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압류는 금전채권이나 금전으로 환산할 수 있는 채권에 관하여 장래 그 집행을 보전하려는 목적으로 미리 채무자의 재산을 압류하여 채무자가 처분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재판 전이나 재판진행 중에 채무자가 자신의 재산을 은닉하거나 처분하는 등의 행위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채권자는 재판이 끝나기 전까지 채무자의 재산을 가압류로 확보할 수 있습니다.
후에 재판에서 승소하면 가압류를 본압류로 이전하여 강제집행을 할 수 있습니다.

가압류를 하지 않았을 경우 소송에서 승소하여도 채무자가 미리 재산을 처분한 경우 채권자는 소송 이후 강제집행을 할 수 없어 소송의 실익을 상실할
수 있습니다.

재산의 종류에 따라 가압류신청서를 선택하셔서 작성 후 법원에 제출하시면 됩니다.
구 분 | 내 용 |
부동산가압류 | 특정부동산(건물, 토지 등)을 처분할 수 없도록 하는 절차로 등기부에 기재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
채권가압류 | 다른 사람으로부터 받을 돈(급여, 전세금, 예금 등)을 받지 못하도록 하는 절차입니다. |
유체동산가압류 | 유체동산(TV, 냉장고, 집기 등)을 처분할 수 없도록 하는 절차입니다. |
자동차가압류 | 승용차, 트럭, 버스 등을 처분할 수 없도록 하는 절차를 말합니다. 차량 등록원부에 기입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



공탁금이란 법령의 규정에 따라 공탁소에 맡겨 두는 돈으로 가압류의 경우 공탁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 부동산(자동차) 경우 청구하는 금액의 10%
▪ 채권일 경우 청구금액의 40%
▪ 유체동산 경우 청구금액 80%(담보제공액 1/2 범위 내의 현금공탁과 나머지는 보증보험증권으로 할 수 있음)
▪ 채무자의 실생활의 불편을 많이 초래하는 채권이나 유체동산의 경우는 현금공탁을, 불편이 적은 부동산의 경우는 보증보험증권으로 대체
공탁금회수방법으로는,
▪ 채무자의 공탁금회수
채권자가 취하 및 집행해제신청을 하면 채무자는 그 증명서를 첨부하여 공탁금을 회수할 수 있거나 채무자가 본안소송에서 승소하면 취소신청을 하여 결정 후 회수할 수도 있습니다.
▪ 채권자의 공탁금 회수
채권자가 본안소송에서 승소한 경우 담보취소 신청 후 결정을 받아 회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집행권원에 기하여 가압류를 본압류로 이전하고 추심명령 혹은 전부명령을 받은 경우 공탁금을 회수할 수 있는 등 상황에 따라 공탁금 회수방법은 달라집니다.

기재사항 | 가압류신청서에는 당사자 및 법정대리인의 표시, 소송대리인의 표시, 신청의 취지, 신청의 이유, 법원의 표시, 소명방법의 표시, 년 월 일의
표시, 당사자 또는 대리인의 기명날인 또는 서명, 첨부서류의 표시, 목적물의 표시 여부를 하여야 합니다. |
수수료 | 신청서에는 10,000원(지급보증위탁문서의 제출을 동시에 신청하는 경우에도 10,000원)의 수입인지 및 송달료(당사자수×3회분)를 납부하여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