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rruccio Tagliavini, tenor Giuseppe Valdengo, baritone Maria Curtis Verna, soprano Pia Tassinari, mezzo-soprano Maria Erato, soprano Alberto Albertini, baritone Marco Stefanoni, bass Vito Susca, bass Emilio Renzi, tenor RAI Chorus, Turin RAI Symphony Orchestra, Turin Angelo Questa, conductor Ward Marston, archivist and restoration producer 
작곡 : 베르디(Giuseppe Verdi [1813-1901]) 대본 : 스크리베(E. Scribe)원전을 기초로 솜마(A. Somma)가 씀(이탈리아어) 때 : 18세기곳 : 보스턴과 그 부근 초연 : 1859. 2. 17. 로마 아폴로 극장 연주시간 : 약 2시간 등장인물 리카르도(Richardo) : 워빅의 백작인 보스턴 주지사(T) 레나토(Renato) : 식민지 출신의 백인, 리카르도의 비서(Br) 아멜리아(Amelia) : 레나토의 아내(S) 사무엘레(Samuele) : 백작의 적(B) 토마소(Tomaso) : 백작의 적(B) 오스카르(Oscar) : 소년 시종(S) 울리카(Ulrica) : 흑인 점장이 여인(A) 실바노(Silvano) : 뱃사람 (B) 재판관(B) 아멜리아의 심부름꾼(T) 그 밖의 의원, 관리, 뱃사람, 파수병, 무희 등 다수 
배 경 베르디의 중기(중기)를 대표하는 작품 중의 하나로, 1792년 3월 16일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실제로 있었던 구스타브 3세의 암살사건을 다룬 것이다. 그러므로 원래 『구스타브 3세 또는 가면무도회(Gustave Ⅲ ou lebal masque)』라는 제목이었다. 1858년 사육제의 음악 시즌에 나폴리에서 공연하려던 이 작품은 국왕의 암살 사건을 무대 위에서 상연하는 것이므로 당시의 경관에게 금지 당했다. 그러므로 「구스타브 3세」라는 제목을 『가면 무도회』로 바꾸고, 장소도 보스턴으로 하여 상연하게 되었다. 이 오페라는 희곡적인 면보다는 음악적으로 우수하며, 1850년대 후반에 작곡된 여러 작품 중에서 크게 성공한 작품이다. 이 오페라는 1833년 프랑스에서 오겐(Eugene)의 대본을 기초로 좀마(Antonio Somma)가 5막을 3막으로 개작하여 낸 것이다. 구스타프 3세는 스웨덴의 계몽 절대 군주로서 귀족들의 횡포를 종식시키며 평화스러운 국가를 만드는데 힘을 쓴 사람이다. 18세기의 유럽은 계몽시대라고 할 수 있다. 르네상스로 이루어진 부와 종교개혁으로 만들어진 권력은 민중들을 지배하는 절대왕정이라는 한 수단으로의 조건이었고, 철학과 과학의 발전 역시 이러한 정치의 수단으로 변모하여 많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백성들에게 는 더욱 큰짐이 되었다. 그러나 많은 군주들이 개혁의 바람을 타고 제도 개혁과 정책상의 실험을 통하여 백성들의 요구를 들어주며 또 옛 제도를 개혁해 나가면서 그들만의 국가, 그들만의 시대로의 전환을 꾀했다. 프러시아나 러시아는 귀족들의 지위를 향상시키는, 다시 뒤로 가는 정치를 계속하였으나 오스트리아 외에 다른 중부유럽에서는 귀족의 세력을 군주의 권력 아래에 두면서 점진 세력의 변화가 일어났다. 이러한 정부의 최초의 대표적인 군주가 바로 스웨덴은 폴란드 계승전쟁으로 인해 국력은 쇠하여지고 귀족들의 국회로 권력이 이전하여 있었다. 1772년 구스타프 3세가 이를 종식시키는 쿠데타를 일으키며 귀족의 집권을 마무리지었다. 백성들은 귀족의 횡포로부터 벗어나게 해 준 이국왕에게 고마울 수밖에 없었다. 그는 예술을 장려하고 문학과 연극, 그리고 음악들을좋아하여 문화적인 발전을 거듭하였고, 또 헌법을 새롭게 고쳐 계몽원리를 첫째로 하고는 국왕에게 권력이 집중되도록 하였다. 프랑스혁명마저 구스타프의 행동을 계몽절대주의의 완성이라고 인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귀족들에게는 치욕적인 일이었고 그들의 기반을 빼앗긴 것이 되어 이 계몽 왕은 언제나 위험에 빠져 있었다. 실제로 많은 반란과 암살음모도 존재하였으나 1792년 오페라 하우스의 암살사건은 몰락한 귀족인 엔카스트로엠(Ankasrstroem)이 사건에 치밀한 계획을 세운 뒤에 극장에 숨어 있다가 권총으로 사살하였다. 당시에는 계몽군주의 개혁과 발전을 암살이란 도구로 막았다는 것이 매우 크나큰 사건이었지만 비슷한 시기에 벌어진 프랑스에서의 테러가 훨씬 충격적인 사건이 되어서 세계사적으로는 큰 위치를 가지지 못하였던 것이다. 구스타프의 죽음으로 스웨덴의 훌륭한 정치의 실험은 막을 내리게 되었고 다른 여러 나라에서도 행하여 졌던 많은 개혁들이 멈추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개혁의 바람은 계속 진행되었고 근대시대로의 변화를 추구했다. 프랑스에서 1840년 오버(Auber)가 오페라로 만들었고 또 이탈리아에서도 똑같은 내용으로 오페라가 제작되었던 것 외에도 많은 연극과 역사적인 사료가 남아 있다. 가면무도회는 어떻게 보면한편의 멜로드라마라고 할 수 있으나 또 다른 면으로 보면 사회적인 비극이라고 할 수있다. 단순한 사랑의 이야기이기보다는 절대권력에 대항하는 여러 인물들과 또 그에 얽힌 여러 가지 사랑이야기들이 복합되어 만들어내는 한편의 서사시라고 할 수 있다. 
