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방서예[2749]庶幾中庸 勞謙謹勅(서기중용 노겸근칙)
중용의 도에 거의 가까이 이르려면,
힘써 일하고 겸손하고 삼가며 경계(신칙)하여야 한다.
서기중용 (庶幾中庸)
어떠한 일이나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일하면 안된다.
로겸근칙 (勞謙謹勅)
근로하고 겸손하며 삼가하고 신칙하면 중용의 도에 이른다.
庶 : 무리 서 / 많을 서
幾 : 거의 기 / 얼마 기
中 : 가운데 중
庸 : 떳떳할 용
勞 : 힘쓸 로
謙 : 겸손할 겸
謹 : 삼갈 근
勅 : 칙서 칙 조서 칙.신칙할 칙. 동자(同字)敕.
[황종택의新온고지신] 노겸근칙(勞謙謹勅)
황온중입력 2015. 2. 25. 21:37수정 2015. 2. 25. 21:46
편협하지 않고 화합적인 인물은 어디서든 좋은 평을 받는다.
중용(中庸)이다. 중용은 어설프게 튀지도 않고,
배려하며 평온케 하는 능력이다.
말씨는 부드럽고, 눈빛은 따뜻하다.
중용이란 인간들끼리 살아가는 데 더없이 필요한 처세술이다.
그렇다고 36계식의 인위적인 처세술처럼 어지럽지 않다.
단순하고 꾸미지 않은 사람 본래의 순수함이다.
그럼 중용을 취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자신의 생각만을 고집하지 않고 상대의 말을 귀담아듣고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것이다.
그러려면 대화하기를 좋아해야 한다.
여러 사람의 의견을 듣다 보면 두루 인정받는 원만한 지혜를 얻을 수 있다. 공자는 중용의 기준을 순임금의 사례에서 찾고 있다.
공자는 "순임금은 큰 지혜를 가지신 분이구나.
순임금은 묻기를 좋아하며 가깝고
가벼운 말도 살피기 좋아하셨다
(舜 其大知也與. 舜 好問而好察邇言)"며
"악함은 숨기고 선함을 드러내셨다.
양 극단을 잡되 그 중간을 백성들에게 쓰셨으니
성군이 된 까닭이다
(隱惡而揚善 執其兩端 用其中於民 其斯以爲舜乎)"라고 일러주었다.
그렇다. 진정한 리더십은 화합을 중요시하는 데서 발휘된다
. 한 사람의 힘만으론 팀플레이를 이겨낼 수 없는 것이다.
상승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 협력이 필요하다.
이를 채워 주는 것은 섬김의 중용리더십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실의 삶 속에서 중용을 취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고전 '중용(中庸)'에 "중용에 가까워지려면 부지런히 일하고
겸손하며 삼가고 경계해야 한다(庶幾中庸 勞謙謹勅)"고
한 바는 중용을 이루는 길이 험난함을 뒷받침한다.
어느 한 쪽으로 기울지 않고 '제3의 길'을 모색하는
융합과 상생의 길이 중용인 것이다.
유럽의 정치권력 지형에서 중도우파와 좌파가
서서히 퇴조하는 대신 극우, 극좌 정당이 주류로 등장하고 있다고 한다.
극단적 견해들이 맞부딪치면 갈등만 심화될 뿐이다.
좀 더 유연하고 포용적이며 화합을 추구하는 통합과 변화의 물결이
일어나야겠다. 물론 중용과 화합의 리더십은 우리 정치권에도
절실하게 필요한 덕목이다.
황종택 녹명문화연구소장
중 용(中庸)
썩은 과일을 도려내면 먹을 것이 남지 않고,
미운 사람을 걸러내면 쓸 사람이 남아있지 않습니다.
욕을 많이 하다 보면 욕에 둔감해지고,
매를 많이 휘두르다 보면
상대방의 아픔에 둔감해 지기 마련입니다.
남 비판하는 자가 저 비판받는 줄은 모르고,
비난하는 자가 저 비난 받는 줄은 모르는 것 같습니다.
매사 넘치지도 않고 모자라지도 않게 처세하며 사는 것이
삶의 '중용지도(中庸之道)' 입니다.
‘중용’하면 생각나는 사람이 황희 정승입니다.
안방에 들어가면 아내 말이 맞다 하고,
마당에 가면 머슴 말이 맞다 하고,
사랑에선 아들 말이 맞다고 하면서
누구하고도 적을 만들지 않은 사람으로 유명합니다.
'삶의 중용지도'를 지혜롭게 잘 활용하면
처세의 달인이 될 수 있겠지요.
'중용'을 잘 지키며 사는 일...
평생의 삶의 숙제인 것 같습니다
이하= 이창호 이창호스피치리더십연구소 대표
현대 사회의 리더십은 통합과 화합을 중요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혼자서 독불 장군 식으로 밀어 붙여서는 안 된다.
