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칼슘 Calcium>
▣ 칼슘의 흡수
-식이 칼슘의 약 25~50% 가 흡수 되어 교환 가능한 calcium pool 로 전달된다 .
-음식에 들어있는 칼슘의 대부분은 다른 식이 성분과의 복합체 형태이며 , 이는 칼슘이 흡수되기 전에 분해되어야 하고 , 칼슘은 용해되고 이온화된 형태로 방출 되어야 한다 .
-칼슘이 추가로 필요한 기간에는 내장의 흡수 용량이 증가하고 신장 배설이 조절된다 .
-능동적 수송 메카니즘은 포화 가능한 세포 간 과정으로 칼슘 결합 단백질인 calbindin 을 포함한다 . Calbindin 은 활성 형태의 비타민 D(1,25-dihydroxy-vitamin D3) 에 의해 조절 된다 .
-칼슘 흡수의 효율은 십이지장 - 공장에서 회장보다 훨씬 높지만 두 과정 모두 소장을 통과하면서 일어난다 .
▣ 참고 ) 비타민 D
역할 : 소화관에서 음식물을 통해 들어온 칼슘의 흡수를 촉진
-Provitamin D 3 : 아세틸 CoA 로부터 합성되어 피하에 저장됨
->Vitamin D 3 : Provitamin D 3 가 자외선에 의해 구조가 변형됨
->25(OH)D 3 : Vitamin D 3 가 간 에서 CYP2R1(25-hydroxylase) 효소에 의해 히드록시기 (-OH) 가 첨가됨
->1,25(OH) 2 D 3 (= 칼시페롤 ) : 25(OH)D 3 가 신장 에서 CYP27B1 효소에 의해 1 번 탄소에 히드록시기가 첨가됨
- 비타민 D 수용체 (VDR) 에 결합하면 VDR 이 전사인자로 작용하여 여러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한다 . VDR 은 세포질 , 뼈의 조골세포 , 신장 세뇨관 , 부갑상선의 주세포 등에 존재한다 .
-1,25(OH) 2 D 3 는 소장에서 칼슘 통로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 소장 상피세포의 칼슘 투과성이 증가하면 농도 차이에 따라 칼슘이 흡수된다 .
-Calbindin 은 세포 내 칼슘과 결합하여 세포 내 칼슘 농도를 낮춘다 .
-칼슘 - 나트륨 펌프의 발현량을 증가시켜 세포에서 혈액 쪽으로 칼슘을 이동시킨다.
※세포질 내 칼슘 농도는 보통 100nM/L로 유지. 세포 외 농도의 10000분의 1에 불과. 칼슘 농도가 큰 경사를 이루어 세포 내로 빠른 칼슘 유입이 일어남.
위 과정을 통해 흡수된 칼슘은 혈장 내에서 3 가지 형태로 순환 : 혈장 단백질 결합 (45%); citrate, phosphate 또는 bicarbonate 와 복합체 ( 약 10%); 유리 칼슘 이온 ( 약 45%)
※유리 칼슘 이온이 생리적으로 가장 중요한 형태
▣칼슘의 조절
-혈중 칼슘 이온의 농도는 PTH( 파라토르몬 ) 에 의해 조절된다 .
-신장의 헨레 루프에는 칼슘 수용체가 존재하며 PTH 와 별개로 칼슘 재흡수를 조절한다 .
▣칼슘의 배설
https://pubs.rsc.org/ko/content/chapterhtml/2015/bk9781849738873-00003?isbn=978-1-84973-887-3
-칼슘 배설은 영양 상태가 좋은 성인의 장내 칼슘 흡수와 비례하는 경향이 있다 .
-흡수된 칼슘은 소변으로 배설되고 , 땀으로 소량이 배설된다 .
-소변 칼슘 배설은 개인마다 100-200mg/ 일 범위로 다양하다 .
-칼슘의 대변 배설은 주로 흡수되지 않은 식이 칼슘으로 구성되며 나머지는 상피 세포와 소화액에서 나온다
<마그네슘 Magnesium>
-식이를 통한 마그네슘의 순 흡수율은 대략 50% 정도이다 .
