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Inside WKBL
 
 
 
카페 게시글
2013~2014 wkbl Inside WKBL의 미신타파 시리즈 1 : 과연 '무한체력 압박농구'는 위성우식 농구의 전부인가?
Chris Mullin 추천 5 조회 666 14.02.18 02:05 댓글 18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4.02.18 02:40

    첫댓글 이승아 선수는 선수 본인이 인터뷰를 했었어요. 기사도 검색해보면 나올거에요. 무릎이 아파서 주사를 맞았다는 기사가 지난 시즌 중에 있었거든요. 주사맞고 다시 뛰었다고.. 그게 어떤 주사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ㅋ // 신한은행의 조선대 계단 오르기 훈련은 유명해서 알려져있긴하지만, 우리은행의 체력훈련방식이 궁금하긴하네요 ㅋㅋ // 1번에 대해선 그래도 역시 체력농구가 가~장 돋보이고 메인이다보니 충분히 나올수있는 이야기라고 봅니다. 지략과, 선수들의 능력이야 성적이 어느정도 나오는 팀이면 어느팀이든 양념처럼 얘기할수있는 부분같구요. 신한,국민,삼성등과 비교하면 체력적인 면이 돋보이잖아요?ㅋㅋ

  • 14.02.18 02:28

    2번 얘기는 물론 훈련방식이 과학적인가에 대해서 알려진바가 없긴하지만, 훈련강도가 굉~장히 강한것이 선수들 인터뷰를 통해서 이미 공공연히 알려진바가 있습니다. 과학적인가와는 별개로 그 강도가 그정도로 압도적이라면 팬들 입에서 선수들 몸상태에 대한 부정적인 우려가 나오는것도 충분히 일리있어보여요. 강도높은 훈련으로 유명했던 신한은행 선수들이 유독 줄부상에 고생하는 '결과'를 봤으니 말이죠. 물론 신한은행도 사실 조선대 계단 오르기 그거 하나 외의 체력훈련방법에 대해 알려진바가 없잖아요. 우리은행과 매한가지죠. 저는 되려 왜 그런말을 할필요가 없는지에 대한 근거를 더 알고싶어요.

  • 14.02.18 02:39

    @ㄱㄱㅆ 신한은행도 임달식 감독님 부임후 1,2년만에 이런 지경이 된건 아니잖아요. 3,4년 지나고부터 유독 신한은행 출신 선수들이 몸이 많이 안좋은것을 봐서 그런가 경험적으로 우리은행에 그 모습을 투영하는것 같습니다. 사실 나이들고 부상있는거 어쩌면 당연한데, 결정적으로 아직 젊은 최윤아나 특히 김단비의 부상이 임팩트가 커서일지도....

  • 작성자 14.02.18 08:25

    댓글이 엄청나네요 ^^
    1. 인터뷰는 꼭 찾아보겠습니다. 정보 감사하구요
    2. 인식의 차이겠지만, 저는 외려 우뱅 호성적의 원인에서 지략과 능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체력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봤거든요. (말씀하신 세 팀과 비교해서도 말이죠) 대충 생각나는 것은
    아직도 먹히는 트랩디펜스,
    샤데와의 첫경기에서 바로 모범답안 제시,
    (정상은 아니나 여전히 위협적인)하은주 잘 제어중
    등을 들 수 있겠네요.

  • 작성자 14.02.18 08:34

    @Chris Mullin 그렇기에, '전술적 준비와 선수들의 수행능력'이 ''호성적에 뒤따르는 결과론'이 아니라 '호성적의 원인'이라 본 것이고, 이런 요소는 제쳐두고 '강한 체력'만 지나치게 부각되고 있는 것은 좀 아니라는거죠. ^^
    마치 열거하신 세 팀이 우뱅과의 상대전적에서 뒤지는 이유가 '전술과 능력은 쳐지지 않는데 체력때문이다'라고들 생각하는건 아닌지... 라는 느낌, 그런데 각종 스탯순위만 살펴봐도 그건 아니라는걸 알 수 있을텐데.. 라는 생각이 들었던거죠.

  • 작성자 14.02.18 08:41

    @ㄱㄱㅆ 3. 훈련강도가 압도적인걸 제가 모르겠습니까 ^^
    문제는, '압도적이어서 몸상태가 우려된다' 라는 인식자체가 위험하단거죠.
    무식한 주먹구구식 훈련내용이라면 몸망가지는게 당연하겠지만, 과학적 관리와 체계적 프로그램에 따른 훈련이라면 그렇지가 않습니다. 그래서 '걱정하시는 분들이 제대로 훈련내용을 알고들 계신건가, 알면서 비판들 하시는건가' 궁금한 것이었구요

  • 작성자 14.02.18 08:44

    @Chris Mullin 신한은행 선수들의 부상과 임감독의 훈련방식 사이의 인과관계는 정확하게 입증된 것인지... 도 의심스러웠고 (임감독의 훈련방식에 대해서도 계단오르기 말고는 알려진게 없잖아요)
    혹시 오비이락식 끼워맞추기의 산물은 아닌지, 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 14.02.18 09:15

    @Chris Mullin 신한의 체력 훈련에는 조선대 계단뛰기, 조선대 뒷산 오르기 등이 하계 지옥훈련의 주 코스입니다....만...... 다른 훈련 방식도 있겠지만 주요 체력훈련은 저 두가지가 맞구요 물론 평지에서 뛰는 것도 있습니다..

