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아름다운 人生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왕소나무님글★ 스크랩 천수경 재해석
명석 추천 0 조회 121 15.02.15 14:47 댓글 2
게시글 본문내용

천수경 정법계 진언의 재해석

천수경(千手經)은 불교 경전의 하나로 천수관음(千手觀音)의 유래와 발원, 공덕 따위를 말한 경문을 말한다. 흔히 천수다라니경(千手陀羅尼經)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원래 이름은 천수천안관자재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대다라니경(千手千眼觀自在菩薩廣大圓滿無崖大悲心大陀羅尼經)인데 이는 "한량 없는 손과 눈을 가지신 관세음보살이 넓고 크고 걸림 없는 대자비심을 간직한 큰 다라니(만트라)에 관해 설법한 말씀"을 뜻한다.

천수경 중에서 정법계진언淨法界眞言에 나자색선백 羅字色鮮白 공점이엄지 空點以嚴之이라는 구절에 대하여 해석이 구구하여 의문을 가지다가 봉정암 사리탑에서 기도 하던 중에 문득 ‘이것이다’하는 깨달음이 있어 금강경 사상의 재해석에 이어 나의 견해를 피력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쓰이고 있는 해석은 대체로 5가지 이며 다음과 같다.

라자색선백 공점이엄지(羅字色鮮白 空點以嚴之)해석
1. 비단같이 선명하고 깨끗하게 빈 것을 갖추어 장엄하고
2. 곱고 고운 빛으로 진언 편 것이 공점으로 갖추어진 장엄 같을 세
3. 나의 글자는 색이 곱고 흰데 공의 점으로써 장엄하니
4. 라자선백에서의 라는 실담 문자라고도 하는 범서 가운데 라자라는 글자로,
우리 글자 가운데 ㅋ처럼 쓰되 우측으로 내리 삐침이 있는 글자
5. ‘라’자에 고운 백의 선으로‘람’자의 점으로 장엄하니. 등 으로 해석하나 나는 이러한 해석에 동의하지 않는다.

나의 해석은 이렇다.

라자색선백 羅字色鮮白 주문의 글자는 순결하고 선명하며
공점이엄지 空點以嚴之 공중의 깃발 조각은 장엄하다
*點 : 작은 조각.
풍표만점정추인 風飄萬點正愁人 바람에 날리는 만 조각 꽃잎에 정녕 시름에 잠긴다.(杜甫)


티벳의 히말라야 등정을 하는 산악인은 생명을 담보 받지 못하는 절박한 심정일 것이다. 그렇기에 어느 한 사람 빠짐없이 반드시 초입에서 간단한 제수음식을 차려 놓고 산신제를 지낸다.
그곳에는 빠짐없이 만국기처럼 바람에 날리는 깃발이 바람에 나부끼는 것을 본다. 이것이 바로 주문의 글자는 순결하고 선명하(라자색선백 羅字色鮮白)하며, 공중의 깃발 조각은 장엄한 것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이 깃발을 룽가(LUNGDA)또는 풍마라고 한다. 희말리아는 산이 등정을 허락하여야 성공한다고, 산악인들은 이구동성으로 말한다. 그러니 ‘룽가가 쳐진 신성한 제단에서 기도를 드리오니 산신이여 등정에 성공 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하는 산신제를 지내는 것이다. 그러면 룽가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한다.

룽가는 티벳이나 네팔 라다크의 고산지대에서 주로 볼 수 있으며, 보통 불경의 하나인 '다라니'가 티벳어로 적혀 있는데, 바람에 깃발이 펄럭이면서 부처님의 말씀이 널리 퍼진다고 믿는다. 룽다(LUNGDA)는 바람(풍風)과 말(마馬)을 상징한다고도 하며, 오색 천에 주문이나 말의 그림이 그려져 있다. 룽다의 다섯 가지 색깔은 지地, 수水, 화火, 풍風, 공空의 5대를 상징하며 청~하늘, 백색~구름, 홍색~불, 녹색~물, 황색~땅을 의미한다. 룽다가 아무리 많더라도 걸려 있는 순서는 오른 쪽부터 규칙적으로 하늘~구름~불~물~땅의 순서로 걸려있다.


룽다는 인도, 부탄, 네팔, 티베트 문화권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난다.우리 민속에서도 성황당의 오방색 깃발이 룽다와 여러모로 비슷한데, 티베트의 문화가 원나라 때 고려로 전파된 것이라는 설이 있다. 고려가 몽골의 영향권에 있었고, 고려 26대 충선왕이 신하들과 함께 티베트(당시 중국 명칭으로는 토번)에서 1년 7개월간 유배 생활을 했으니, 룽다를 포함한 상당한 티베트 문화가 유입됐을 것이다.

룽다의 설치의미
1.신성불가침 구역임을 표시하여 잡귀의 근접을 막는 역할
2.그 터에 있는 잡귀와 나쁜 기운을 몰아내는 역할
3.화려한 색이 죽은 자의 영혼을 하늘나라로 인도하는 역할
*영혼은 룽다를 흔드는 바람을 타고 하늘나라로 올라간다고 믿음
4.도량을 청정이 하여 천신의 강림의 터를 만드는 역할
(천수경의 도량청정무하예 삼보천룡강차지)
5.야단법석을 알리는 장소를 알리는 역할
6.다중이 모이는 행사의 안전을 기원하는 역할

룽다가 우리나라에 미친 영향
1.성황당 2.금구줄 3. 운동회의 만국기(행사장을 알리고, 안전을 기원하며, 룽다 대신에 만국기를 사용한 것으로 판단 됨) 4. 각종 개업식

아무튼 불교가 우리나라에 들어 온지가 1643년이 되었고, 어느 행사든지 빠짐이 없이 가장 많이 독송하는 천수경을 아직까지 완전한 해석이 없어, 각기 자신의 견해로 해석한다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어찌 하였건 이것을 계기로 불교계에서는 확실한 교과서적 공통해석을 정립하는 계기가 되시기를 간절히 기원한다.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15.02.15 14:48

    첫댓글 득로 형님 보시라고 지고왔습니다. 의견이 있으시면 토를 달아 주시지요.

  • 15.02.20 08:19

    불경하면 어려운 한자가 많아 쉽게 접근하기가 어렵습니다.
    쉬운 말로 천수경 핵심을 풀어 주시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