌써 몇개째 넘고 오름길이 힘들었지만 유난히 조망이 끝내주는 봉우리에 올랐다.
이름하여 931m봉~~~~
▲39. 뭔지 분석이 안되는 나무의 꽃..
▲40.
▲41.
▲42. 931m봉에 핀 색이 고운 진달래
▲43.삼천리 금수강산이 모두 본좌의 품에 들어오고 가야할 석병산은 아직도 까마득하게
조망된다. 그리고 사라져버린
▲44.
▲45.
▲46. 절벽에 뭔가 있을것 같아 망원으로 당겨서 찍어보니
특이사항 없음..
▲47. 동해바다가 희미하게 조망된다..
▲48.
▲ 49. 맨 뒷줄이 두리봉..
▲50. 조망이 짱 ~~좋았던 931m봉에 실컷 놀다가 길을 떠난다..
▲51. 노랑무늬붓꽃의 사열을 받으며...
▲52.
▲53.
▲54. 훌쩍 키가 커버린 관중
▲55.
▲ 56.현호색
▲ 57. 수 많은 바람꽃이 아직 젊음을 뽐낸고 있다..
▲58. 화려함을 뽐내던 얼레지는 이제 한물 갔다..ㅎㅎ
▲59.그리고 열매를 맺혀놓고....
▲ 60. 홀아비꽃대
▲61. 홀아비꽃대의 꽃말은 [외로운사람] 이란다...
바람난여인 얼레지와 짝을 맞춰주면 ......ㅎㅎ
▲62. 튼튼하게 자라는 박새
▲ 63. [존경,신비한 사랑]이라는 고상한 꽃말을 가진 각시붓꽃
▲64. 언제나 입을 헤벌레~~~~~벌리고 웃음짓고 있는
[순결,존엄]이라는 꽃말을 가진 벌깨덩굴...
▲65.
▲66. 바람난 여인보다 색이 더 진한 벌깨덩굴
▲67. 삼각점 볼떼기에 자리잡은 잡초..
▲68.삼각점에서도 조방되는 비운의 자병산...
그런데 자병산에 돌가리 채석이 끝나면
시멘트는 어디서 구하지?
▲ 69. 삼각점 무명봉에서 조망된 신갈 나무의 새싹
▲70. 삼각점 무명봉에 서식하는 물을 푸르게 하는 물푸레 나무의 새싹
▲71. [귀여움]이라는 꽃말을 지닌 개별꽃
▲72.바람난 여인.
▲73. 피나물 의 꽃말은 [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닙니다 ]라고 한다..
▲74. 품솜대의 꽃말은 [나는 당신을 믿습니다]라는데...
또 다른 이름으로는 지장보살이라 부른다..
▲75. 블랙톤의 선종덩굴(요강나물)
깨끗한 마음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76. 누군가의 손에 독활의 새순은 또~~~~옥 따잇다..
누가 채취해 갔는지 몽땅 싹쓸이 해가버렸다.
찌끄러기 하나쯤은 남겨두고 가는게
예의가 아닌지?...
▲77. [순결]이라는 꽃말을 가진 산벚은 한창 그 화려한 자태를 뽐내고 있다...
▲78. 회오리바람꽃=덧없는 사랑
▲79.
▲80. 고병이재
동해쪽으로 흐릿한 산길 흔적이 있다..
▲81. 보물주머니=산괴불주머니
▲82.
▲83.
▲84. 이건 뭐지?
▲ 85.
▲86. 산장어
▲87. 헬기장
▲88. 석병산가는 길에 산장어(뱀) 를 3마리나
만났다. 무심코 걷다가 밟을뻔 했지만
산장어도 놀라고 나도 놀랐다.
등로에 나타나서 일광욕을 즐기고있던
산장어는 혼비백산 놀라 줄행랑을치고
그 순간을 카메라에 담는데 성공 했다.
▲89.
▲90. 이 구간은 예상외로 많은 야생화 군락이 형성되어
있고 ...
▲ 91.
▲92.
▲93. 석병산 0.6km남겨둔 지점...
▲94. 깨끗한 하늘에 낙서하는 놈이 누구야?
▲95. 산벚
▲96.석병산 갈림길
▲ 97.
▲98. 이번구간의 최고 전망대 석병산에 올랐다.
돌로 만든 세계 최대규모의 높이 1055m
짜리 병풍~~~
그래서 이름도 석병산
▲99. 두리봉쪽...
▲100. 그러니깐.....석병산 기점으로 서쪽....임계방향의 전경인데..
온통 산뿐이다...
▲ 101.
▲102. 이름하여 [일월문] 싱기하다...바위에 빵꾸가 나있다니...
▲103. 동서남북 조망이 짱좋은 석병산 ~~~
바로 아래에 빵꾸난 병풍이있었다.
지름1.5m 크기의 구멍이 커다란 바위산 중앙을 관통하고 있으니 구멍너머의 풍경은
새로운 세상을 구경하는 듯 한 풍경이다.
▲104. 이 산악회는 말만 번지르ㅡ 하고 , 꼭 흔적을 남기고 다니는 것을
수 없이 봤다..
▲105.
▲106.
▲ 107.
▲108.멀리 고루포기산과 안반데기가 조망된다..
▲109. 끝줄에 고적대와 청옥산은 보이는데, 두타산은 쬐끔만 보이네...
▲110. 만덕봉 방향...
▲111. 정상에서니 공중부양 될 것 같은 강풍이
불어오고 정상적으로 서 있기에는
중심잡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석병산정기를 받으며 셀카 생존샷을
카메라에 담는다.
▲112.
▲113.
바람이 더 이상 석병산에 머무는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두리봉으로 향한다.
▲114.각시붓꽃인데 보라가 아닌 하얀색?
▲115.돌로 만든 병풍 [석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