- 과일 , 채소 및 곡물의 높은 식이섬유량은 마그네슘 흡수를 감소 시킨다 . 식이 단백질 또한 장의 마그네슘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마그네슘은 장 전체를 따라 흡수되지만 최대 흡수 부위는 원위 공장 및 회장으로 보인다 . 흡수는 불포화 수동 및 능동 수송에 의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 따라서 성인과 소아 모두에서 마그네슘의 흡수율은 섭취량에 반비례 한다 .
-마그네슘은 인체에 풍부하며 뼈 에서 가장 많이 발견된다 . 또한 근육 , 간 , 심장 및 신장을 포함한 다양한 다른 조직에서도 발견된다 .
- 혈장 내 존재하는 마그네슘의 절반은 이온화된 형태이다 . 약 20% 는 알부민에 결합하고 나머지 80% 는 결합하지 않는다 .
- 대부분의 세포 내 마그네슘은 소포체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마그네슘의 대사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Magnesium-metabolism-and-its-disorders.-Swaminathan/30c7012c18f9c8b18278ef089f5e6c7cdbf75bac
참고)1mmol = 24mg
▣마그네슘의 흡수
https://aor.us/how-is-magnesium-absorbed/
1.고농도에서 수동 세포간 경로 (Passive paracellular pathway at high intestinal concentrations)
장관에서 마그네슘 흡수의 80-90% 를 담당 하는 경로로 산성 (lower pH)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작동 한다.
따라서 마그네슘 흡수는 공복 및 다른 미네랄 , 약제 , 섬유 , 알칼리화제가 없을 때 최상의 효율을 보인다.
2.저농도에서 능동 경세포 수송 (Active transcellular transport at low concentrations)
능동 경세포 흡수는 최근 밝혀진 TRPM6 라는 마그네슘 채널을 통해 일어나며 , 마그네슘 - 아미노산 복합체가 손상없이 흡수될 수 있다 .
※ 참고)마그네슘 종류별로 흡수가 다를까? https://blog.naver.com/jiro015/221596379700
마그네슘은 어떤 종류의 염 및 아미노산에 결합했느냐에 따라 아래와 같은 종류로 나눌수 있다 .
1. 무기염 마그네슘 : 마그네슘 함량은 높으나 용해도가 낮아 생체이용률이 낮다 . 보충제로는 권장하지 않는 마그네슘이다 .
→산화마그네슘(Mg Oxide), 수산화마그네슘(Mg H ydroxide), 탄산마그네슘(Mg C arbonate)
2. 유기염 마그네슘 : 유기산과 마그네슘의 결합염으로 생체이용률이 높으나 결합염의 높은 분자량으로 마그네슘의 함량이 낮다 .
→구연산 마그네슘(Mg Citrate), 말산 마그네슘(Mg Malate), 오로틴산 마그네슘(Mg Orotate), 트렌온산 마그네슘(Mg Threonate)
3. 킬레이트 마그네슘 : 유기염 마그네슘과 마찬가지로 생체이용률은 높으나 마그네슘 함량은 낮다 .
→타우레이트 마그네슘(Mg Taurate), 글리시네이트 마그 네슘(Mg Glycinate)
▶무기염 및 유기염 마그네슘은 이온화되어 이온채널을 통해 흡수되고 킬레이트 마그네슘은 디펩티드 채널을 통해 흡수된다 . 결론적으로 carrier 에 따라 마그네슘의 함량과 흡수율이 달라지고 혈중 마그네슘 농도에 차이 , 즉 생체이용률의 차이를 보여준다 .
1.무기염 및 유기염 마그네슘의 흡수
→ 장내 산성도에 의해 조절
위산에 의해 해리되었던 마그네슘 이온은 십이지장 , 소장 , 대장으로 갈수록 위산이 중화되어 장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음이온과 결합하여 불용성염을 형성하여 대변으로 배출된다 .
pH 가 낮을수록 수화껍질(shell of water) 이 제거되고 마그네슘을 흡수하는 이온채널 단백질의 활성도가 증가한다 .
