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핑에서의 실수
그라운드 상황이 좋지 못한 경우를 제외하면 심리적 부담이 클 때 뒤땅성의 실수가 많아진다.
자신 있게 스윙을 하지 않거나 특히 임팩트 직전에 머뭇거리면 바로 뒤땅성 샷의 원인이 된다.
토핑 샷이 심리적 부담감이 커서 스윙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는 동안 나타나는 실수의 유형이라면 뒤땅성 샷은 자신 있게 스윙이 진행되지 않는 경우에 나타나는 실수의 유형이다.
볼과 너무 가까이에서 스탠스를 하는 경우
클럽을 잡은 양손과 몸의 간격은 주먹 하나 정도가 가장 이상적이다.
이 공간이 너무 좁으면 클럽 솔 부분 특히 힐 사이드가 임팩트 직전에 먼저 볼에 접근하면서 심한 뒤땅성 샷을 유발한다.
볼과의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그립을 짧게 내려 잡고 어드레스해야 한다.
임팩트 시 오른쪽 어깨가 너무 떨어지는 경우
왼쪽 어깨가 들려 토핑이 나타날 수도 있지만, 이 상황은 이미 클럽이 볼에 맞아 뒤땅이 이루어졌다고 봐야 한다.
임팩트 시 상체를 낮추고 있더라도 양 어깨는 수평 회전을 해야 한다.
이때 스윙 센터를 기준으로 양 어깨가 늘 대칭을 이루며 회전하도록 해야 한다.
스윙이 이루어지는 동안 지나치게 체중을 앞에 두는 경우
흔히 발가락에 체중이 쏠려 있는 경우라고 표현한다.
그만큼 상체를 지나치게 앞에 둔 결과 볼과의 거리가 가까워져서 다운 스윙 시 임팩트가 너무 깊게 되어 뒤땅으로 이어진다.
그러므로 발뒤꿈치에 체중을 실어 상체를 세워야 한다.
지나치면 모자람만 못하고 과하면 약이 되기보다 독이 되는 법이다.
그립을 느슨하게 쥐거나 손목이 휘청거리는 경우
클럽 헤드의 무게감을 지나치게 많이 느끼게 되는 경우이다.
손목이 휘청거릴 정도가 된다면 다운 스윙이 상당히 가파르게 되어 뒤땅성 샷이 되기도 한다.
그립을 세게 쥐어야 하므로, 양손 바닥과 그립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정밀하게 잡는 연습을 해야 한다.
손목이 휘청거리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지면에 수평으로 쓸어 치는 타법을 구사해 보는 것도 좋다.
특히 오른손 바닥의 생명성이 왼손의 엄지손가락을 감싸며 떨어지지 않게 그립을 강하게 쥐는 것이 좋다.
백 스윙 시 손목을 너무 많이 사용하는 경우
벤트그라스와 버뮤다 같은 잔디에서는 가파른 다운 스윙을 하는 것이 좋지만, 한국형 잔디에서는 손목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플레이에 훨씬 유리하다.
라이가 타이트한 양잔디보다는 한국형 잔디에서는 볼이 많이 떠 있기 때문인데. 흔히 말하는 얼리 코킹(early cocking)을 한국형 잔디에서는 자제하는 것이 뒤땅성 샷을 방지할 확률이 높다.
지나치게 손목을 많이 사용하면 클럽 헤드 중앙으로 볼을 맞히고 리딩 에지로 그라운드를 먼저 맞히게 되므로 뒤땅성 샷의 원인이 된다.
임팩트 시 스쿠핑 현상이 생기는 경우
이 경우는 토핑 샷뿐 아니라 뒤땅성 샷의 이유가 되기도 한다.
손목 사용을 절제하는 것이 좋은 쇼트 게임을 만든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이러한 칩 샷은 임팩트 이후 반드시 계속해서 제어력을 만들어주어야 한다.
스윙 템포를 점검하라
뒤땅성 샷은 스윙을 자연스럽게 하지 않고 임팩트 직전 무엇인가 부자연스러움을 느꼈을 때 특히 자주 나타난다.
심리적인 부담감과 자신감이 결여되었을 때 발생하므로, 스윙 템포를 자연스럽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 위치를 점검하라
볼이 지나치게 스탠스 중앙이나 왼발 쪽에 놓인 경우에도 뒤땅성의 임팩트가 생긴다.
체중을 미리 왼쪽에 두어 어느 정도 좋은 터치감을 만들어야 하지만, 칩 샷처럼 볼을 굴리는 경우에는 반드시 볼을 오른쪽 발 안으로 가져가는 것을 습관화해야 한다.
골프에서는 그만큼 볼의 위치를 기억해두는 것이 중요하다.
불규칙한 페어웨이에서는 응용력을 높여 적절한 볼의 위치를 찾는 것이 뒤땅성 실수를 줄이는 방법이다.
클럽을 다양하게 선택하라
샌드 웨지로 뒤땅성 실수를 하면 왠지 모르게 자신감이 상실되어 계속 뒤땅성 실수가 연발된다.
이러한 경우 피칭 웨지나 9번 또는 8번 아이언과 같은 클럽을 다양하게 선택하여 우선은 심리적 안정을 찾아야 한다.
기본자세와 그립의 악력을 점검하라
심리적인 압박감을 가장 빠르게 해소하는 방법 중 하나는 기본자세를 점검하는 것이다.
기본자세를 점검하다보면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찾게 되어 여유가 생기고 자신감도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립은 단단하게 쥐어야 하지만, 전체적인 기본자세는 힘을 빼면서 유연하게 해야 한다.
가장 안 좋은 라이 또는 같은 상황을 찾아 연습하라
뒤땅 샷이나 토핑 샷은 계속 될 것 같은 느낌이 들기 때문에 어려운 샷이다.
페어웨이 주변에서 현재 볼이 놓여 있는 곳보다 더 좋지 못한 장소를 찾아 연습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벗이나 벙커 안의 모래 위에서나 맨땅과 같이 타이트한 라이에서도 연습하여 임팩트 때의 느낌을 감지해야 한다.
때로는 솔잎이나 나뭇잎이 쌓여 있는 곳에서 볼만을 임팩트하여 정확하게 샷을 할수 있도록 연습 환경을 만들어보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긍정적인 생각을 하라
한 번으로 끝나는 다른 실수보다는 토평이나 뒤땅성 실수는 습관화될 수 있기 때문에 샷을 하기 전에 긍정적인 생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라이버 샷이나 아이언 샷은 한 번의 실수로 끝날 수 있지만, 토핑과 뒤땅성 실수는 계속 반복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조심해야 한다.
계속되는 실수를 줄이려면 기술적인 부분을 개선하기보다 긍정적인 생각부터 해야 한다.
/ 한경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