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라파고스(Galapagos)의 동식물들
갈라파고스 제도에 입도하기 위해 발트라 섬 공항에 도착하면 모든 외국 여행자들에게 갈라파고스 제도
지도 한 매씩이 주어진다. 이 지도는 작은 포켓에 들어갈 수 있도록 16등분으로 접혀져 있어 꼭 담개갑 만한
크기가 된다. 이 지도의 뒷면에는 다음과 같은 제한사항이 삽화와 함께 기록되어있다.
바쁘신 독자는 다음글 읽기를 생략 가능.
ㅇ 방문객은 인정된 국립공원 가이드를 대동하지 않고는 국립공원에 들어갈 수 없 다.
ㅇ 갈라파고스에서 여행을 하려면 승인된 여행사의 서비스와 투어 보트를 이용할것
ㅇ 자연보호와 방문객의 안전을 위하여 지시된 장소와 통행로를 벗어나지 말것
ㅇ 야생동물에 2m 이내로 접근하지 말고 만지거나 동물이 접촉하게 하지 말것
ㅇ 야생동물에게 먹이를 주지말것. 자연의 균형을 깨지 않토록.
ㅇ 야생동물에 후레쉬를 사용하지말것. 야생동물의 생활에 변화를 줌으로 전문사진사는
공원당국의 승인을 받을것
ㅇ 캠핑은 지정된 장소에서 가능하며 48시간 전 방문 요청할것.
ㅇ.갈라파고스 생태계에 심각한 위협이 됨으로 식물, 동물 및 음식물 반입금지.
ㅇ검은 산호, 조개껍질, 화산석, 동물 또는 고유종의 나무로 만든 기념품의 거래
또는 반출 금지.
ㅇ허용된 계절 외에 특정 종류의 식품을 취식하는 것은 위법으로 고발 조치함.
ㅇ 바위, 벽, 나무에 낙서하는 행위는 위법
ㅇ.쓰레기는 자신이 보관하고 주거지역에서 분리수거 할것
ㅇ 공원 내에서 흡연, 캠프화이어 금지
ㅇ 여하한 종류의 낚시도 위법임. 공원당국이나 해군에 신고 바람
ㅇ 모터가 달린 기계의 해양 스포츠(제트 스키)나 공중 스포츠(낙하산)금지
-이사벨라 섬의 남쪽 해안-

.-바다 이구아나들-

-공룡을 닮은 오만한 모습의 이구아나-

-생태 관찰로-

-홍 학-

-장다리 물떼새-

-빨간 부리 오리-

-애기 사과나무 고목-

-애기사과(Little Apple)열매-

** 살구 만한 크기의 애기사과 열매는 독성이 강하여 유일하게 갈라파고스 자이언트(Giant)거북만이
이 열매를 먹고 소화시킨다.
-스코르피온(Scorpion)-

**강낭콩 만한 말랑 말랑한 열매를 맺는다.
-갈라파고스 패숀플라워(Galapagos Passion Flower)-

**수선화 만한 크기의 갸날프고 예쁜 꽃과 밤송이 같은 열매를 맺지만 열매가 익으면 노란 알맹이만 남는다.
덩굴식물이고 열매에는 기름이 배어있다.
-노랑소리새(Yellow Warbler)-

-갈라파고스 목화(Galapagos Cotton Flower)-

** 갈라파고스 목화는 수고(樹高)가 3m 정도 까지도 관찰된다.

** 목화 솜은 새들의 둥지 짓기에 사용되기도 한다.
-갈라파고스 물개(Galapagos Fur Seal)-

**갈라파고스 물개는 수컷의 길이가 150cm, 64 kg 정도로 세계에서 가장 작다. 사람들의 접근에도 무관심 하다.
부두나 계류된 보트에 의례 올라가 잠을 잔다.
- 해양동물 관찰을 위해 해안공원으로 이동-

틴토레라스 바위섬(Islote Tintoreras)
포르토 비야밀 항만 동남쪽에 위치한 검은 용암과 초호(礁湖)로 이루어진 이 해안 공원은
보트를 타고 해안을 관찰하거나 육지로 올라가 지정된 탐방로를 따라 답사를 한다.
이스로테(Islote)는 바위섬이란 의미이고 틴토레라(tintorera)는 염색 또는
염색공이란 의미이다. 이곳의 지표의 색갈이 다양해서 붙인
이름인 것으로 생각된다.
-안내판-

