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단일팀 정치적 효과 제외하고 반박임.
1. 정부에서 200억 돈주고 개최국 출전권 따왔다.
1-1) 정부가 200억다 댄거 아님. 정부+기업이 지원한 돈 합쳐서 200억임
1-2) 200억 돈을 IIHF에 돈준거 아님. '국내' 아이스 하키에 투자하겠다고 얘기한거임
1-3) 문정부에서 따온거 아님. 출전권 2014년에 따온거임 = 박정부때
1-4) 정몽원 아이스하키협회 회장이 로비해서 딴거라고 부정한 절차로 얻었다고 그러는데
네이버 국어사전의 정의에 의하면
출처 : http://sport-strategy.org/20140919/
저보다 위의 선배들은 (생활비 때문에) 다른 직장을 다녀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직장을 다니면 운동에 분명 피해가 있기 때문에 직장은 포기하고 운동만 하고요. 저보다 어린 동생들은 매일 매일 학교를 가서 수능 공부를 해야 하는데 그런 것 다 포기하고 와서 운동하고 있어요.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257771&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http://news.jtbc.joins.com/html/961/NB11577961.html
4-2) 이미 스위스랑 일본이 반대함
17일 요미우리 신문에 따르면 ‘스마일 재팬’의 다케시 감독은 일본 언론과 인터뷰에서 개인적인 의견임을 전제하면서 “결정되면 따를 수밖에 없지만 정직한 스포츠의 제전에 정치가 얽히는 것은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시기에 선수가 바뀌면 어떨지, 한국 대표팀 감독에 동정심도 생긴다”고 덧붙였다.
현재 분위기는 일본뿐만 아니라 한국과 같은 조에 속한 스위스아이스하키협회도 남북 단일팀에 한해 예외적으로 엔트리를 늘리는 방안은 공정한 경쟁이라는 스포츠 정신에 어긋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출처 : http://hankookilbo.com/v/8d907ab48ef841c89a0041c979545b93
“남북 단일팀은 바흐 위원장과 국제아이스하키협회의 기획에서 나왔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애초 남북한 당국이 정치적 목적으로 단일팀을 구성하고자 한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단일팀 뉴스가 버틀러 기자를 통해 나오자, 다음날 노태강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이 인정한 바 있다.
출처 : http://www.hani.co.kr/arti/sports/sports_general/828075.html
앞서 아이오시는 누리집을 통해 “바흐 위원장이 남북한에 각각 공동 제안한 내용을 논의하기 위해 모임을 소집했다”고 밝혔고, 이 공동 제안은 여자아이스하키 단일팀 구성 논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ports/sports_general/827430.html#csidx3b6e2ad0318e8eb87e80e418336c94f
5-1) 기자의 분석이지 공식 오피셜 아님 공식 오피셜은 우리나라가 북에 먼저 제안함
통일부 “女아이스하키 단일팀 우리가 제안…합동훈련설은 사실 아냐”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1/15/2018011501206.html
5-2) 바흐위원장이 각각 공동제안했다는 기사는 1개 남한과 북한이 공동으로 제안한 내용을 IOC에서 논의한단 기사는 여러개
남북, IOC에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 제안
대한체육회 고위관계자는 12일 “남북이 여자아이스하키 단일팀 구성에 대한 공동 제안을 아이오시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아이오시는 지난 10일 누리집에서 “남북한의 공동 제안을 20일 논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http://www.hani.co.kr/arti/sports/sports_general/827561.html#csidx5ca1d7cd0a5cfdd8a89930c41a467e2
바흐 IOC 위원장은 “남북 정부의 공동 제안을 뜨겁게 환영하고, 이는 다른 많은 정부로부터 박수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23401
5-3) 노태강 장관이 IOC가 먼저 제의했다는 얘기를 인정했다는 기사 없음. 인정한건 '단일팀' 구성 추진임
현실적으로 가능한 단일팀은 여자 아이스하키다. 노태강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은 12일 충북 진천 국가대표 선수촌에서 2018 국가대표 훈련 개시식을 마친 뒤 "평창올림픽에서 아이스하키 단일팀 구성과 공동 입장 등을 북한에 제안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원문보기:
http://www.nocutnews.co.kr/news/4906435#csidx35941f1d43c1f069aa5df548cf79ee3
5-4) IOC가 제안해서 '억지로'했다는 얘기를 하기도 하는데, 2017년 6월에 문재인 대통령이 이미 남북 단일팀 먼저 제안 했었음.
문 대통령, 평창 남북단일팀 제안…“1991년 영광 다시보고 싶다”
http://www.hani.co.kr/arti/politics/bluehouse/800087.html#csidx68a004e7cd011f3afed9d2443a15cd1
5-5) 설상 설령 IOC측에서 먼저 제안했다 하더라도, 올림픽 한달 남은 이 때 굳이굳이 단일팀 만들어야 하는 이유는?
