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수란 보리가 무성하다는 말로 옛날에 영화를 자랑하던 도읍에
보리가 무성해 있는 것을 보고 고국의 멸망을 탄식한데서 비롯된 성어이다.
麥秀란 보리가 茂盛하다는 말로 옛날에 榮華를 자랑하던 都邑에
보리가 茂盛해 있는 것을 보고 故國의 滅亡을 歎息한데서 비롯된 成語이다.
출전: <<사기 >> 채미자세가
出典: <<事記 >> 采微子世家
해의: 중국 고대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것이 요순의 정치라면 그 반대인 쇠망기의
상징이 라고도 할 수 있는 것은 걸주의 폭정이다.
그 주왕의 비행에 대해 충간의 지심을 다 한자에 개해 공자가“은에 삼인이 있다.”고 감탄했는데 미자, 기자, 비간의 세 사람이 바로 그 사람들이다.
解義: 中國 古代의 黃金期를 代表하는 것이 堯舜의 政治라면 그 반대인 衰亡期의
象徵이 라고도 할 수 있는 것은 桀紂의 暴政이다.
그 紂王의 非行에 대해 忠諫의 至心을 다 한자에 대해 孔子가“殷에 三仁이 있다.”고 感歎했는데 微子, 箕子, 比干의 세 사람이 바로 그 사람들이다.
미자는 주왕의 숙부뻘로 누차에 걸친 간언에도 끝끝내 들어주지 않자 절망 끝에 국외로
망명했고, 기자 역시 간언이 받아지지 않자 망명해서 거짓 미친체하면서 마침내는 노예로까지 전락했으며, 왕자 비간은 극간한 나머지 육시 처참을 당했다.
후에 주왕조의 세상이되어 미자는 은의 혈통을 보존하는 뜻에서 송의 국왕으로 봉해졌고,
기자도 주무왕의 자문에 응해서 정치의 요체를 말하고 후에 조선왕에 봉해졌다.
가자는 주왕의 도읍으로 가던 도중 은의 옛 성 근처를 지나게 되었다.
微子는 紂王의 叔父뻘로 누차에 걸친 間言에도 끝끝내 들어주지 않자 絶望 끝에 國外로
亡命했고, 箕子 역시 間言이 받아지지 않자 亡命해서 거짓 미친체하면서 마침내는 奴隸로까지 轉落했으며, 王子 比干은 極諫한 나머지 戮屍 悽慘을 당했다.
후에 周王朝의 世上이되어 微子는 殷의 血統을 保存하는 뜻에서 宋의 國王으로 奉해졌고,
箕子도 周武王의 諮問에 응해서 政治의 要諦를 말하고 後에 조선王에 奉해졌다.
箕子는 周王의 都邑으로 가던 도중 殷의 옛 城 近處를 지나게 되었다.
전에는 번영을 자랑했던 자리이건만 이제는 폐허가 되어 황폐해진 궁전터에 보리와 벼가 무성해 있는 것을 보고 금석지감에 젖어 <맥수지시>를 지어 읊었다.
前에는 繁榮을 자랑했던 자리이건만 이제는 廢墟가 되어 荒幣해진 宮殿攄에 보리와 벼가 茂盛해 있는 것을 보고 今昔之感에 젖어 <麥穗之詩>를 지어 읊었다.
옛 궁궐터에는 보리만이 무성하고 (麥秀漸漸兮)
벼와 기장들도 잎이 기름지도다.(禾黍油油兮)
저 교동이(彼狡僮兮)
나의 말을 듣지 않았음이 슬프구나.(不興我好兮)
옛 궁궐터에는 보리만이 무성하고 (맥수점점혜)
벼와 기장들도 잎이 기름지도다.(화서유유혜)
저 교동이(피교동혜)
나의 말을 듣지 않았음이 슬프구나.(부흥아호혜)
여기서 망국지탄을 맥수지탄이라 말하게 되었다.
참고삼아 말하면 <<시경>> 왕풍의 <서리>의 시는 주유왕 난 후의 옛 종묘와 궁궐이 서 있던 자리에서 황폐를 탄식하며 같은 취지로 노래하고 있다.
여기서 亡國之歎을 麥秀之嘆이라 말하게 되었다.
참고삼아 말하면 <<詩經>> 왕풍의 <黍離>의 시는 周幽王 亂 後의 옛 宗廟와 宮闕이 서 있던 자리에서 荒幣를 歎息하며 같은 趣旨로 노래하고 있다.
저 기장이 고개 숙이고(피서이리)
피까지 자라났네(피직지묘)
갈수록 발걸음은 무거워지고(행우미미)
슬픔은 물결처럼 출렁이네(중심요요)
내 마음을 아는 자는 (지아자)
시름에 젖었다고 하겠으나(위아심우)
내 마음속 모르는 자는(부지아자)
무엇을 찾느라고 발걸음이 더디냐 하겠지(위아하구)
아득한 푸른 하늘이여(유유창천)
이는 누구의 탓인고(차하인재)
저 기장이 고개 숙이고(彼黍離離)
피까지 자라났네(彼稷之苗)
갈수록 발걸음은 무거워지고(行遇靡靡)
슬픔은 물결처럼 출렁이네(中心搖搖)
내 마음을 아는 자는 (知我者)
시름에 젖었다고 하겠으나(謂我心憂)
내 마음속 모르는 자는(不知我者)
무엇을 찾느라고 발걸음이 더디냐 하겠지(謂我何求)
아득한 푸른 하늘이여(悠悠蒼天)
이는 누구의 탓인고(此何人哉)
첫댓글 맥수지탄... 이것 보니까 고3때 언어영역 풀면서 선생님이 강조하시던 탄~ 시리즈가 생각나에요...망양지탄, 풍수지탄, 맥수지탄...헷갈려서 고민하던 기억이 새롭습니다...^^
잠시동안 어렸을때가 생각나셨다구요. 나두나두~~~ 그래서 한번 써봤죠. 그리고 생각나지 않는 한자 때문에 에고....힘들었답니다.(유悠유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