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강 55.5T 외각 가공했엇는데요
우선 프라즈마 절단면이라 가공면이 거칠고 경화가 되어있엇습니다
프라즈마로 땋기 때문에 가공여유는 0.5~2미리 정도 였구요
황삭으로 50파이 헬리컬커터로 축방향 절입깊이 57로 0,3 미리 여유 남기고 상향 가공했습니다
중삭으로 30파이 하이스 코발트 6날 라핑엔드밀로 축방향 절입깊이로 57로 0.1~0.05미리 여유 남기고 하이스 절삭조건으로 상향 가공했습니다
정삭으로 25파이 하이스 코발트 4날 평엔드밀로로 축방향 절입깊이로 50,57 로 나누워 정치수로 하이스 절삭조건으로 상향 가공했습니다(공구 길이가 안되서 나눠서)
질문1.
라핑으로 중삭후 라핑 자국이 남았는데 엔드밀 정삭후 헬리컬커터 자국이 남네요;;; 라핑할떄는 안보였던게......
황삭때 상향이라 파먹어서 그런건가요?
아니면 정삭때 하향으로 안해서 그런건가요?
아니면 정삭 여유가 너무 적엇던가요?
0.02 정삭면은 꺠끘햇는데 마모가 심한것같아서요...
질문2. 라핑으로 중삭후 0.05미리 남은것을 정삭할떄 절삭조건 대로 해야했나요? 0.05미리 인데 조건 마춰서 하니깐 너무 느린것같아요......
질문3. 0.05미리를 하이스코발트 25파이트 엔드밀로 하이스조건 맞춰서 돌렸는데 마모가 싶하던데 상향으로 해서그런가요?
0.05 미리 인데? 하이스 코발트코팅 조건으로 안마쳐서 그런가요?
질문4. 25파이 하이스 코발트 엔드밀이 길이가 50이여서 나눠서 가공했는데 단지던데 기계가 c형 15호기라 백래쉬 있기도 하지만 하이스라 길따라가 가서 단 안질수도 있을것같앗엇는데 ㅠㅠ 나눠서 가공하는데 단 안지게 하는법은 없을까요? 초경이 오히려 단안질까요? 아니면 절입량을 반씩 나눠서 했던게 더 안졌을까요?
질문5.
엔드밀에 관련된 이런글을 봤어요..
가공면의 형상 정밀도는 가공면에 수직한 방향의 절삭력 성분이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반경 방향 절삭깊이가 작은 정삭 측벽 가공조건에서는 가공면에 수직한 방향의 절삭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상향가공이 하향가가공에 비해 형상 정밀도가 우수하다.
상향가공에서는 가공조건에 따라 공구변형의 방향이 가공면 쪽으로 향하게 되어 기준면을 오버컷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절삭 조건의 선정에서 이를 유의해야 한다. 하향가공에서는 공구변형의 방향이 항상 가공면 쪽에서 멀어지게 되므로 가공면 형상은 언더컷의 형태가 된다
상향 ,하향의 교차 가공 방법은 금형가공에서의 가공면 형상 정밀도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여기서 헬리컬 커터로 상향으로 해서 오버컷이 일어나서 정삭때 자국이 남았던건가요?
헬리컬 커터 하향 황삭, 라핑 하향 중삭, 엔드밀 상향 정삭 으로 했엇으면 이런일이 없었을까요?
첫댓글 우선 , 질문자 님의 질문이 너무 길어요 ㅋㅋㅋㅋ
요점은, 원소재의 사이즈일때 . 외곽 치수 맞추는 것과,
상,하향 가공일때 . 적정한 공구 선택이 안되었던것 같은대요 ....
답을 어떻게 드려야 할지 .. 간단히 질문 다시 해보시죠 ㅋㅋㅋㅋ
황,중,정삭 관계없이 포켓 가공을 제외한 일반적인 가공은 하향절삭이 정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