한 사람의 힘으로는 팀플레이를 이겨낼 수 없는 것이다.
상승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 협력이 필요한데,
이를 채워 주는 것은 배려와 섬김의 중용리더십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중용이란 무엇일까. 중용이란,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거나 기울지 않고 지나치거나 모자람이 없는,
결코 바뀔 수 없는 이치를 말한다.
뜻 자체만으로도 얼마나 이루기 힘든 것인지 짐작할 것이다.
이러한 중용의 실천을 위해 예로부터 선조들은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는데,
그 대표적 인물은 1360년 충청도 온양에서 태어난 고불 맹사성(孟思誠)이다.
맹사성이 보여주는 중용 리더십의 특색은 청렴과 겸손을 바탕으로 한
청렴과 겸손을 바탕으로 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당시에는 유능한 인재들도 적절한 처세를 하지 못해
이름을 알리지 못하고 목숨을 잃는 경우가 허다했다.
그에 반해, 맹사성이 보여준 원만한 처세는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중도를 지키며 올바른 길을 제시한다.
특정 세력과 관계를 맺기보다 다양한 세력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한
친화력을 바탕으로 정치적 위기를 넘길 수 있었고,
그가 목숨을 잃을 위기에 처하면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일처럼 나서
그를 지켜주었다. 이로 인해, 정치인으로 장수할 수 있었고
세종대에는 우의정과 좌의정의 반열에 오를 수 있었다.
맹사성이 천수를 누릴 수 있었던 배경에는 배려와 감사, 관용,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용이 바탕을 이루었기 때문일 것이다.
맹사성은 역마를 이용하지 않고 걸어 다닌 것으로도 유명하다.
소를 타고 다니기도 하고 공적인 업무 이외에는 역마를 이용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런 모습으로 추구하는 방향이 다른 세력의 선비들도
맹사성을 존경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세력을 불문하고 여러 세력들을 타협하고
통합시키는 능력, 겸손과 중용적 지도력이 맹사성의 매력이었다.
중용(中庸)에 '서기중용(庶幾中庸)이면 노겸근칙(勞謙謹勅)'이라,
즉 중용에 가까워지려면 부지런히 일하고 겸손하고 삼가고
경계해야 한다는 말처럼 중용을 이루는 길은 매우 험난하다.
그만큼 중용에 다다르기 힘들기 때문에 맹사성이 더욱 존경을 받았을 것이다.
대개 사람들은 아무리 노력해도 완전한 중용에 이를 수 없기 때문에
중용의 미를 보여주는 지도자를 더욱 흠모하게 된다.
항상 부지런히 노력하고 편견을 가지지 않으려고 애써도
더 이상 올바를 수 없는 최고의 경지인 중용에 다다른 것은 아닌 것이다.
지나침과 모자람이 없는 중용에 조금 가까워졌을 뿐이다.
이렇듯 다다르기 힘든 중용의 도는 자사의 철학이 담겨진 것이다.
논어, 맹자, 대학과 더불어 사서 중 하나인 중용은 자사가 쓴 것이다.
유가 학파의 정통 학맥은 공자로부터 증자 자사 맹자로 계승되는데
중용을 쓴 자사는 공자의 손자이다.
자사가 유가의 정통 학맥을 계승했다고 하는 이유가 바로 중용 때문인데
109자 밖에 안 되는 짧은 글이지만 유가의 근본 철학이 응축되어 그 의미가 남다르다.
여기서 말하는 근본 철학은 자사가 말하는 중용의 도이다.
지나침과 모자람이 없는 정신적 철학이다.
대한민국의 올바른 지도자라면 중용의 철학을 올바로 이해하고
정신적 철학의 수준을 뛰어넘어 현실적 실천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배려와 섬김의 유교적 정신을 이어가되 글로벌 시대에
외국인들과도 당당히 어깨를 나란히 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세계에는 다양한 민족과 수많은 리더가 있음을 알고 있다.
대한민국의 지도자도 세계 속에서 한국인 중용리더십으로
많은 사람들을 포용하고 편견 없이 나아가고 있다. 하지만,
때로는 관용과 화합을 보이지 못해 아쉬움을 남기기도 한다.
약간의 정도를 넘어선 지나침이 문제와 사고를 일으키는 것이다.
문제가 있을 때에는 자세를 낮추고 섬김과 중용의 미로 한 발 짝
더 도약했으면 한다. 필자는 지도자들이 사명감을 가지고 위상을
다시 한 번 드높이자고 주장하고 싶다.
특히 한국인 중용 리더십으로 진리와 정의를 위해 우뚝 서야하며
작은 희망을 키워 나가 보자고 강력히 외치고 싶다.
이창호 이창호스피치리더십연구소 대표·대한명인(연설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