  • 14.02.18 13:25

    그런데 그 조선대계단훈련이라는게 지금도 하는건가요?

  • 14.02.18 02:38

    더불어서, 이경은은 과연 턴경은인가에 대한 글이 너~~~무 궁금하고 읽고 싶네요 ㅋㅋ 내용인즉슨 아니다!라는 근거들이 나올텐데, 개인적으론 그냥 요즘의 이경은의 화려한 개인기 공격이 참 맘에 들고, 지지난시즌이었던가요? 1,2라운드 확실한 공격형 포인트가드의 모습이 아직도 기억에 남아서... 물론 부상당하고 그 시즌 접긴했지만;;; 암튼 너무 어이없는 패스미스와 턴오버가 각인이 되어있어서 궁금합니다. ㅋㅋㅋ 홍아란은 그리고 필요한 득점으로 팬들에게 눈도장 찍고있지만 아직 차세대 포인트가드의 선두주자로 불리지도 않고있는데;;;ㅋㅋ KB의 차세대 포인트가드의 선두주자는 맞긴합니다만 ㅋㅋㅋ

  • 작성자 14.02.18 09:00

    1. 이경은선수 관련해서 스탯과 경기내용을 찾다보니 재미있는 사실들이 많더군요. 후술하기로 하구요 ^^
    2. 홍아란선수 얘기는, 케비가 연승할 때 카페에 주르륵 굴비엮듯 글들이 올라오기에 '과연 그럴까' 싶어 자료찾고 있었는데, 팀이 연패에 빠지자 그런 얘기들이 조용히 사라지더군요. 그래서 굳이 후술할 필요는 없을것 같습니다.
    3. 어쨌든 재미없는 긴 글 끝까지 보시고 성의있는 리플주셔 감사합니다. ^^

  • 14.02.18 09:00

    2. ‘우리은행의 무리한 체력훈련으로 인해 선수들의 몸이 맛이 가고 있으며 내년이 되면 그 결과가 확실하게 드러날 것이다‘ 라는 주장은, 현재로서는 과학적 근거와 실증적 사례가 결여된 미신에 불과할 가능성이 높다.

    이거는 글쓴분이 그렇게 말하는거니 근거를 보여주셔야해요 그게 왜 미신인지 근거를 보여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자 14.02.18 09:29

    글쎄요 본문에서 말씀드렸다시피,
    발제글에 달린 댓글에서 주장되고 있는 내용들이 있었죠. '무리한 훈련으로 폭망' 이라는 내용말이죠.
    제가 저것을 미신일 가능성이 높다... 라고 주장한 이유는, 댓글 내용 어디에서도 주장을 입증할 합리적 근거를 못봐서입니다.
    그러니 '미신에 불과하다'는 제 반박을 깨뜨리려면 저의 근거제시보다는, 원래 주장을 제시하신 분들이 저를 납득시킬 군거를 제시해주시는게 우선 아닐까요?

  • 작성자 14.02.18 09:31

    @Chris Mullin 그래서 제 글의 2번 결론 말미, 괄호안의 문장에서 정확히 이것을 말씀드린 것이구요.
    재미없고 긴 글이었지만, 이왕이면 끝까지 세심하게 읽어주셨으면 좋았을것 같습니다.

  • 작성자 14.02.18 09:35

    @Chris Mullin 이해를 돕기 위한 간단한 예를 들어 드릴께요.

    누군가가 '예쁜 여자가 인간성도 좋아' 라고 주장했어요. 그것에 대해 제가
    '근거없군. 미신이야' 라고 반박했을 때,

    '미신인 이유를 말해봐' 가 먼저일까요, 아님
    '그렇다면 왜 미녀가 인간성도 좋은지 내가 알려주지!' 가 먼저 일까요?

  • 14.02.18 15:03

    좋은 글 잘 봤습니다.

    저도 우리은행 코칭스탭의 전략과 매 경기 전술에 대한 평가가 다소 박한 것이 아쉬웠습니다.
    용병 선발시에 좋은 여건이 아니었고 시즌 전 선수가 계약을 거절하는 다소 황당한 일이 있었음에도
    포지션 밸런스와 팀 여건에 맞게 선수를 뽑아서 활용을 잘 하는 점도 높이 평가할 만 하다고 봅니다.
    지난 시즌에 비해 선수들 대부분이 실력향상을 보여주고 있는 점도 인상적이라고 생각하구요.

    갖고 있는 정보가 부족하고 아는 것도 없어서 위감독님 스타일에 대한 여러 의견들에
    어떤 판단을 내려야 하는지 아직은 잘 모르겠습니다. ^^

  • 14.02.18 15:19

    분위기에 휩쓸려서 한번 사람들의 인식속에 굳어지면 그걸 깨는 게 쉽지 않은데, 이렇게 고정관념에 대해 반박하는 글이 올라오는 것은 그 시도자체가 참 좋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서로 생각하는 게 다를 수도 있고, 글을 읽고서 판단은 각자 하는 것이지만요. 아무튼 그런 의미에서 턴경은에 대한 미신 타파도 꼭 해주셨으면 좋겠네요ㅋㅋ

  • 작성자 14.02.18 16:50

    제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해 주셨군요. ^^ 감사합니다.
    ... 그런데, 턴경은 관련글은 그 후폭풍이 두려워 선뜻 쓰기가 꺼려지는 ㅎㅎ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