무기염보다 유기염 마그네슘의 생체이용률이 높은 이유는 유기산 자체가 산성을 띄기 때문에 장내 산도를 낮추고 이온채널 단백질의 활성도를 증가 시키기 때문이다 .
2.킬레이트 마그네슘의 흡수
킬레이트 마그네슘 중 글리시네이트 마그네슘 ( 글리신 2 분자와 결합 ) 은 결합된 상태로 디펩티드 채널을 통해 흡수 된다 .
킬레이트 마그네슘은 위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이온화도 되지 않기 때문에 무기염 마그네슘처럼 불용성염을 형성하지도 않고 다른 미네랄 이온들과 흡수경쟁을 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
▣마그네슘의 배설
-마그네슘은 주로 소변으로 배설된다 .
-소변 배설의 정도와 마그네슘의 항상성은 칼시토닌 , 티록신 , 당질 코르티코이드 , 글루카곤 , 안지오텐신을 포함한 다양한 호르몬의 영향을 받는다.
-정상적인 조건에서 신장 세뇨관은 여과된 마그네슘의 95% 를 재흡수하고 약 5% 가 소변으로 배설된다 .
마그네슘 결핍 환자도 정상 혈장 마그네슘 수치를 나타내기 때문에 결핍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고비율의 마그네슘 부하를 주었을 때 소변 배설이 적은지 관찰하는 것이 더 좋다.※신부전이 있거나 이뇨제 복용 중일 때에는 유효하지 않은 검사법이다.
<구리 Copper>
-구리는 주로 Cu II 형태로 특정 단백질에 결합되어 십이지장으로 흡수 되며 수동 확산과 운반체매개 이동이 모두 발생한다 . 소량의 구리가 위에서 흡수된다 . 구리 섭취가 높을 때는 구리의 흡수가 감소한다 . 구리를 격리시키는 metallothionein 의 유도와 같은 세포 메커니즘도 항상성 과정의 일부로 제안되었다 .
-구리의 이동은 특정 운반 단백질을 통해 두 단계로 일어나는데 먼저 간으로 이동 한 후 다른 인체 조직으로 이동 한다 . 장세포를 떠날 때 주로 알부민 및 transquperin 에 결합되어 간세포로 수송된다 . 간세포에서 caeruloplasmin 으로 포함되어 혈장으로 분비 되거나 담즙으로 분비 되거나 superoxide dismutase(SOD) 로 포함된다 .
▣구리의 흡수와 이동
1.소장에서 흡수 및 간으로 이동
https://basicmedicalkey.com/zinc-copper-and-manganese/
-Cu2+는 DMT1을 통해 소장 세포로 들어오거나 Cu1+로 환원되어 CTR1을 통해 소장세포 내로 흡수
-장세포 내에서 일부는 Thionein과 결합하여 Metallothionein 형태로 저장되고 나머지는 ATP7A를 통해 혈액으로 분비되어 알부민과 결합한 상태로 간문맥을 통하여 간으로 이동
2.간세포로 흡수 및 다른 조직으로 이동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The-ATP7B-mediated-copper-export-pathway-in-the-hepatocytes-modified-from-13-CTR1_fig2_277936064
CTR1 을 통해 간세포 내로 이동
→ATOX1 복합체 상태로 ATP7B 에 결합
→ 골지체에서 COMMD1 을 통하여 담즙으로 분비
→간세포 내에서 ceruloplasmin 과 결합하여 혈액 내로 분비되어 다른 조직으로 이동
※ATP7B = Wilson's protein
이 단백질에 문제가 있는 경우 구리가 간세포 내에 과다 축적되어 윌슨병을 유발한다.
▣구리의 분포와 배설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Copper-Metabolism-and-Copper-Transport-Disorders-Kodama-Fujisawa/147b08304a504f693689c607d615e3efe5bac798/figure/0
-체내에 존재하는 구리 100mg은 뇌에 20mg, 근육에 35mg, 신장에 5mg, 결합조직에 10mg, 간에 20mg 존재한다.
-구리의 주요 배설경로는 담즙 을 통하여 대변으로 배출되는 것이며 , 이는 흡수량과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
첫댓글 참 잘했어요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