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31:23]
여호와께서 또 눈의 아들 여호수아에게 명하여 가라사대 너는 이스라엘 자손을 인도하여 내가 그들에게 맹세한 땅으로 들어가게 하리니 마음을 강하게 하고 담대히 하라 내가 너와 함께 하리라...."
여호와께서...여호수아에게 명하여 가라사대 - 모세의 후계자 여호수아가 하나님께로 부터 직접 이스라엘의 통솔권을 위임 받는 장면이다. 위임과 함께 여호수아를 격려하시는 하나님의 말씀 속에서 우리는 이스라엘을 약속의 땅으로 인도하여 들이는 실질적인 주체는 바로 여호와 하나님이심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수 1:6]
마음을 강하게 하라 담대히 하라 너는 이 백성으로 내가 그 조상에게 맹세하여 주리라 한 땅을 얻게 하리라...."
마음을 강하게 하라 담대히 하라 - 속 반복됨으로 그 의미를 더해가고 있다. 여기서 '강하게 하라'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하자크'는 '손에 힘이 있는 상태'로, 직역하면 '굳건하다'이며 '담대히 하라'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아마츠'는 '무릅에 힘이 있는 상태'로 직역하면 '용기를 가지다'이다.
너는...얻게 하리라 - 이스라엘 백성들로 하여금 땅을 상속받도록 할 사람이 다름아닌 여호수아임이 강조되어 있다. 따라서 공동 번역은 이 의미를 충분히 살려'...나누어 줄 사람은 바로 너다'라고 번역하였다. 조상에게 맹세하여 - 이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의 열조 아브라함, 이삭, 야곱등에게 맹세하신 사실을 가리킨다..
[수 1:7]
오직 너는 마음을 강하게 하고 극히 담대히 하여 나의 종 모세가 네게 명한 율법을 다 지켜 행하고 좌로나 우로나 치우치지 말라 그리하면 어디로 가든지 형통하리니...."
오직...극히 - '오직'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라크'는 '확실히', '분명히'를 뜻하며, '극히'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메오드'는 '매우', '아주'라는 뜻의 부사이다. 하나님께서는 이러한 수식어를 사용하여 이스라엘 군대의 지휘자인 여호수아의 마음 자세를 더욱 가다듬게 하고 있다. 모세가...명한 율법 - 이 구절은 본서에서 율법을 모세의 저작으로 언급한 몇몇 구절들 가운데 첫 구절이다.
좌로나 우로나 치우치지 말라 - 개역 성경에는 '그것으로부터'를 뜻하는 '밈멘누'라는 말이 생략되어 있다. 그러나 원어 성경(MT)에는 이 말이 나타나 있는데, 여기서 '그것'은 율법을 가리킨다. 그리고 '치우치다'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수르'는 '빗나가다', '방향을 돌이키다'를 뜻하는 말소서, 이는 하나님의 뜻을 엄격히 따르는 정도로부터 이탈되는 상태를 가리킨다.
따라서 성경상 이 말은 '좌','우'라는 말과 결합되어 자주 묘사된다. 그리하면...형통하리니 - 이미 주어진 약속을 통해 볼 때, 이스라엘의 '형통함'은 율법의 준수와 관련하여 조건적인 것으로 묘사되었다. 이처럼 구약에서는 신약에서보다 형통함과 말씀 준수가 더욱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한편 '형통하다'의 히브리어 '사칼'은 '번영하다', '성공하다'를 뜻한다. 신 29:9 주석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