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시 [議政府市]
경기도 중앙에 위치한 시.
개관
동쪽은 남양주시·포천시, 서쪽은 양주시, 남쪽은 서울특별시, 북쪽은 양주시와 접하고 있다. 동 127°00′∼127°09′, 북위 37°41′∼37°45′에 위치한다. 면적은 81.54㎢이고, 인구는 43만 3937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5개 행정동(13개 법정동)이 있다. 시청은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에 있다.
자연환경
광주산맥의 말단부에 속하고 있어 잔구성 산지가 동쪽과 서쪽에 높이 발달하고 있으며 중앙에는 추가령구조곡이 지나고 있는데 이곳에는 길고 좁은 곡저평야가 발달하고 있다. 해발고도 100m 이하의 저지대가 전체 면적의 60%를 차지하고 100∼500m의 구릉지가 전체 면적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동쪽에는 수락산(水落山, 638m)·부용산(芙容山, 211m)·용암산(龍巖山, 477m)·깃대봉(289m) 등이 있고, 서쪽에는 도봉산(道峰山, 717m)·사패산(賜牌山, 552m), 북쪽에는 천보산(天寶山, 337m)이 솟아 있다. 이들 산지는 주상절리가 발달한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부산지는 노두가 나타나 주변 경관을 아름답게 만들고 있다. 이들 산지에서 발원한 부용천(芙容川)·백석천(白石川)·화룡천(畵龍川) 등이 서류(西流) 또는 동류(東流)하여 중랑천(中浪川)에 합류하면서 남류하고 있다. 하천 주변지에 하안 평야가 발달하고 있다. 연평균기온은 10.9℃, 1월 평균기온 -6.2℃, 8월 평균기온 26℃로 한서의 차가 30℃를 넘고 있어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나타내며, 연강수량은 1,315㎜이다.
역사
민락동에서 흑요석기를 포함하는 제4기층이 발견되어 이미 구석기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음을 알 수 있다. 신석기시대 유적은 아직 발견된 바 없으며, 청동기시대 유적으로는 금오동·고산동·용현동일대에서 간돌칼·간돌화살촉·민무늬토기 등이 발견되었다. 이 지역은 고조선시대에는 진(辰)에 속했고, 삼한시대에는 진한에 속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시대에 이르러 초기에는 백제에 속했으나 475년 이후 고구려에 속하여 매성군(買省郡, 일명 昌化郡)이라 하였으며, 신라 때인 757년(경덕왕 16) 내소군(來蘇郡)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견주(見州)로 이름을 고쳤고, 1012년(현종 3) 양주의 절도사가 폐지되고 안무사로 개편되었다. 1018년 양주에 편입되었으며, 1308년(충렬왕 34)에 한양부로 개칭되었다. 조선 초인 1394년(태조 3) 다시 한성부로 개명되면서 부치(府治)가 동촌 대동리(大東里: 현재의 서울시 광진구 광장동 부근)로 옮겨지고 지양주사(知楊州事)로 강칭되었다. 1397년에 부치가 다시 옛 치소인 견주(현 양주시 고읍동)로 이전되고 양주부라 불렸다. 1413년(태종 13) 양주도호부로 고쳐지고 속현으로 견주(見州)·사천(沙川: 동두천시 전역과 양주시의 은현면지역)·풍양(豊壤: 남양주시의 진접읍·진건읍지역)의 3현을 두었다. 1466년(세조 12)에 다시 양주목으로 승격되었으나 1504년(연산군 10) 양주목이 폐지되고 왕의 수렵지구로 될 때 의정부시는 잠시 폐허가 되기도 하였다. 1506년(중종 1) 중종반정으로 다시 복구되어 양주목의 소속이 되어 계속 갑오개혁 때까지 양주목에 속하였다.
1895년(고종 32)에 전국의 팔도제가 폐지되고 23부 336군이 새로 설치되게 되어 양주목이 한성부 소속의 군이 되었을 때 의정부시는 양주군의 시북면(柴北面)·둔야면(芚夜面)지역에 속하였다. 1912년 행정구역개편 때 양주군 32개 면 중 시북면·둔야면지역으로 오늘의 의정부시의 모체를 이루게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다시 시북면과 둔야면이 시둔면(柴芚面)으로 개칭되었고, 1922년에 주내면 유양리에 있던 양주군청사가 시둔면 의정부리로 옮겨오게 되어 의정부시는 양주군의 심장부를 이루면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1938년 시둔면이 양주면으로 개칭되었고, 1942년 양주면이 의정부읍으로 승격되었다. 1950년 6·25사변 때는 수도 서울의 관문으로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지역이었고, 전쟁을 거치면서 군사도시로서의 변천을 겪기도 하였다. 1963년 1월 1일에 시로 승격되면서 한수(漢水) 이북의 경제·사회·문화·군사·교통의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다. 1980년 4월 1일에는 양주군 별내면의 고산리와 산곡리가 편입되었으며, 1994년 7월 1일 장곡동이 장암동과 신곡동으로, 1995년 3월 2일에는 신곡동이 신곡 1,2동으로 분동(分洞)되었다. 1998년 10월 14일 의정부 1동과 4동이 통합되었고, 2003년 2월 3일에는 호원동이 호원 1,2동으로, 송산동이 송산 1,2동으로 분동되어 현재와 같은 15개 행정동이 되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유물·유적~다음편에 이어감
2023-08-11 작성자 명사십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