줄거리 보스턴의 주지사 리카르도는 그의 비서관 레나아트의 아내인 아멜리아를 남 몰래 사랑하는데, 점장이의 말대로 맨 처음 악수하는 사람에 의해 살해된다. 즉 자기 아내와밀회하는 것을 본 레나아트는 다음날의 가면 무도회에서 주지사인 리카르도를 찌른다가장 신임하는 비서에게 저격당해 쓰러질 때 리카르도는 레나아트의 아내 아멜리아의결백을 말하고 숨을 거둔다. 
제1막 : 보스턴 총독 리카르도 관저의 넓은 방 막이 열리면 총독 관저의 넓은 방에는 많은 대의원들과 귀족들이 모여 총독 리카르도를찬양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쪽에서는 총독을 음해하고 곧 반란을 일으키려는 무리들인 사무엘과 톰이 음모를 꾸미고 있다. 이때 시동 오스카가 리카르도에게 다음날 있을 가면무도회의 초대자 명단을 가지고 오고, 초대자 명단에서 자신이 사랑하는 여인이자,충신의 아내인 아멜리아의 이름을 발견한 리카르도는 ‘아! 다시 한번 그녀를 만날 수있다면 La rivedra nell'estsi'을 부르며 가슴 설레 한다. 한편 레나토는 사랑 때문에근심하는 리카르도에게 그를 시해하려는 음모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지만 리카르도는 이를 듣지 않고 신과 백성들이 자신의 안위를 지켜 줄 거라 확신 한다. 이에 레나토는'당신의 기쁨을 위해서라면... Alla vita che t'arride'를 부르며 총독에 대한 충성을맹세한다. 이때 대법관이 등장하여 백성을 현혹시키고 있는 어떤 흑인 여자 점장이를 추방하자는 내용의 탄원서를 낸다. 그러나 시동 오스카는 ‘빛나는 별을 보세요.Volta la terra fronte alle stelle'를 부르며 그녀는 아주 뛰어난 점장이임을 변호하고 이에 호기심을 느낀 리카르도는 뱃사람으로 변장을 하고 울리카의 집을 찾기로 한다. 01. Prelude 03:44
02. Act I, Scene 1: Posa in pace (Chorus, Oscar, Riccardo) 02:57
03. Act I, Scene 1: La rivedro nell'estasi (Riccardo, Chorus, Oscar, Renato) 04:19
04. Act I, Scene 1: Alla vita che t'arride (Renato, Oscar, Riccardo, Giudice) 04:02
05. Act I, Scene 1: Volta la terrea (Oscar, Riccardo, Giudice, Renato, Samuel, Tom) 02:21
06. Act I, Scene 1: Ogni cura si doni al diletto (Riccardo, Renato, Oscar, Samuel, Tom, Chorus) 01:53
 점장이가 사는 교외의 암자
그 동안 어부로 변장한 리카르도는 몰래 숨어서 그녀의 신통력을 관찰하고 있다. 이때아멜리아도 울리카를 찾아 와 남모르는 사랑으로 인해 고통 받고 있다며 리카르도에 대한 사랑의 번민을 털어 놓는다. 이에 울리카는 그녀에게 사랑의 병을 고칠 수 있는 마법의 약초가 사형장에 있다고 알려주며 오늘밤 12시에 그녀 혼자서 약초를 가지러 가야 한다고 말한다. 두 사람의 대화를 듣던 리카르도는 아멜리아도 역시 자신에 대한사랑으로 번민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한편 아멜리아가 돌아간 후 어부로 변장한 리카르도의 요청으로 울리카는 그의 수상(手相)을 보게 되는데, 지금부터 맨 처음 악수하는 사람에게 살해될 것이라는 예언을한다. 때마침 총독의 신변에 위협을 느껴 따라나선 레나토가 들어와 악수를 청한다. 레나토와 악수를 한 리카르도는 자기가 가장 신임하는 비서관이자 친구에게 살해 당할리 없다며 울리카의 예언을 무시한다. 07. Act I, Scene 2: Zitti… l'incanto - Re dell'abisso (Chorus, Ulrica, Riccardo) 03:45
08. Act I, Scene 2: E lui, e lui! ne palpiti (Ulrica, Riccardo, Chorus) 01:54
09. Act I, Scene 2: Su fatemi largo (Silvano, Ulrica, Riccardo, Chorus) 02:59
10. Act I, Scene 2: Che v'agita cosi? (Ulrica, Amelia, Riccardo) 02:50
