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승지겁[ 阿僧祗劫 ]
년. 월. 일이나 어떤 시간의 단위로도 계산할 수 없는 무한히 긴 시간을 말한다.
아승기겁[ 阿僧祇劫 ]
언덕 아, 중 승, 토지 신 기, 겁 겁.
헤아릴수 없는 오랜 시간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무량겁
아승기겁(阿僧祇劫)은 헤아릴 수 없는 시간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asaṃkhyeya-kalpa의 음역어이다. 팔리어로는 asaṅkheyya-kalpa라고 하며, 무량겁(無量劫)으로 의역된다. 아승기는 헤아릴수 없는 무한히 큰 수를 뜻하는데 아승(阿僧)·아승가(阿僧伽)로 음역되거나, 불가산계(不可算計)·무량수(無量數)·무앙수(無央數)로 의역된다.
아승기는 인도의 숫자 단위중 하나인 60가지의 수목(數目) 단위 중 52번째 단위이며, 경전마다 그 수의 크기가 다르게 나타난다. 『화엄경』「승기품 」은 120종류의 대수(大數)중에 백천(百千)의 자승[제곱]을 1구지(俱胝)라 할 때 구지를 반복적으로 100번 이상 곱한 것이 아승기라고 한다. 『대지도론』은 아승기를 무수(無數)로 의역했는데, 아승기란 더 이상 헤아릴 수 없는 단위의 숫자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아승기겁은 무한한 숫자를 뜻하는 '아승기'와 시간을 뜻하는 '겁'이 결합하여 계산할 수 없는 정도로 무한한 긴 시간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무량한 시간동안 윤회를 반복하거나, 해탈을 위해 무량한 시간동안 수행하는 것을 강조할 때 쓰이는 표현이다. 『장아함경』 제1권 「대본경」에 "나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아승기겁 이전부터 부지런히 애쓰며 나태하지 않고 최상의 수행을 해오다가 이제야 비로소 이렇게 성취하기 어려운 법을 얻었다"는 표현이 나타난다. 『대비바사론』 제177권은 삼아승기겁으로 겁아승기야·생아승기야·묘행아승기야를 제시하고, 이런 긴 시간동안 수행을 해야 최상의 깨달음을 증득한다고 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아승기겁 [阿僧祇劫]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아승기겁[ 阿僧祇劫 ]
아승기(阿僧祇)는 산수로 나타낼 수 없는 가장 큰 수이고, 겁(劫)은 연•월•일로써는 헤아릴 수 없는 아득한 시간을 말함. 보살(菩薩)이 발심(發心)한 뒤 부처가 될 때까지의 수행의 기간.
[네이버 지식백과] 아승기겁 [阿僧祇劫] (한국고전용어사전, 2001. 3. 3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억겁(億劫)과 영원(永遠)
겁(劫)은 찰나와는 반대로, 인간이 상상해 낼 수 있는 가장 긴 시간의 단위를 말한다. 인도말 칼파(kalpa)를 한자로 옮긴 것이다. 겁파(劫波) 또는 겁파(劫簸)라고도 한다. 한 세계가 만들어져서 존속되다가 파괴되어 무(無)로 돌아가는 한 주기를 겁(劫)이라 한다. 다시 말해, 천지가 한 번 개벽(開闢)한 뒤부터 다음 개벽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다.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석가모니의 공덕을 기리는 노래. 본문 중에 '겁겁'이란 표현이 나온다.
겁(劫)에 대한 비유는 매우 많다. 선녀가 사방 사십 리에 걸쳐 있는 돌산을 백 년에 한 번씩 내려와 비단 치마를 스쳐, 그 바위가 다 닳아 없어질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1겁이다. 이를 달리 반석겁(盤石劫)이라고 한다. 또 사방 40리의 성(城)에 겨자를 가득 채워 놓은 뒤 백 년마다 한 알씩 집어 내어 겨자씨가 다 없어져도 끝나지 않는 시간이라고도 하며, 이를 겨자겁[芥子劫]이라고 한다.
억겁(億劫)은 그 겁이 다시 억 번이나 포개진 것이니, 도무지 말로는 설명할 수 없는 시간이다. 달리 아승기겁(阿僧祇劫)이라고도 한다. 아승기(asamkhya)는 무수(無數)의 뜻이다. 굳이 숫자로 나타내면 10의 64승이고, 갠지스 강의 모래알 수를 의미하는 항하사(恒河沙)의 만(萬) 배에 해당하는 시간이다. 중국 사람들의 과장도 대단하지만 인도 사람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
영원(永遠)은 글자 그대로 풀면 길고[永] 아득히 먼[遠] 시간이다. 억겁처럼 실감나는 비유는 아니지만, 따져 헤아리는 것이 무의미할 만큼 긴 시간을 가리킬 때 쓴다.
[네이버 지식백과] 억겁(億劫)과 영원(永遠) (살아있는 한자 교과서, 2011. 5. 23., 정민, 박수밀, 박동욱, 강민경
[출처] 아승지겁[ 阿僧祗劫 ]|작성자 수연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