이미 북한에서 스키선수들 공동훈련도 하고 금강산에서 합동 문화행사도 여는데요. (이부분은 의견 갈릴 수 있는거 인정함.)
남북은 올림픽 개막 전 금강산에서 합동 문화행사를 열고 북한 마식령 스키장에서는 남북 스키 선수들이 공동훈련을 하기로 했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politics/defense/828271.html#csidxd9360d3c3595b5daecf96fbcb55a74f
6. 남북단일팀은 2015년부터 논의했던것이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을 평화올림픽으로 성공개최하고, 남북평화통일과 세계평화에 이바지하려면 지속적이고 점진적인 체육교류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특히 '평창동계올림픽=평화통일올림픽'으로 만들기 위한 남북아이스하키 단일팀 구성, 원 코리아(One Korea)와 평화통일올림픽 상징화 작업, 평창동계올림픽의 평화를 지키기 위한 법률 제정, 남북체육회담 개최 등 구체적인 실천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지적됐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ec&sid1=102&oid=001&aid=0008029536
6-1)그 기사에 나와있음. 정부가 논의한게 아니라 심포지엄에서 한 교수가 제시한 의견임.
이 같은 의견은 3일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강릉시협의회가 주최하고 ㈔강원하나포럼이 공동주관해 마련한 '2015 통일 염원 평화올림픽 심포지엄'에서 제시됐다.
6-2) 이전에 논의가 아예 없었던건 아님. 논의되었던건 맞음. 근데 그때 무산됬었음. 감독과 대표팀이 갑자기 소식들은거 맞음.
남북한 여자아이스하키 단일팀 논의는 지난 6월에도 있었다. 머리 감독은 “남북한 단일팀을 진심으로 구성할 생각이었다면 차라리 그때 적극적으로 추진했어야 했다”며 “6월에 단일팀 얘기가 나왔다가 무산된 경험이 있어서 이틀 전에 우리 스태프로부터 단일팀 얘기를 들었을 때 믿지 않았다. 그런데 오늘 이렇게 많은 카메라를 보니 단일팀 논의가 얼마나 진지하게 진행 중인지 알 것 같다”고 말했다.
[출처: 중앙일보] 여자 아이스하키 감독 “올림픽 임박했는데 단일팀 논의 충격적” http://news.joins.com/article/22292577
6-3) 반년전에도 협회는 모르고 정부만 얘기했다함
문체부로부터 아무런 언급을 받지 못한 대한아이스하키연맹측은 "당혹스럽다"는 반응이다. 공식적으로 전해들은 것이 없어 내부 논의조차 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설령 문체부의 지시가 내려온다고 해도 북한아이스하키협회와 민간 교류가 진행된 적이 없어 막막하기만 하다. 지난 4월 세계선수권대회 디비전 2그룹에서 맞대결을 펼친 것이 지금까지의 유일한 접점이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6/22/2017062200396.html
이거 조선일보라고 안믿을까봐 한겨레도 들고옴
북한이 참여하는 평화올림픽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미래가치다. 새 정부가 공을 들이는 것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대한아이스하키협회는 단일팀과 관련해 정부 쪽으로부터 아무런 연락을 받지 못했다고 한다. 올림픽을 치러내야 할 협회나 코칭스태프, 선수들이 소외감을 느낄 수 있는 대목이다. 아이스하키팀 감독이 캐나다 출신 외국인이어서 한국의 정치 논리보다는 팀 분위기를 우선시할 수 있다는 점도 알아야 한다.
http://www.hani.co.kr/arti/sports/sports_general/800349.html#csidx762ff206b84864fa5a88fa41d7fff9d
7. 기레기들이 7월 인터뷰를 들고온다
7-1) 그때도 남북 단일팀 관련 논의가 진행되었던 때고, 따라서 그때 인터뷰 들고올 수도 있는거 아님?
그때 이미 선수들이 반대했었는데
물론 지금 한 인터뷰인 것처럼 얘기하는건 비판하셈
8. 이번 일로 하키 표가 매진되었다
- 여시내에서 기사 뜨기 전에도 표 매진되었다는 얘기 있었음 알아서 판단하셈ㅋㅋㅋ
지금 도는건 '현재시점' 매진되었다는거지 '그 이전에' 이미 매진되었을 가능성은 고려하지 않고 있음
10. 엔트리 확대 실패하면 남북 단일팀 안하는거 아님?
- 이미 남북 공동 보도문 냄. 거기 보면 남북 단일팀 구성한다는 얘기 나와있음.
엔트리 확대 실패서 북한 선수들을 빼겠음 아니면 남한 선수들을 빼겠음?
북한 선수를 빼버리면 북측의 반발이 심할거고, 남한선수를 빼면 국민 반발이 심함.