11. Act I, Scene 2: Consentimi, o Signore (Amelia, Ulrica, Riccardo, Voices) 02:09
12. Act I, Scene 2: Su profetssa - Di tu se fedele (Chorus, Oscar, Riccardo) 03:48
13. Act I, Scene 2: Chi voi siate (Ulrica, Riccardo, Oscar, Samuel) 02:13
14. Act I, Scene 2: E scherzo od e follia (Riccardo, Ulrica, Samuel, Tom, Oscar, Chorus, Renato) 05:12
15. Act I, Scene 2: O figlio d'Inghilterra (Chorus, Oscar, Riccardo, Ulrica, Renato, Samuel, Tom) 02:00
제2막 : 보스턴 교외의 적막한 벌판(사형장) 같은 날 밤 자정. 도시의 외곽에 있는 옛 사형장에 나타난 아멜리아는 울리카의 말대로 약초를 캐며 ‘저 들판의 풀을 뜯어 나의 사랑을 잊을 수만 있다면... Ma dall'arido stelo divulsa'를 부르며 고통스러운 사랑을 잊으려 한다. 자신의 사랑의 감정과또한 그것이 이루어질 수 없음을 신에게 간절히 고백하는 순간 아멜리아가 걱정되어 그녀의 뒤를 쫓은 리카르도가 나타나고 재회한 두 사람은 ’나를 피하는 그대라 하여도, 나 그대를 영원히 사랑하리... Teco io sto(* 이태리 오페라 최고의 이중창)'를 부르며 열정적인 사랑의 마음을 노래한다. 이때 멀리서 리카르도의 신변을 걱정한 레나토가 나타난다. 음모자들이 총독을 쫓아와 시해하려함을 듣고 서둘러 리카르도를 피신시키려고 온 것이다. 총독 옆에 있는 여자가 자기의 아내인것도 모른채 레나토는 총독에게 자신의 망토를 입고 암살자들을 피해 가라고 설득한다. 이에 리카르도는 레나토에게 성(城)까지 이 여인을 데려다 주되 베일을 가린채로 말하지도 쳐다보지도 말 것을 그리고 성에 도착해서는 서로 정반대쪽으로 헤어질 것을 명하고 서둘러 피한다. 한편 아멜리아를 호위하고 가던 레나토는 총독을 시해하기 위해 나타난 사무엘과 톰 일행에게 포위된다. 그러나 음모자들은 포위된 일행이 자신들이 찾던 총독이 아니라는것을 알고 분해하면서 베일속의 여자가 누구인지 밝히라고 종용한다. 이에 레나토는 총독의 여자를 지키기 위해 그들을 막으려 최선을 다하지만 이미 사태를 체념한 아멜리아가 스스로 베일을 벗는다. 베일 속의 여인이 자신의 아내임을 확인한 레나토는 배신감에떨며 리카르도를 저주하고 사무엘, 톰과 함께 암살계획에 가담할 것을 결심한다. 16. Act II: Prelude 01:58
17. Act II: Ecco l'orrido campo (Amelia) 01:25
18. Act II: Ma dall'arido stelo (Amelia) 04:42
19. Act II: Teco io sto - Gran Dio (Riccardo, Amelia) 01:24
20. Act II: Non sai tu che se l'anima mia (Riccardo, Amelia) 04:09
21. Act II: Oh, qual soave brivido (Riccardo, Amelia) 03:12
22. Act II: Ahime! S'appressa alcun (Amelia, Riccardo, Renato) 02:40
23. Act II: Odi tu come fremono cupi (Amelia, Renato, Riccardo) 01:43
24. Act II: Seguitemi - Mio Dio (Renato, Amelia, Chorus, Samuel, Tom) 02:22
25. Act II: Ve'se di notte (Samuel, Tom, Chorus, Amelia, Renato) 04:31
제3막: 레나토의 서재 집으로 돌아온 레나토는 아멜리아에게 느낀 배신감으로 그녀에게 죽음을 강요한다. 그러나 아멜리아는 한 순간의 사랑 때문에 남편의 이름을 더럽힌 적은 없다고 말하면서, 죽기 전에 아들을 안아 보게 해달라고 간청하며 ‘내 마지막 소원... Morro, ma prima in grazia'를 부른다. 한편 혼자 남은 레나토는 벽에 걸린 총독의 초상화를 바라보면서 ’너였구나! 내 마음을 더럽힌 자가... Eri tu'를 부르며 자신의끓어오르는 분노를 토로한다.