**탐방로는 일방통행으로 1400m 이다. 답사 중에 큰소리를 내거나 탐방로를 벗어나서는 않된다.
-맹그로브 군락-

-오랜 세월 침식으로 만들어진 지표-

**화산 암이 침식으로 거칠고 불균형하게 깎이어 마치 외계행성의 지표를 연상하게 한다.
습기를 머금은 남풍으로 남쪽표면은 하얀 지의류(地衣類: 이끼))가 착생하고 있다.
-일열 종대로-

**자연을 더 이상 훼손하지 않기 위해 겨우 한 사람이 다닐 수 있는 길이다.
-초호 주변 풍경-

-보트를 타고 동물들 가까이 접근하여 관찰하는 외국 여행팀-

-갈라파고스 펭귄 과 푸른발 얼간이 새((Blue Footed Booby)-

-갈라파고스의 동물들-

** 사진에는 네마리의 펭귄, 깃털을 다듬고 있는 두마리의 푸른발 얼간이새, 두마리의 이구아나 그리고
몇 마리의 홍게가 보인다.
-푸른발 얼간이새(Blue Footed Boobies)-

-갈라파고스 펭귄-

** 적도 아래에 펭귄이 서식하고 있다. 세계에서 세번째로 작은 펭귄으로 크기가 35cm이다.
옛날 남미 남부에서 훔볼트 해류를 타고 흘러들어 온것으로 추정한다.
-크랙 사이에 웅덩이가 생겨 물이 고여있다.-

** 밤에만 먹이 활동을 하는 갈라파고스 상어는 이 웅덩이로 들어와 낮 동안 잠을 잔다.
-웅덩이에서 잠자고 있는 갈라파고스 상어(White tip shark)-

** 갈라파고스 상어의 지느러미끝에는 하얀 점이 있는게 특징이다.
-역시 일열 종대-

**탐방로의 넓이는 두 사람이 나란히 걷는것을 허용할 정도로 넓지 않다.
-바다속의 해초를 뜯어 먹는 바다 이구아나-

**방금 방출되어 굳어버린 듯한 용암(Lava) 과 도도하게 보이는 이구아나.
-격렬하게 영역 다툼을 벌이는 수컷 이구아나-

**마치 싸움소가 싸우듯 머리로 밀며 격렬하게 싸운다. 사진에 보이는 흰 모래와 자갈은 산호 잔해 부스러기이다.
-탐방객과 이구아나-

-공룡의 후손 이구아나?-

-갈라파고스 도마뱀-

-갈라파고스 홍게(Sally light foot crab)-

-이구아나와 다른 종의 홍게-

-녹색 바다거북-

** 숨을 쉬기 위하여 물 밖으로 고개를 내미는 순간이다.
-육지에 올라와 쉬고 있는 녹색 바다거북-

-스노클링을 즐기는 외국 여행객들-

-부비 와 펠리칸의 비상-

-갈라파고스 거북 사육 센타의 인큐베이터-

**갈라파고스 거북의 복원과 증식을 위해 알을 부화 하거나 새끼거북을 방사 때까지 보육하는 시설이다.
-보육 시설에서 자라고 있는 어린 거북들-

-복원을 위해 사육하는 성체 거북-

- 짝짓기-

-챨스 다윈 연구센터 앞의 다윈의 흉상-

-다윈 연구센터 건물-

-수령 수백년의 가시선인장 나무(Giant prickly pear cactus tree)-

**어린 선인장은 갈라파고스 거북이 주식으로 삼을 정도로 부드러우나 자라면 목질화하여 나무가 된다.
-다윈연구센터에서 사육하는 거북이나 이구아나를 관찰하는 여행객들-

-고독한 조지(Lonesome George)-

**갈라파고스 제도가 세계에 알려진것은 1859년 찰스 다윈의 저서"種의 기원"에 의해서지만 17세기부터 이미
해적들에 의해 황폐화 되기 시작 하였다. 특히 이곳의 고유 종인 코끼리 거북은 양질의 단백질 원으로
약10만 마리가 포획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그 수난을 이겨내고 살아남은 동물들은 갈라파고스의
고유종이 대부분이다. 그 비율은 파충류의 약 90%, 포유류의 약 86%, 바닷 새의 약 60%, 육지 새의
약 90%라고한다. 살아 남았던 갈라파고스의 최대의 동물, 단 한마리의 코끼리 거북이 갈라파고스
제도의 최북단, 조그마한 섬 핀타(Pinta)에서 1971년 12월에 발견되어 1972년 3월에 찰스 다윈
연구 센타로 옮겨져 고독하게(lonesome) 살아 가는 이 수컷(George)에게 짝을 지어 주려는
온갖 노력도 보람없이 위의 사진에 기록되어 있듯이 2012년 6월 24일 죽음으로써 지구상에서
1개 種이 멸종된 것이다.
-연구센타의 거북들-

**코끼리 거북은 섬의 환경에 따라 진화한 전형적인 예의 동물이다. 현재 섬마다 11종이 인정되어 있는데
등 딱지의 형태에 따라 돔형과 안장형으로 나눈다. 높은 곳에 있는 먹이를 먹기위해 목을 길게 빼야하는
섬의 거북은 등 딱지가 안장형으로 생겼고 그렇지 않은 섬의 거북은 돔형으로 생겼다.
-등 딱지의 비교-

-희귀 이구아나-

-황폐화 되고있는 맹그로브 숲-

**항만 주변의 맹그로브 숲은 시커먼 기름으로 오염되어 죽어 가고 있다.
Fin