남과 북은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개회식에 한반도기를 앞세워 공동 입장하며, 여자아이스하키 종목에서 남북단일팀을 구성하기로 하고,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양측 국가올림픽위원회 간 협의를 통해 정한다.
IOC와 양국 올림픽 위원회간 협의롤 통해 정한다는 얘기가 IOC에서 허락 안하면 남북단일팀 구성안한다고 이해하는 사람도 있음.
해석에 따라 의견 갈릴 여지있다 생각함. 어쨌든 20일 결과 나와봐야 아는거
11. 국대 선수들은 호의적인 분위기라더라
이 총리는 “여자 아이스하키는 우리가 세계 랭킹 22위, 북한이 25위로 메달권에 있지 않다"며 "우리 선수들도 (북한 선수 추가에) 큰 피해의식이 있지 않고 오히려 전력 강화의 좋은 기회로 생각하는 분위기가 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출처: 중앙일보] 이낙연, 아이스하키 단일팀 논란에 "메달권도 아니고"
http://news.joins.com/article/22291603
11-1) 메달권에 있지 않다는 말은 메달을 만약에 따면 어떤 국기를 걸 것이냐는 질문에 답한거라고 함.
승리시 국기와 국가가 울린다는데 이때는 어떻게 할지 참 궁금함.
어쨌든 메달권에 있지 않으므로 단일화해도 상관없다는 얘기는 아닌듯. 이게 1월 16일 기사임
11-2) 근데 우리 선수들이 큰 피해의식이 있지 않고 오히려 전력 강화의 좋은 기회로 생각하는 분위기가 있다는데, 1월 16일 감독이 인터뷰했는데 아직 선수들이 관련 소식 모른다고 얘기했음. 우리 선수들이 큰 피해의식이 있지 않다는 얘기는 어디서 나왔는지 궁금함.
그러나 머리 감독은 "이런 것들이 정치적인 상황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분단된 국가가 하나의 단일팀을 구성하는 것은 좋은 일이다"면서도 "우리는 지난 몇 년 동안 북한을 압도적으로 이겼다. 북한에 얼마나 좋은 선수가 있는지 모르겠지만 우리 백업 선수들보다 뛰어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http://www.hg-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71979
11-3) 반년전 선수들 인터뷰 보면 환영하는 선수 없었음. 위에서 내려오는 결정에 따르겠다고 한 선수는 있었음
혹시 긍정적인 인터뷰 한 선수 있으면 알려주삼. 이칸에 넣을게
11-4) 북한의 선수들 중에서 주력으로 뛸만한 선수가 없다고 감독이 직접 인터뷰함.
“수비수 2명, 공격수 1명 등 2∼3명 정도는 우리 대표팀에 도움이 될만한 수준”이라면서도 “우리 1∼3라인에 들어올 만한 수준의 선수는 없다. 우리 백업 선수가 북한 선수보다 뛰어나다”고 잘라말했다
[출처: 중앙일보] 여자 아이스하키 감독 “올림픽 임박했는데 단일팀 논의 충격적”
“이틀 전에 소식을 들어 아직 정확한 내용은 파악하기 힘들고, 단일팀은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첫댓글 아이고 그만 하시죠 이미 단일팀 하기로 ioc에서 결정까지 났는데 이런 논란이 이제 무슨 소용인가요 저도 단일팀에 반대한 입장이지만
그냥 이제는 우리 선수들이 경기를 잘하길 빌어주는게 더 좋을것 같네요
도대체..쓸데없는 애기만..
정치적이유 때문인데
그걸 배제하면 문 애기가 되나..
한반도의 평화 분위기를 위해서인데..
연평도처럼 포탄 떨어지길 원하는것들인지
올림픽 단일화하면 앞으로 북한 도발 절대 없다고 장담할수 있나요?
저러한 정치성 이벤트가 오히려 햇
볕정책의 진정한 의미를 물타기하
는데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햇볕정책 이번에 좌초되면 도대체
무슨 전략이 남아있겠습니까? 막
말로 햇볕정책 추진하는게 리스크
인데..하아 ㅋㅋㅋㅋ
@Revolution 어디에 절대란게 있나요..
절대란게 있음 좋겟네요
다시 남북대화가 진행 되엇고
그 첫일정이 평창인데..
선수들이야 안타깝지만
전 잘한일이라보고
이일을 않좋게 보는 분들이야 있겟지만
김태영이 uae 저지른일과 비교해 여기저기 소란스러워
자한당과 기득권 세력이 이용하는거 갔아 안타깝네요
@7979b 사람은 나중이고 과정은 더럽고 결과가 불의인데요. 남북대화 소스가 평창만 있는게 아닙니다.
와.. 암만 그래도 연평도를 들먹이시는군요..
@데미르 진짜 드러운게 많앗던 그시절 애기보다 이일이 더 카페가 시끄럽네요.
