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B 만점 받아야 1등급지난 13일 치러진 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가채점 결과 국어 B형의 1등급 예상 구분점수(등급 컷)가 91점으로 분석됐다. 수학 B형의 1등급 컷은 100점으로 1문제만 틀려도 2등급이 될 것으로 보인다.입시업체들은 14일 오전을 기준으로 한 수험생들의 온라인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영역별 예상 등급 커트라인(이하 등급 컷)을 추정해 발표했다.이투스청솔은 이날 오전 11시 현재 가채점한 결과 국어 영역은 A형의 경우 2015학년도 1등급 컷을 97점으로 추정, 지난해 1등급 컷(96점)보다 1점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국어 B형은 상당히 어렵게 출제돼 지난해 1등급 컷(96점)보다 5점 하락한 91점 정도일 것으로 추정됐다. 역대 가장 쉬운 수준이었던 것으로 보이는 영어 영역도 1등급 컷은 98점으로 예상돼 상당히 쉽게 출제됐다는 평가다. 만점자는 3.7%일 것으로 추정되고 2등급 컷은 지난해 1등급 컷과 동일한 93점 수준일 것이라는 분석이다.수학 영역도 지난해보다 상당히 쉽게 출제돼 수학 B형 1등급 컷은 100점(이하원점수 기준)으로 지난해(92점)보다 8점 높아질 것으로 추정됐다. 또 만점자 비율이 4.5%에 달하고 2등급 컷도 96점 수준일 것으로 예상했다. 수학 A형도 1등급 컷이 96점으로 지난해 92점보다 4점 상승하고 만점자도 2.8%에 달할 것이라고 분석했다.탐구 영역은 사회탐구와 과학탐구의 난이도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사회탐구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상당히 쉽게 출제됐다는 평이다.다만 지난해에는 한국사, 세계사, 경제는 만점을 받아야 1등급을 받을 수 있었지만 올해는 경제와 사회문화가 만점을 받아야 1등급이 되고, 특히 경제는 3점짜리 한 문항만 틀려도 3등급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생활과 윤리 1등급 컷은 45점 이상으로 예상됐다.과학탐구 영역은 물리 1(46점), 생명과학 2(45점), 지구과학 2(48점)는 지난해보다 어렵게 출제된 반면 화학 1(45점), 화학 2(47점), 지구과학 1(47점)은 지난해보다 쉽게 출제돼 1등급 컷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황형주기자 victory@kwnews.co.kr
도내大 의예과 커트라인 525.5
입시업체 가채점 결과
서울대 경영대 원점수 394점
이승훈
2015학년도 강원도내 4년제 대학 의예과 정시모집 커트라인이 표준점수를 기준으로 평균 525.5점인 것으로 예측됐다.
16일 입시전문업체에 따르면 전국 수험생들의 가채점 점수를 토대로 전국 대학 커트라인 배치표를 작성한 결과 한림대 의예과 정시모집 나군의 지원가능 점수는 국·영·수·탐의 표준점수를 기준으로 526점, 연세대 원주캠퍼스 의예과(가군)는 525점으로 전망됐다.
국·영·수·탐의 원점수를 기준으로 하는 대학의 경우 강릉원주대 치의예과(다군) 386점, 강원대 수의예과(가군) 355점, 상지대 한의예과(다군) 372(일반)·362(지역인재)점이 합격 가능한 커트라인으로 분석됐다.
관동대 의학과 가군의 지원가능 점수는 수·영·탐 3개 영역 3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수능 우수자 291점, 일반전형 290점이었다.
의학계열 학과를 제외한 도내 인문계열 학과의 합격선도 제시됐다. 춘천교대 초등교육과(나군)는 표준점수를 기준으로 506점, 강원대 영어교육과(가군)의 경우 국·영·수·탐의 원점수 기준 352점이 지원 가능 점수로 예측됐다.
또 강원대 인문계열 상위권 학과인 행정학과(가군)와 경영학과는 각각 344점, 329점대로 나타났다.
수도권 주요대학의 경우 서울대 경영대에 합격하려면 원점수 394점가량을 받아야 할 것으로 추정됐으며 고려대 경영대학의 예상합격선 평균은 391점, 서강대 경영학부는 387점, 성균관대 글로벌경영은 389점, 연세대 경영은 392점, 중앙대 경영학부 381점, 한양대 경영학부는 383점으로 예상됐다.
입시전문업체 관계자들은 “실제 전형에서는 원점수가 아닌 표준점수, 백분위 등의 형태로 반영되고 대학 전형별로 반영 방식이 다양하기 때문에 수험생들은 예상 합격점수를 참고용으로 활용해야 한다”며 “의대의 경우 소수점에서 당락이 좌우될 수 있어 수능 채점결과가 나오면 자신의 표준점수와 백분위, 대학이 제시한 영역별 반영비율과 가중치 등을 잘 따져서 원서를 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승훈 lshoon@kado.net
[미니해설] 표준점수·원점수 수능 표준점수는 수험생의 상대적인 위치나 성취 수준을 나타내는 점수로 수험생 개인의 원점수에서 계열별 전체 응시생의 평균 원점수를 뺀 값을 해당과목의 표준편차로 나눠 점수를 산출하며 선택과목간 난이도 차이에 따른 점수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됐다. 수능 원점수는 각 과목의 만점(100점)을 기준으로 한 합산 점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