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거(幽居)-허정법종(虛靜法宗)
풍수죽랭(風颼竹冷) 바람 소리 대나무에 차갑게 울고
노적송한(露滴宋寒) 이슬 젖어 소나무는 짙푸르네
유인취와(幽人醉臥) 유인(은자)은 취하여 누워 있나니
명월공산(明月空山) 밝은 달과 빈 산이네
*위 시는 ‘석지현’(釋智賢)님의 편저 “선시감상사전”에 실려 있는데, 참고로 석지현님은 196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고, 1973년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였으며, 이후 인도, 네팔, 티베트, 미국, 이스라엘 등지를 수년간 방랑하였고, 편.저.역서로는 “선시”, “법구경”, “숫타니파타”, “불교를 찾아서”, “선으로 가는 길”, “벽암록”, “왕초보 불교 박사 되다”, “제일로 아파하는 마음에-관음경 강의”, “행복한 마음 휴식”, “종용록” 등 다수가 있습니다.
*허정법종(虛靜法宗, 1670~1733)은 13세에 옥잠(玉岑)에게 출가, 도정(道正)의 법을 듣고 오도(悟道), 20세에 월저(月渚)에게 경을 배우고 설암추붕(雪巖秋鵬)에게 현지(玄旨)를 깨달아 인가받았고, 진상(眞常) 내원(內院), 조원(祖院)에 머물 적마다 법려(法呂)들이 많이 모여와 낮에는 경전을 강의하고 밤에는 참선하여 학자를 제접(提接)하였고, 영조 9년 남정사에서 입적하였습니다.
*위 시의 형식은 ‘사언고시(四言古詩)’이고, 출전은 ‘허정집(虛靜集)’입니다.
*颼(수) : 바람소리
*幽人(유인) : 어지러운 세상을 피하여 그윽한 곳에 숨어사는 사람. 隱者
*위 시는 그윽한 골에 숨어사는 이의 삶이 신비할 정도로 잘 드러나고 있다고 하고, 시 아래에는 ‘은자여, 명월에 취했는가, 솔바람에 취했는가, 아니면 그대 자신에 취해 있는가’라는 주석이 달려 있습니다.
첫댓글 자연인의 삶인가요....밝은 달과 바람소리 들으며 사는 삶은 어떨지......
저는 그냥 좋은 분들과 어울려 지내고 싶습니다...ㅎㅎ
회장님 추운 날씨에 항상 건강하시고 이번 주도 행복만 가득하시길~~~~~~~~
ㅎㅎ, 항상 멋진 댓글 달아주시고 공감해주시어 깊이 감사드립니다.
부회장 겸 카페지기님께서도 항상 건강하시고,
비록 추운 한 주지만 이번 주도 행복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