남북대화 소스 다른데 붙이면
기득권세력이 잘한데 해줄까요?
그래도 트집 잡겟죠
@VOCALOID 時代 연평도는 말하면안되는 불가침의 영역인가보네요..ㅎ
@7979b 아뇨 예시야 들 수 있다지만
그중에서도 북한이 저지른 가장 극단적인 도발건을 들고오니
그런겁니다.
7979b님의 의견이 무조건 틀렸다는건 아니에요. 정치적인 이유로 올림픽을 써먹을수야
있죠. 저는 그쪽에 썩 거부감
없습니다.
당장 최근 개봉한 1987 만 보더라도
시민들이 민주항쟁에 나설수 있던것도 올림픽을 앞두고 과격진압은 못할 거라는 정치적
계산도 영향을 미쳤으니까요.
@7979b 랴 할말이 그렇게 없어도 연평도를 와 ㅅ..
역대정부들 정책이 왔다갔다리 해서 남북 단일팀 효과가 미비했다고 말하면 모를까 말할게 따로있지. 그당시 군복무했던 일개 땅개로선 참 듣기 거북하네요.
청소년 단일팀, 탁구팀, 동시입장해서 뭐 좋은거 있었어요? 동시입장도 북쪽 출전선수가 없다시피했으니 그냥 응원단정도만 그쳐도 될 일 만만한게 비인기스포츠라고 지키지도 않을 약속만 남발하는게 까일만하고.. 그거 까면 뭐 다 기득권입니까?
@7979b 님같은 분들이 사태를 확산시킵겁니다. 말이 안통하잖아요. 여기서 연평도 사건과는 1도 관련없는데 뭔 헛소리입니까?
@7979b 이 일 가지고 왈가왈부하는 분들을 자한당 호구취급하지마세요. 여기서 자한당 개새끼들 옹호하는 사람들이 있으면 얼마나 있답니까?
그거와는 별개로 과정이 지랄맞은데다가 그놈의 남북대화 남북대화 하는것도 짜증나서 이러고 있는데요?
진짜 남북대화 창구가 평창밖에 없는것도 아니고.
@7979b 그리고 엠비 관련해서는 모두들 한마음 한뜻으로 엠비=처벌받아야 할 대상인 것으로 여겼기에 그 건에 있어 까페가 시끄럽지 않은거죠. 애입니까?
@7979b 문재인 정권의 여자 아이스하키 남북단일팀 갑질 양아치짓 반대하면 전쟁론자=자한당패거리로 몰아가는 것 자체가 역겨운 편가르기 갈라치기죠.
도대체 단일팀 만들어진다고 정치적 갈등이 해결될거라는 주장에 대하며 증명된 사례도 근거도 전혀없고 반대하는 사람들을 자한당과 한패거리로
취급하면서 강경파 전쟁론자로 몰고가는 건 도대체 뭡니까?
반대하는 사람들은 그렇다쳐도 이번 사안에 대하여 직접적인 피해를 받게 되어 반대하는 선수들도 다 자한당과 한통속이고 북한과의 전쟁불사하자는
극우강경파들이랍니까?
@7979b 제가 불쾌했던 바는 반론이야 응당 꺼낼 수 있지만 자신에게 반박하지
못하도록 극단의 예시로 입막음하는
논리전개입니다.
'김정일 개색히 해봐'처럼 막말은
아니지만 이 말과 논리적 구조가 다른게 뭐에요?
극단적 예시를 가져오면 내 생각에
반박도 못하고 수긍할 수 밖에
없겠지?란 저열한 의도를 본인이
인지하고 쓴건지 어쩌다 나온건지 몰라도
굉장히 좋지않은 초이스라고 밖에
생각이 안되서 그렇습니다.
@VOCALOID 時代 눈팅만 하는 사람인데
이일에 댓글이 좀 지나쳣네요
연평도는 아니지만 북과 맛대고 있는 섬 이 고향인 사람으로서
그때 굉장히 놀랏는데
그래서
이 평화의 제스처가 반갑고
그래서 좀 쓸데없는 애기가 나왓네요
@7979b 네.. 저도 평화를 바라는 사람으로서
이 건에 대해선 의견차는 있지만 7979b님의 바람과 제 바람은
별 차이 없을거고, 어쩌다
꺼내든 예시같으니 더 말 않겠습니다.
암튼 전 어차피 이리 추진되고
다가올 올림픽 잘 끝나기만 바라네요.
어찌됐든 우리가 낸 세금으로 준비하는 국제행사인데 말이죠..
연평도는 말하면안되는 불가침의 영역인가보네요..ㅎ ----> 여기서 지렸음. 도대체 뭔 얘기를 하는건가? 솔직히 남 얘기한거랑 본인이 얘기한거 정확히 뭔 소리인지 인식하고 인지하고 이해나 하는지 궁금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