이때 반란자인 사무엘과 톰이 찾아오고 세 사람은 의기투합하여 리카르도를 죽이는 계획에 동참할 것을 약속한다. 세 사람은 서로 자신이 직접 왕을 죽이겠노라고 주장하다 결국 제비뽑기를 하기로 결정한다. 때마침 가면무도회의 초대장을 가지고 온 오스카의 소식을 전하기 위해 아멜리아가 서재로들어오고, 레나토는 그녀에게 제비를 하나 뽑으라고 한다. 아멜리아가 뽑은 사람은레나토였다. 26. Act III, Scene 1: A tal colpa e nulla il pianto (Renato, Amelia) 02:15
27. Act III, Scene 1: Morro, ma prima in grazia (Amelia, Renato) 05:58
28. Act III, Scene 1: Eri tu che macchiavi quell'anima (Renato) 04:02
29. Act III, Scene 1: Siam soli, udite (Renato, Tom, Samuel) 04:16
30. Act III, Scene 1: E chi vien? Tu? (Renato, Amelia, Samuel, Tom, Oscar) 04:28
31. Act III, Scene 1: Di che fulgor, che musiche (Oscar, Amelia, Renato, Samuel, Tom) 02:26
 리카르도의 방
한편 리카르도는 더 이상 아멜리아에게 상처를 주지 않기 위해 레나토와 아멜리아를본국으로 보내는 문서에 서명을 하려 한다. 문서에 사인을 하려는 순간 리카르도는 마음이 흔들리고 자신의 사랑을 멀리 보내는 안타까움과 슬픔이 의무감과 교차된다.그러나 결국 그는 자신의 희생에 서명을 하고 ‘나 영원히 그대를 잃을지라도... Ma se m'e forza perderti'를 부르며 아멜리아와의 영원한 이별을 애달파 한다. 이때 오스카가 들어와 “어떤 부인이 전해주라고 했다”면서 쪽지를 건네준다. 그것은“암살 음모가 있으니 무도회에 참석하지 말라”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리카르도는 아멜리아를 한번 더 볼 수 있으리라는 기대만을 가질 뿐 앞으로 자신에게 닥칠 위험은 감지하지 못한다. 32. Act III, Scene 2: Forse la soglia attinse (Riccardo) 02:24
33. Act III, Scene 2: Ma se m'e forza pederti (Riccardo, Oscar) 04:00
 가면무도회장
많은 군중들이 가면무도회에서 춤을 추며 즐기고 있을 무렵 레나토를 포함한 반역자들이 나타난다. 총독의 복장을 확인하려는 레나토의 물음에 오스카는 ‘총독의 옷을알고 싶지요? Saper vorreste'를 부르며 거절하나 결국 급한 용무가 있다는 레나토의 말에 넘어가 오스카는 총독의 복장을 알려준다. 한편 가면무도회의 분위기가 한창무르익을 무렵 리카르도와 다시 재회한 아멜리아는 눈물로 호소하며 빨리 도망칠것을애원한다. 그러나 리카르도는 아멜리아에 대한 자신의 사랑을 다시 한번 확인한 후 내일 레나토와 함께 본국으로 돌아가게 될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아멜리아는 이러한 리카르도의 배려에 대해 깊은 감사를 느끼며, 이젠 서로 이별이라는 것을 말하려는 순간 레나토의 차가운 칼이 리카르도를 향한다. 순식간에 가면무도회장은 아수라장으로 변하고, 모두 살인자인 레나토를 죽이려 할 때 죽음을 앞에 둔 리카르도는 자신의희생을 통하여 아멜리아의 결백을 증명한다. 그리고 동시에 레나토의 사면을 말하고 숨을 거둔다. 34. Act III, Scene 3: Fervono amori e danze (Chorus, Samuel, Tom, Renato, Oscar) 01:55
35. Act III, Scene 3: Saper vorreste di che si veste (Oscar, Chorus) 03:14
36. Act III, Scene 3: Ah! Perche qui! Fuggite… (Amelia, Riccardo, Renato, Chorus) 04:42
37. Act III, Scene 3: Ella e pura (Riccardo, Renato, Amelia, Oscar, Tutti) 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